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현대사의 길잡이, 리영희
강준만 편저 / 개마고원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나는 지금 내 마음이 분노의 감정으로 가득차 있는 걸 알고 있다. 하지만 지금이야 말로 내가 한국현대사의 길잡이 리영희라는 책의 리뷰를 쓰기에 더없이 좋은 때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은 뜨겁지만, 머리 속의 생각들은 차갑게 식히고 곰삭여서 이 리뷰를 쓰고 싶다. 감히 단언하건데, 그 분의 글쓰기가 야만적인 한국 사회에 대한 분노를 이성적으로 풀어낸 결과물이 아닌가?
얼마 전에 리영희선생님의 강연회가 부산에서 열렸다. 강연이 끝나고 마지막 질문으로 "선생님께서 만약 교직 생활을 하셨다면 어떤 교사가 되시겠습니까? 교사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라고 말씀드렸더니 리영희 교수님의 말씀의 요지는,
교사는 지식인 일반인으로서, 그리고 교사로서 특수한 임무와 가치 추구가 있다. 보다 더 균형잡힌 사회(관), 세계(관), 인간관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우리는 광적인 권력추구형 인간을 양성해왔다. 이제는 이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런 기형적 가치에서 스스로 벗어나 깨우치려면 끊임없는 독서와 토론이 필요하다. 시간을 두고 각고하는 노력으로, 믿음으로 해나가야 한다. 후세들에게 어떤 유혹도 거부하고 진실을 추구하도록 아이들이 저항감 없이 옳은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해석하고 가르쳐 주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나는 지금 아이들에게 어떠한 유혹도 거부하고 진실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가? 설사 내가 아이들에게 그런 말을 한다고 하더라도-누군가에게는 말이 말로 끝나겠지만, 말을 한다는 것은 곧 '행동'한다는 것을 뜻하는 분이 리영희교수이다.- 내 자신이 부끄럽지 않도록 내가 진실을 추구하며 살고 있는가? 아이들에게 진실을 말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내가 알고 있는 것이 진실인가? 앞의 리영희 교수의 답변을 새겨볼 때마다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아이들과 더불어 행복한 삶을 꿈꾸며 들어온 교직생활. 그러나 학교라는 곳도 우리나라의 이 모순적인 배경에서 비껴날 수 있었을까만,-정말, 학교가 딱 그 정도만 되어도 이해한다.- 그러나, 오히려 우리나라의 비이성적이고, 야만적인 모습들만을 노골적으로 축소해 놓은 끔찍한 곳이 바로 학교다.
합리적으로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에게 집단이 공공연하게 '왕따'시키자고 제안하는 곳이 학교다. 그러면서 그 선생들은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왕따'를 어떻게 설명할지? 아무나 보고 "이 학교 선생들은 미쳤다"고 욕을 하는 선생이 없나? 합리적인 토론이나 설득은 없고, "몇 살인데?", "어린 게..." 가 입에 붙어 어떤 말도 소용없는 선생이 있지 않나?(더 웃긴 건 그런 말을 하는 선생이 겨우 34,33살이고 그 말을 듣는 선생은 29, 28, 27살이다.)
나는 이런 황당무계한 사건들을 들을 때마다 미칠 것 같다. 처음에는 분노의 감정이 치솟아서 어쩔 줄을 모르겠다. 그러나 이런 즉자적인 분노의 감정이 가라앉으면 차분히 무엇이 잘못 되었나? 나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를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나면 어느새 그 감정들은 봄눈 녹듯 사라지고, 다시 일상이 반복된다. 그리고 답답한 건 나에게 직접 이런 일이 맞딱뜨려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분노의 감정도 이성적인 사고도 행동으로 잘 연결이 되고 있지 않는다.
이런 답답한 환경 속에서 아무런 행동을 하고 있지 못하는 내가 리영희 교수에 관한 책을 읽는다는 것은 괴로운 일이다. 책을 읽으면 사람은 자기 자신을 비춰볼 수 밖에 없는데, 제대로 살고 있지 못하는 내가 더욱 도드라지기 때문에, 책 속의 인물과 상황이 자꾸 책 밖으로 나와 내 곁에서 말을 걸기 때문에, 나는 괴로운 것이다.
나의 괴로움과는 무관하게 그런 점에서 리영희 교수를 생각해 본다면 진실로 '대단한 사람'-'위대한'이라는 표현에는 그가 그토록 싫어하는 '우상'의 냄새가 풍기고 있지 않은가?-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실증할 수 있는 자료를 근거로 사실을 찾고, 사실에 근거해서 진실을 발견하고, 진실에 다가가려고 행동하는 일을 지식인의 의무로 알고 평생 그 의무를 감당해 온 사람이라 그렇다.
나는 80년대에 대학을 다니지 않았지만 그래도 그의 글을 읽는 것은 여전히 가슴이 두근거리는 일이었다. 아마도 '우상과 이성'이었던 것 같은데, 그 책을 읽고 나서는 안개 뒤에 가려진 실체가 조금은 보이는 것 같아 더 고민이 많아지기도 했다. (정말 대부분의 사람들이 말하듯, 그의 책을 읽으면 고민이 많아지는 것은 분명하다.) 이후로도 여러 권의 책을 읽었다. '역정',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 '스핑크스의 코', '반세기의 신화', '동굴 속의 독백' 등이 지금도 우리집 책장에 꽂혀 있는 리영희 교수의 책이다.
결국 그의 글은 행동이기 때문에 진실하다. 세상 사람들이 두려워해서 진실을 말할 용기가 없을 때, 혹은 다른 어떤 이유로 진실을 외면할 때, 그는 그 진실을 외면하지 않았고, 진실에 다가갔다. 그러므로 그 진실을 알리고자 글로 쓴다는 것은 단순히 자기의 생각을 표현한다는 차원의 글쓰기가 아니라, 글을 쓰는 행위 자체가 곧 실천하는 행동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글은 행동과 분리될 수 없는 글쓰기가 되는 것이다.
이제 리영희 교수가 한 점 흐트러짐 없이 걸어간 눈 덮힌 발자국을 따라 뒷사람들이 따라야 할 시점이다. 이 책을 나침반 삼아, 벗 삼아, 리영희 교수가 걸어온, 진실을 찾아 걸어온 그 길에 나도 함께 오르고 싶다.
그리고 강준만 교수의 글쓰기에 대해서 잠깐 생각해 본다면, 리영희라는 투명한 창을 통해 한국현대사를 바라보려던 이 책의 의도는 나름대로 성공을 거두고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한국현대사의 중요한 고비마다 침묵하지 않고 용기를 낸 '외로운 호랑이의 포효' 덕분이기도 하지만, 강준만 교수의 충분한 자료 준비와 쉬운 글쓰기의 미덕을 바탕으로 한국현대사의 중요한 흐름들을 잘 짚어내고 있다.
그러나 어느 부분에서는 주관적인 감정의 개입이 너무 확연히 드러나서 조금 어리둥정한 부분도 있는데, 전라도 지역의 지역감정에 대해 발언한 대목이 특히 그렇다. 이런 주장이야 계속 제기되어온 문제였는데, '리영희를 통해 본 한국현대사'라는 이런 공간에서도 흐름을 끊어가며 길게 설명해야 했을까? 하는 생각이 그 부분을 읽는 동안 들었다.
아직 리영희 교수가 어떤 사람인지 모르는 사람에게는 꼭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거기에서 그치지 말고 아직도 우리 사회에 유효한 리영희 교수의 勞作으로 나아가기를 바란다. 나로서는 별 다섯 개가 전혀 아깝지 않다.
- 학교가 상식적이고 이성적인 배움터였으면 하는 생각도 아울러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