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우리 반은……

느티나무


넋두리

   좋은 계절입니다. 놀기엔 아까운 날씨지요? 아까운 시간인데도, 저는 요즘 마냥 놀고 있습니다. 요 며칠 동안은 이런 안락함이 좋았습니다. 그러다, 어제 문득 뒤적여 본 잡지에서 저의 딱딱하게 굳어 껍질 같은 생각을 뚫고 들어와 시퍼런 날빛을 번뜩이고 있는, 비수 같은 구절을 읽었습니다. -교사는 자신의 이상을 강고하게 추구하지 않는 그 순간부터 퇴보한다. 아, 무서운 말이지요? 정체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을 향해 전진하지 않으면 뒷걸음질 친다고 하시더군요. 이 글을 읽은 순간 교사로서 저의 꿈과 이상은 무엇이었던지 갑자기 까마득해지더군요.   처음부터 커다란 무엇을 기대하지 않았던 게 문제였을까요? 지금 떠올려보니 저에게 아직까지 그런 게 남아있는지, 이렇게 마냥 넋두리를 늘어놓게 만드는 이 불안감의 정체는 무엇인지, 벌써부터 현실을 너무 많이 인정하게 된 것은 아닌지, 지금까지 제가 교사로서 해 온 여러 가지 일들이 방향을 잃고 바람에 따라 우쭐대기만 하던 ‘허수아비’ 모양은 아니었던지 되돌아보게 됩니다.


□ 2학기의 우리 반

   예전부터 방학을 지내고 오면 아이들이 부쩍 컸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더군요. 2학기에 만나고 있는 우리 반 아이들은 대하기가 한결 편해지고, 이야기도 제법 되는 것 같습니다. 1학기에 신상파악을 위해 했던 개인 면담을 2학기에 들어 다시 한 번 하고 있습니다. 시간을 넉넉하게 두고 천천히 해 보려고 마음먹고 있습니다. 우리 반 학급 ‘날적이’는 요즘 잘 나가고 있습니다. 개인마다 편차는 조금씩 있지만 그래도 진솔한 내용도 제법 실리고, 무엇보다도 ‘날적이’가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되어 아이들 사이를 돌아다니고 있다는 사실 자체에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 야간 자습의 갈등 상황 중심 잡기

   2학기 들어서는 야자 쿠폰제와 ‘학부모 동의서’ 제도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습니다. 꼭 야자 쿠폰이 아니더라도 여러 선생님들께서도 이와 비슷하게 긍정적인 보상 제도를 도입해 보신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저도 예전에 지각생을 대상으로 해 본 적이 있었습니다. 학급 행사에 적극적인 참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꼭 그 쿠폰을 받아가기 위해서만 움직이는 것 같아서 씁쓸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우리 반 녀석들은 이제 시작 단계라 아직은 조심스럽고 신기하게 느껴지나 봅니다. 스스로 꼭 필요한 경우에 알아서 잘 쓰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아이들은, 이번 이종격투기 중계해 주는 날 많이 사용하더군요.]

   야자 쿠폰과 함께 아울러서 서서히 야간 학습의 갈등 상황에 대한 제 생각의 중심이 잡히기 시작했습니다. 당연한 일이겠지만, 방과 후에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원할 경우엔 꼭 학교가 아니어도 자기가 공부하고 싶은 곳에 가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온당할 것 같습니다.[이런 당연한 결론이 왜 그렇게 어렵게 내려질까요?] 그래서 우리 카페에 의주샘이 올려놓은 학부모 동의서를 내려 받아 필요한 학생들에게 주었고, 열 서너 명은 정기적으로 집이나, 독서실, 학원에 가서 공부하며, 교실에는 스물다섯 명 내외의 아이들이 앉아서 자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야간자습에 대해 혼란스럽던 제 생각이 조금씩 정리가 되고 보니 한결 마음이 편합니다.


  • 깨끗한 교실 만들기

   사실 제가 집에서는 그리 깔끔한 편이 못 됩니다. 그러나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우리 반 교실은 정말 말도 못할 정도로 지저분하고 약간 퀴퀴한 냄새도 납니다. 학교 건물 자체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치더라도, 자기 쓰레기를 아무 곳에나 버리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선생님처럼 먼저 쓰레기를 주우면서 ‘같이 줍자’고 이야기하기엔 제 속이 부글부글 끓고, 청소를 용역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당위[이것도 꼼꼼하게 따져보아야 할 논란거리기도 합니다.]는 지금 당장은 너무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들려서, 저는 아이들에게 청소시간만큼은 함께 청소하자고 강조[아이들의 입장에서는 명령, 협박쯤 될까요?]합니다. 일단 깨끗해진 교실이 다시 더러워지는 데는 하루도 안 걸리지만, 얼마 동안이라도 깨끗한 환경을 누릴 수 있다면 청소시간엔 모두가 청소를 열심히 할 수 있도록 늘 교실에 있을 생각입니다. [청소 시간에 땡땡이치는 녀석들을 보면 다른 아이들이 힘들게 청소하고 있는 것과 겹쳐져서 정의감에 불탈 때도 가끔 있습니다.]


  • 추억이 있는 우리 반

   이대로 시간이 지나가 버리면 이 녀석들은 2005년의 고등학교 1학년을 어떻게 기억할지 답답하기만 합니다. 늘 똑같은 일상이 반복되고 있으니 쳇바퀴 속에 갇힌 다람쥐를 떠올릴까요? 어쩌다 혹시, 학교에서의 좋은 기억을 떠올린다고 해도 그 기억에 담임인 저는 없을 게 분명합니다. 아이들이 떠올릴 행복한 기억은 대부분 친구들과의 우정 같은 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7년차 담임인 제가 욕심을 좀 부려본다면 아이들의 행복한 기억, 어느 한 틈에 나도 끼어들고 싶다는 것입니다.

   이번 중간고사가 끝나는 주 토요일에 아이들이랑 점심을 먹기로 했습니다. 고기 구워 먹자는 녀석들도 좀 있는데, 저도 물론 고기 먹는 걸 좋아합니다만, 그게 마음대로 되는 건 아닙니다.

   학교 사정도 사정이지만, 토요일에는 빨리 점심을 먹고 등산을 가려고 계획 중이거든요. [몇 년 전에 담임을 할 때는 강제로 데려갔던 적도 있었는데] 이번에는 각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되, 함께 가는 학생들과는 확실하게 친해지려고 노력할까 합니다.[아이들과 가장 친해지는 방법은 쿠폰일까요?] 시험이 끝난 주말이니, 아이들은 근처의 어느 피시방과 노래방을 전전하거나, 친구들끼리 어울려 근처의 배회하겠지요?[제 시각이 아이들에 대해 너무 부정적인가요?] 그 날 하루만이라도 저와 함께 산에 오를 수 있는 녀석들이 우리 반에 좀 있었으면 합니다. 그냥, 그 날 산에 오른 게 아이들의 즐거운 기억의 한 자락을 차지하고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예전에 밧줄을 타고 내려온 금정산 파리봉 근처로 가려고 합니다.]


․ 그리고 남은 문제들

 - 아이들의 성적표, 어떻게 전해주어야 할까요?


 - 담임이 물렁하다는 주변의 시선에 상처받지 않는 방법, 아세요?


 - 청소시간에 빠지고도 미안한 기색이 없는 녀석들, 어쩌면 좋을까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05-09-30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문제들에 대한 답을 아시거든 꼬옥 공유해주세요.
저도 야자에 대해서는 학부모 동의서를 활용하는데, 문제는 그것조차도 한달이 지나도록 못 가져오는 애들이 있다는 겁니다. 이런 문제로 집에 일일이 전화하는 거 고자질하는 거 같고, 또 그 부모들도 학기초에 전화해본 경험으로 보면 학교에서 전화오는 거 귀찮아하는 거 같고, 애들 내버려두는 거 같고...학년 부장은 담임이 애들한테 끌려다닌다고 하고...어떡하면 좋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