알라딘 대란 직후, 페이퍼에 노래를 등록하려다가 피를 봤더랬다. 지기님께 지워달라고 징징거리러 갔더니 어째 그런 분위기가 아니었다. 그래서 '밝은 알 노래방' 카테고리를 비공개로 해놓고 잠시 잊고 있었는데, 어제 갑자기 생각이 나서 나름대로 혼자 처리하려고 별 쇼를 다 했다. 그 쇼는 '밝은 알 노래감상'이라는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어 노래방에 있는 내용물을 일일이 이동시키면서 절정으로 달렸고, 결국 그 클라이막스를 맞이했을 때 나는 마우스를 집어던졌다. 전 카테고리인 '밝은 알 노래방' 삭제과정에 그 엿같은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나의 계획은 이랬다. 옛 카테고리인 '노래방'의 페이퍼들을 새 카테고리인 '노래감상'으로 옮긴 다음, '노래방'을 지워버리면 속에 있던 내용까지 다 지워질테니 더 이상 지긋지긋한 Ziggy Stardust 트리플 플레이를 안 들어도 되겠지! (애초에 그 페이퍼가 잘못 등록되면서 같은 노래가 세 곡 연속 들어가 앉은 게 문제였던 것이다. 게다가 삭제버튼도 사라지고. 참고로 나는 항상 하던 방식대로 페이퍼를 작성했고, 이건 분명 대란이 낳은 결과물이다.) 그런데 보다시피, 그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누군가의 눈에는 컴퓨터 관련 자격증 하나 없고, 기계랑 별로 친하지도 않은 미련한 인간이 벌인 웃겨자빠지는 쇼일 수도 있겠지만 이게 내 스타일이다. 나에겐 큰 일이고 누군가 더 기술이 있는 사람에게는 쉬운 일이라 그에게 부탁하면 금방 해결될 문제라도, 나는 누구에게 손을 벌리기가 어딘가 찜찜하고 미안스럽다. 그래, 나는 '일하는' 사람을 기피한다. 두려워한다. 그래서 어디든 일하는 사람과 부딪치는 건 질색이다. 매표소, 은행, 우체국, 음식점 같은 곳. (다행히 계산대에서는 '이러이러한 일로 왔다'고 말할 필요없이 그냥 계산만 하면 되니까 참으로 다행스럽다.) 가게로 거는 전화도 싫다. 이런 나의 공포증은 인터넷 상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1:1 고객상담 같은 서비스도 컴퓨터가 대답해주는 게 아닐테니 당연히 '일하는 사람'이 있을테니까. 싫다. 귀찮게 하고 싶지 않다. 그래서 나는 멍청한 짓을 손수 한 것이다. 그런데 오류 메세지 하나가 그 멍청한 짓조차 의미없는 것으로 만들어서 기분이 심히 나빴다. 더 기분 나쁜 것은, 이제 내가 피하고 싶어 미칠지경인 1:1 고객상담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아무리 싫어도, 이미 시작한 일이니 뿌리를 뽑자. 이렇게 생각하며 문의했다. 내가 페이퍼를 등록했는데 실수(혹은 오류)가 좀 있었다, 상태 메롱인 마이페이퍼 링크 주소는 이러이러하니, 좀 지워줄 수 있겠느냐, 혹시 여기로 묻는 거 아니면 말해주길 바란다. 다음에는 그쪽을 이용하게. (이런 황당한 문의를 읽어줄 것에) 감사한다. 어젯밤이었다.
오늘 아침에 답변이 왔다. 정말 기뻤다. 답변이 이렇게나 빨리 오다니, 역시 간단한 일이었구나! 행복에 차서 메일을 열어본 나는 순간 혈압이 오르는 걸 느낄 수 있었다. 답변은 너무나 간단했다. 단 한 줄이다.
"담당부서에 문의해주신 내용을 전달해드려 확인후 고객님께 직접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벌겋게 달아오른 얼굴로 벙쪄서 컴퓨터 모니터를 들여다보고 있는 내 모습을 누군가 봤다면 인간의 몸에 김치만두가 올려져있는 게 아닌가 의심했을 것이다. 잠시 어지럼증을 느끼고 정신을 차리니 웃음이 나왔다. 죽여준다. 내가 원하는 건 초 스피드로 날라오는 '담당부서에 문의해보겠네'라는 답변이 아니다. 결과물이다. 담당부서에 전달해서 확인 후에 '직접' 답변드리겠다는 어휘 사용은 대체 뭔가. 이 부사에서는 악의적이 아니라 고질적인 책임회피가 섞여있다. 직접? 누가 직접 답해준다는 걸까. 나에게 이런, 컴퓨터에 입력된 내용을 그냥 날려보낸 듯한 답변을 전달해주신 직원이? 아니면, 이 사람은 그냥 '전달'만 하고 담당부서의 직원이 답변을 해준다는 걸까? 깊은 불쾌감을 느꼈으나, 그러나 기다리기로 했다. 내가 '문의해주신' 내용을 담당부서에 전달드려서 답변을 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테니, 나중에 확인해보자.
그리고 지금 돌아왔다. 이런 글을 쓰고 있는 것만으로도 결과는 분명하다. 떨리는 손으로 '밝은 알 노래방' 카테고리를 클릭한 순간의 그 배신감. 강렬한 2차 어택이었다. 분명히 오전 9시 반 경에 온 답변이 담당부서에 내가 문의한 내용을 전달해서 나에게 직접 답변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아직도, 이런 작은 사건이 해결되지 못했단 말인가. 뭔가? 알라딘의 부서들은 세계 각지에 하나씩 흩어져있고, 지금이 한 200년 전이라 그까지 가서 답변을 받아오려면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니까 나보고 1년 정도 기다려달라는 말인가? 아니면 용어 이해의 차이였나? 나는 이 '답변'을 당연히 '해결'이라고 해석했건만, 이 사람은 그런 의미로 쓴 게 아니었던 걸까? 그렇다면 '해결'이 아닌 '답변'마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황당하게도 나는 알라딘의 플래티넘 고객이다. 그런데 이 지랄맞은 1:1 고객상담이 나의 구매액에 대한 회을 느끼게 한다. 껍데기만 있고 알맹이는 없는 1:1 고객상담은 알라딘의 적임이 확실하다. 껍데기는 가라. 나는 진짜 서비스를 원한다.
알라딘은 오류와 오류가 맞물려 돌아가는 기계였다. 그런데 그걸 고친답시고 아주 공장 이전을 했는데, 옮겨가는 과정에서 우습게도 '오류'라는 이름의 티끌을 잔뜩 끼워들여버렸다. 그것을 청소한다고 애를 쓰고는 있으나 티끌도 태산이 된다고, 워낙 자잘한 게 많다보니 아주 깨끗이 치워버리는 게 힘든 모양이다. 공장을 옮기는 과정에서 맞은 오류티끌 세례가 바로 대란(大亂)이었다. 그리고 지금은 그 여파로 진통을 겪고 있다. 한자를 괜히 大亂이라 쓰는 게 아니다. 알라딘이 겪는 그 진통때문에 나는 아직도 기분이 나쁘다. 이 수습기간이 끝나기는 할까. 궁금할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