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상은 책상이다
페터 빅셀 지음, 이용숙 옮김 / 예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상은 책상이다>는 교과서에 실려 있어서 읽게 되었다. 교과서에서 읽었을 때도 생각한 거지만, 글이 굉장히 간단명료하면서 단단하다. 그러나 읽다보면 느낄 수 있으리라, 겉과 달리 속은 의외로 부드럽다.
이 책에 나오는 일곱 개의 단편들은 각각 아주 기이한 행동을 하는 비현실적인 주인공을 가지고 있다. 그들 모두는 그 '기이한 행동' 때문에 사회에서 고립되어간다. 하지만 누군가가 '미친놈!'이라고 소리칠만한 그들을 작가는 부드럽게 감싸준다. 작가의 문체가 마치 바게트빵처럼 겉은 단단해 보여도 속이 폭신폭신 보드라운 것은 그의 마음이 그 소외당한 사람들을 감싸주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작가는 늘 그래왔다. 지구가 정말 둥근지 확인해 보려고 길을 떠난 노인을 기다리고, 말을 바꿔 세상에서 멀어진 남자를 혼자 주목해준다. 콜롬빈의 이야기를 믿어주고, 자신의 발명품들로 가득 찬 세상을 모르고 발명만 한 발명가를 존중해주며 기억력이 좋은 한 남자에게는 아무도 알지 못하는 숫자를 외울 기회를 준다. 말을 할 때마다 요도크, 요도크, 자나깨나 요도크밖에 모르는 할아버지를 아이의 시각으로 바라보며 애정으로 감싸주고, 마지막으로 아무 것도 더 알고 싶지 않았던 한 남자를 원래 삶으로 돌려보낸다. 보이지 않는 곳, 혹은 보이는 곳에서 작가는 이 기이한 남자들―이 일곱 개 단편의 주인공들은 모두 '남자'다―을 이해하며 따뜻한 시각으로 바라 봐준다.
잘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우리 주위에는 안으로, 안으로 굴을 파며 혼자가 되려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자폐증 환자처럼 퀭하니 혼자 중얼거리는 사람들, 편집증이라도 있는 것처럼 혼자만의 망상 속을 헤엄치고 있는 듯한 눈을 가진 사람들……. 누군가의 생활은 그 물밀 듯 들어오는 정보들에 의해 풍요로워지고, 편리해지고 있다. 그러나 복잡하고 정신없는 오늘날은 수많은 집단들이 있다.
다시 말해, '누군가(some)'라는 집단이 있다면 '다른 누군가(another)'라는 집단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 '다른 누군가'는 정보가 만든 벽을 치며 세상으로 나아가고 싶어한다. 이들은 정보화 사회가 낳은 희생양일지도 모른다. 구원의 손길이 절실한 이 시대, 페터 빅셀의 따스한 글이, 문자로 표현된 그의 손길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일지 모르겠다. 그리고, 내가 그를 찾은 것도 어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