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림산방 앞 정원

   운림산방은 소치 허련이라는 화가가 만년에 서울 생활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와 거처하며 그림을 그리던 화실의 당호인데 달리 운림각이라 하기도 했다. 운림산방 앞에는 네모난 연못이 있는데 못에는 흰 수련이 피고 연못 안에 만들어 놓은 둥근 섬에는 배롱나무가 보기 좋게 자라 있다고 하는데, 나는 이것 역시 볼 수가 없었다.

   진도읍에서 깨어난 아침, 날이 잔뜩 흐렸다. 게다가 바람까지 쌀쌀하게 불어대고... 영 봄맞이 하러 나온 기분이 아니었으나, 사람의 손길로 깔끔하게 치운 듯한 운림산방의 깨끗함이 좋았다. 비록 복제품이 대부분일 산방과 기념관 안의 그림일지라도, 잠시나마 아무 생각 없이 그림 구경한 것으로도 거액의 입장료를 낸 값은 충분히 치뤘다는 생각이다.

 


진도 쌍계사 들어가는 길

   대웅전과 명부전, 요사체 등으로 이루어진 아담한 규모의 절인데 100년쯤 된 조선 향나무를 비롯하여 벚나무, 감나무 등 제법 큰 나무들 사이로 넓적넓적한 돌을 깔아 길을 내 놓은 대웅전 앞뜰이 인상적이다.

   언제나 절집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드라마틱하다. 절입구에는 절대로 절이 바로 보이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길이 바르면 절 입구를 약간 비스듬하게 만들어 놓거나, 아예 굽은 진입로를 만들기도 한다. 끝이 보이지 않는 설계로 진입로의 공간감은 더욱 깊어지고, 짧은 길도 걷는 사람이 충분히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 놓는다. 쌍계사를 보면서 이런 생각이 또 한 번 들었다.

 

 


진도, 신비의 바닷길

   해마다 음력 2월 그믐에서 3월 보름 사이의 영등살(영등사리)날이면 진도 동남쪽 바닷가의 고군면 회동마을과 그 앞바다의 의신면 모도 사이에 바다가 갈라지는 '기적'이 일어난다. 물이 빠지면서 폭 30-40m, 길이 2.8km 가량 되는 바닥이 드러나 길이 생기는 것이다. 바닷길이 갈라지면 물가에서 기다리던 사람들이 왁자하게 뛰어들어 자연의 신비를 맘껏 즐기지만 한 시간이 채 안 되어 바다는 도로 닫혀 버린다.

   음력 2월 얼마만 빼면 언제나 한가한 진도의 동남쪽 바닷가이다. 실제로 그 기적 같은 일을 내 눈으로 본다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이번에는 차라리 그 날이 아닌 게 얼마나 다행이었는지 모른다. 빗방울은 후두둑 떨어지고, 하늘은 낮게 내려와 웅크리고, 진도 해안을 달리는 내내 괜한 상념에 젖을 수 있어 좋았다.

 

 


진도대교

   망금산 전망대에서 본 진도대교. 전망대에서는 진도 일대와 바다 건너 해남 땅, 그리고 다도해의 푸른 바다 위에 수없이 떠 있는 섬들을 볼 수 있고 또한 해남과 진도를 연결하는 길이 484m의 진도대교가 한눈에 내려다보여 시원하기 그지 없다.

   그러나 그 시원한 전망은 저 사진 한 장도 겨우 찍을만큼 밖에 보이지 않았다. 진도 밖으로 나오다가 오른 전망대. 게다가 비까지 뿌리고, 땅끝마을에서 타야 할 보길도행 배 시간이 너무 빠듯했기 때문이다. 비구름을 잔뜩 머금은 하늘. 아마도 마지막 겨울 심술을 부려대는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