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독서토론회가 있었다. 처음 해 보는 것이라 그렇게 기대를 한 것도 아니고, 앞으로 하다 보면 차츰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느긋한 마음에서 독서토론회를 열었다. 월요일에 수학여행을 가는 2학년들이면서도 토요일 오후에 12명이나 자리를 지켜준 것에 우선 놀랍기만 할 뿐이었다.

   처음에는 참가자들도 쑥스러운 분위기라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나면 금방 침묵이 이어졌지만, 차츰 시간이 지나자 이야기들이 활발하게 오고 갔다. 간혹 이야기가 옆으로 흘러서 논점이 흐려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이내 제자리를 찾아 와서 토론이 진행되었다. 덩달아 나도 어떤 자세를 취해야할 지 몰라 논쟁을 유발할 수 있는 토론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토론의 분위기는 상당히 자유로웠던 것 같다.)

   참가자들의 의욕도 상당히 높아서 앞으로가 더욱 기대가 된다. 모두 정기 모임으로 전환하자는데 동의를 했고, 책 선정에 관한 내용과 토론 주제를 대한 의견, 구체적인 개최 일시에 대한 이야기와 토론 사회자의 역할까지... 다양한 점이 검토의 대상이 되었다. 서둘러 회의를 정리하고 나니 오후 4시가 되었다.

   교무실에 내려와 토론사회자와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근데 충격적인 정보를 듣게 되었다. 사회자의 말에 따르면, 자기가 토론 참가를 권유했을 때 거절하는 학생들은 주로 세 가지 이유를 말했다고 한다. 느티나무선생님이 하는 거라서, 책 읽는 게 귀찮아서, 토론이 부담스러워서... 물론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은 제일 첫 번째라고 하였다. 허걱~! 나로서는 어이가 없을 따름이었다. 게다가 옆에 서 있던 OO이가 "선생님은요, 좋아하는 학생과 싫어하는 학생이 확 갈려요" 라는 말까지 전해줬다.

   아! 안 들었으면 더 좋았을 것을... 그 두 친구를 먼저 보내고, 교무실에 앉아서 잠시 숨을 돌렸다. 갑자기 쏟아지는 잠! 그 때부터 거의 정신을 잃고, 두 시간을 내리 잤다. 누구 말에 의하면 정말 축 늘어져서 잠을 잤다고 한다. 깨고 보니 토요일 오후 6시였다. 그렇게 허무하게 나의 토요일 오후가 가 버린 것이다. 서둘러 가방을 챙겨 집으로 오는 길.

   꿀꿀한 기분에 지하철을 타려고 터덜터덜 걸어오다 3학년의 OO이를 만나서 같이 걸었다. 나는 OO이를 잘 몰랐던지라-사실, 그 학생이 OO이라는 것도 나중에 알게 되었다.- 그냥 걸으면서 일상적인 이야기를 하며 오는데 내 수업을 들으면서 들었던 느낌을 자세하게 말해주는 것이었다. 생각지도 않았던 과분한 칭찬. 갑자기 또 힘이 쑥쑥 생기며 기분이 조금은 밝아졌다.

  이러면서 첫 번째 독서토론이 끝났다. 오늘 아이들은 수학여행을 떠났고 나는 다음 독서토론회에는 어떤 책으로 이야기를 한 번 해 볼까?하는 고민을 하고 있다. 내가 너무 쟁점에 집착하는지는 몰라도 논쟁이 될만한 책을 고르고 싶다. 이 글을 보는 '알라디너'께서 학생들이 읽기에 좋은 소설이나 책을 추천해 주었으면 한다.

   밤이 깊었다. 가슴 속에서 답답했던 이야기를 풀어내고 나니 한결 낫다.

[추신]

   토요일에 만났던 OO이가 이야기를 다 못 했다며 청소시간에 찾아왔다. 도무지 집중이 안 되어서 공부를 못 하겠다는 말을 했다. 내가 무엇을 해 줄 수 있으랴? 그냥, 단지 누군가에게 집중이 안 된다는 이야기가 하고 싶었던 것이겠지! OO이의 마음도 한결 나아졌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04-21 22:4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