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허삼관 매혈기를 읽었다. 이번이 두 번째였다.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인 ‘살아간다는 것’이 먼저였는지 아니면 이 책이 먼저였는지 지금은 잘 기억이 나지 않으나 아무튼 누군가로부터 ‘허삼관’은 아주 우습고 진지하고, 재미있고 눈물이 ‘핑’ 도는 이야기라는 말은 듣고 읽었던 것 같다.

   그러나 ‘살아간다는 것’의 감동에 묻혀서 ‘허삼관’은 상대적으로 내 기억 속에서 금방 묻혀버렸고, ‘허삼관 매혈기’를 읽고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나도 그 책 읽어봤는데, 괜찮던데…’라고 말하고는 했지만 줄거리조차 가물가물한, 과시용 책이었다.

   좀처럼 읽은 책을 다시 펼치지 않지만, 아이들과 독서토론을 하기 위한 책으로 이 책을 골랐기 때문에 또 한 번 읽었다. 새롭게 읽으면서 내가 ‘허삼관 매혈기’의 내용을 거의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러면서도 남들에게는 책을 읽었다고 폼을 잡았으니 이제야 부끄러움을 알게 되었다.

   남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자주 웃기도 했다는데, 나는 전혀 웃음이 나오지 않았다. 재미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많던데, 그 재미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들었으면 좋겠다. 재미야 눈물이 나서일 수 있고, 웃음을 주기도 해서 있고, 교훈을 주기 때문일 수도 있지 않겠는가?


   먼저 평등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에서 이 책을 읽고 든 내 생각을 말해 보고 싶다. ‘허삼관’의 판단대로 본다면 지금 우리 나라는 무척 살기 힘든 곳일 거다. 우리 모두가 가난했던 그 때(?)를 동경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그 때는 ‘허삼관’식으로 본다면 나름대로 평등했던 시대였을 테니 말이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조금은 풍요롭게 된 지금, 우리의 현실은 오직 죽음 앞의 평등 밖에 남은 게 없을 않을까 싶다. 오늘 이 땅을 살.아.가.야.만. 하는 ‘허삼관’은 분노했을까? 아니, 희죽 웃었을까?

  '허삼관'에게 ‘매혈’은 어떤 의미일까? 나는 이 책을 덮고 되돌아보면 희미하게 떠오르는 단어가 바로 ‘인생’이다. (이 단어는 이 소설을 쓴 작가의 4년 전 소설-살아간다는 것-을 장이모 감독이 영화화한 ‘인생’이라는 작품의 제목이기도 하다. 어딘지 그 작품의 주제와 비슷하기도 하다.) 피를 팔아서 아내를 얻고, 집안의 경제적 위기를 극복해 하고, 한 집안의 생계를 유지하고, 아들의 병을 고치고(그것도 자기 자식이 아닌-그런 점에서 보면 일락이가 병에 걸렸다는 사실은 ‘허삼관’이 얼마나 인간적인 면모를 지닌 사람인가를 보여준다.) 이것은 결국 자기희생을 통해 한 집안을 이끌어 가야 했던 우리 아버지의 인생과 닮았다.

   그러다 결국 맨 마지막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기 자신을 위해 매혈을 하려고 할 때는 더 이상 피를 팔 수 없게 된 것이다. 이것으로서 ‘허삼관’의 인생의 의미는 막을 내린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허삼관’의 인생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그것은 우리가 ‘인생’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우리가 인생이라는 것을 도달해야 할 어떤 목표가 있고, 그것을 이루어 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허삼관’의 인생은 아무것도 내세울 것이 없는 그저 그런, 보잘 것 없는 삶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이 위화라는 작가의 전작(前作)에서 꾸준히 천착해 온 주제인 살아간다는 것은 눈물의 강을 건너는 것이고, 우리가 고통을 견디고 인생이라는 고통의 강을 건너고 나면, 그 뒤에는 찬란하게 빛나는 영광의 흔적이 우리를 기다릴 것이라고 착각하며 살아가지만, 결국엔 인생이라는 것은 눈물로 고통의 강을 건너는 그 자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고 본다. 그렇다면, 아니 그런데도 우리는 왜 살아가야 하는 것인가?

   글쎄, 그건 우리 스스로가 해답을 찾아야 할 몫이다. 그래도 분명한 것 한 가지는, 살아간다는 것 자체는 위대하다는 것이다. 만약 ‘‘허삼관’이 피를 팔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그랬을 때 ‘허삼관’의 가족은 어떻게 되었을까?’를 생각해 본다면 ‘허삼관’의 인생에서 아무 것도 이룬 것이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싶다.


   ‘허삼관 매혈기’를 읽으면서 나는 우리 아버지, 생각이 많이 났다. 내가 ‘허삼관’이라는 사람을 마냥 우습게 바라보지 못한 이유는 그 때문이다. 어느 집마다 나름대로 사연 한 보따리 정도는 없는 집이 있을까? 돌이켜 보면 우리 집도 그런 듯하다.

   아버지는 중학교만 졸업하고 농사를 지었다. 온 가족들이 달라붙어 맨주먹으로 개펄을 개간해서 겨우 농사지을 수 있는 땅으로 바꾸고 나니, 공항 부지를 확장한다며 나가라고 했다. 그 때는 서슬 퍼렇던 박정희 시절. 온 가족이 입도 뻥긋하지 못하고 그대로 다시 쫓겨났다. 당장 먹고 살 거리도 힘든 시절을 견디며, 새로운 땅을 빌려 농사를 지었다.(아버지는 요즘도 시골로 이사를 가자고 하시는데, 어머니는 지금도 그 때의 일이 끔찍해서 ‘농사’이야기는 꺼내지도 말라고 하신다.)

   아버지 밑으로 다섯 남매가 태어났고, 농사만으로는 살림은 더 어려워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비롯한 가족들은 여전히 농사를 지었지만, 아버지와 고모들은 일터를 찾아 가까운 도시로 나왔다. 못 배우고 가난한 사람을 받아주는 일터는 역시나 험한 육체노동의 현장! 아버지는 그렇게 첫 직장인 주물공장을 십 오년 정도 다녔는데, 어릴 때 나도 몇 번 가 본 적이 있다. 험한 일이라 회사내에 목욕탕이 있어서 어떤 날은 어머니를 통해서 나를 꼭 오라고 하셨는데, 나는 경비실에서 아버지의 일이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다가 같이 목욕을 해야했다. 그 음습하고 지저분한 목욕탕과 아저씨들의 격의 없는 농담이 지금도 기억에 선명하다.(근데 목욕하러 가는 날은 정말 싫었다. 갖은 핑계를 다 대지만 어쩔 수 없는 일!)

   예순을 넘기지 못하고 할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이제 아버지가 집안의 가정이 되었다. 할머니와 고모, 삼촌들도 한 집에서 다 같이 살아서 우리 집은 식구가 많았고 적은 수입으로 생계를 유지하다 보니 어머니도 일하러 다녔다. 내 기억에 아버지는 언제나 늦지도 않고, 이르지도 않게 8시 30분에 귀가하셨고, 주말이면 늘 큰고모네 댁에 농사를 도우러 가는 분이셨다. 어릴 때 아버지와의 가장 좋은 기억으로는 가끔 나를 비롯한 동네 아이들과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축구를 했던 것이다.

   그러다가 내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시내에 있던 회사가 진해로 옮겨가게 되었는데, 아버지는 이참에 퇴직을 할 지, 회사를 따라 집을 옮길지를 고민하다가, 나이도 있고, 육체적으로 힘에 부치던 때라 퇴직을 택했다. 갑작스러운 퇴직에다가 세상 물정에 어두운 탓에 한 동안 방황하다가 사업이라는 걸 시작했는데, 말 그대로 ‘사기꾼’한테 당해서 지금껏 벌어둔 돈에다 빚까지 얻게 되어 집안이 쫄딱 망했다.

   우리가 거리로 나앉게 되었을 때, 아버지는 평생을 성실하게 산 증거물이자 우리 가족의 보금자리인 ‘집’을 지키기 위해서 백방으로 노력하신 건 기억에 분명하다. 결국 부모님은 무서운 빚 독촉을 받을까 봐(지금 생각하면 순박하셔서 그런 것 같다.) 다른 곳에서 거의 숨어 지내셨고 우리 세 남매는 작은 아버지네 가족과 같이 살게 되었다. 그 때 어머니는 한두 달에 한 번 다녀가셨지만, 아버지는 한 번도 오시지 않았다. 그래도 부모님에 대한 제사만은 잊지 않으시고, 우리를 사시는 곳까지 오라고 하셨는데, 그 때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해 밤길을 달릴 때의 서글픔은 내 기억 속에 오래도록 아프게 남아있다.

   이후로 한참 시간은 한참 흘러 우리 가족은 다시 합쳐서 살게 되었고, 언제부턴가 아버지와는 약간 어렵고, 껄끄럽게 지내게 되었다. 지금 생각해 보니 내가 기억이 있을 때부터 지금까지 ‘허삼관’이 매혈로 가족을 먹여 살린 것처럼 아버지는 한 번도 일하는 걸 멈춘 적이 없다. 끊임없는 육체노동! 오직 그것만이 당신이 가족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인 것처럼 생각하고 일해 오신 듯하다. 그런데 지금껏 한 번도 그게 고마운 줄 몰랐다. 그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으니까 말이다.

  이제 세월은 흘러 당신이 낳아 기른 세 자식 중에 둘은 이미 결혼을 해 분가해서 그런대로 살고 있고, 막내도 자신의 일터 가까이에 따로 살고 있어 그토록 지키고 싶어 하시던 그 집에 두 분만 덩그러니 계신다.(표현이 그래서 그렇지 집은 아주 작다.) 이제야 말로, 아버지는 ‘허삼관’처럼 자신을 위해 ‘매혈’을 하려고 하실지 모르겠다. 그 때 나도 ‘일락/이락/삼락’이처럼 ‘허삼관’의 마음을 모르는 아들이 될까봐 두렵다.


  자, 우리 아버지 이렇게 살아오신 분이다. 누가 이 인생에 대해 ‘의미’를 따질 수 있을까? 그것은 ‘의미’ 이전에 이미 위대한 무엇이 아닐까 싶다. 작가는 이것을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내일이 어버이 날이다. 카네이션과 선물을 사기 위해 종종거리는 우리 모두는 기억해 두어야 한다. 모든 자식은 아버지의 인생에 대해 빚을 지고 있다는 사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