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공부방 캠프는 1993년 여름이었다. 그 땐 충청북도 진천이라는 곳에 농활을 겸해서 떠난 캠프였는데, 지금도 그 때 했던 여러가지 활동들이 기억난다. 모기와 사투를 벌이느라 더 힘들었던 담력 훈련이며, 한여름 땡볕에 밭에서 콩을 심었던 일이며. 돌아오는 길에 가까운 개울에서 물놀이를 했던 기억까지. 새록새록 솟아난다.

   2000년부터. 다시 이어진 공부방 캠프. 2000년 여름엔 언양의 살티공소에 갔었나, 그랬다. 그리고 해마다 여름이면 열 일을 다 제치고 참가했던 공부방 여름 캠프. 그러는 사이 초등학생이던 어린이가 대학에 들어가 공부방 선생님으로 돌아왔고, 우리와 함께 하던 많은 선생님들이 공부방을 떠나 각자의 삶터로 돌아갔다. 그랬다, 이번 공부방 캠프가 나에겐 열 번째 캠프였다.

   강원도 삼척의 맹방해수욕장 입구에 故 지학순 주교님의 별장이었던 곳이라는데 지금은 천주교 휴양소로 운영되고 있는 작은 집이 올 여름 우리들의 캠프지였다. 건물은 아주 낡았으나 본채와 별채가 각각 독립되어 있는 구조(그러니까 각 건물마다 화장실이 있어서 좋았다.)와 비교적 깨끗하게 정리되어 있는, 넓은 마당이 마음에 들었다.

   8월 1일, 오후 학생들이 짐을 풀자마자 교사들은 텐트를 펼쳤다. 마당 한 곳에다가 1인용 텐트 2개를 비롯해서 5개를 쳐도 마당엔 40명의 대식구가 넉넉하게 밥을 차려먹고 마음대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했다. 아이들은 바로 해수욕장으로 달려가서 물놀이! 몇몇 선생님들은 아이들 따라 가고, 나는 마당에 앉아 가지고 갔던 윤성희의 거기, 당신,을 펼쳤으나 눈에 들어오지 않아서 곧 그만두고 말았다.

   이번 캠프에선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아이들 밥만 열심히 챙겨주리라, 또 말없이 설거지를 해 주리라하고 마음 먹었는데, 결론적으로 마음처럼 쉽지는 않았다. 저녁에 삼척시내에 잠시 다녀왔다.밤에 마당에서 영화를 보기로 했는데, 정작 영화를 빌려오지 않아 삼척 시내를 뒤져서 영화 CD 두 장을 빌렸다. - 1번가의 기적,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우여곡절 끝에 영화를 봤는데, 다행스럽게도 반응이 괜찮았다.

   다음날 동해의 일출을 꼭 보리라 마음 먹었는데 새벽의 기상청 3시간 예보는 비 올 확률이 40%로 나왔다. 이후로 점점 강수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봐서 낼 아침은 날이 흐릴 것이다는 생각을 하고 텐트에서 잤는데, 새벽에 빗방울이 후두둑 하는 소리에 놀라 잠을 깼다. 그 때가 새벽 4시 50분이었다. 내가 잔 텐트는 방수덥개가 없어 비가 오면 물이 샐까봐, 나도 모르게 자면서 긴장하고 있었던 가 보았다. (그러나 이내 비는 그치고 다시 잠이 들었다.)

   둘째날은 아이들이랑 모두 동해시에 있는 무릉계곡으로 물놀이를 갔다. 두타산과 청옥산이 만나 깊은 계곡을 이루었는데 피서온 사람들로 계곡이 넘쳐났다. 계곡 들어가는 입구에서 다시 가랑비가 내리기 시작했으나 이왕 여기까지 온 거 끝까지 놀다가 가자는 심정으로 계곡에 자리를 잡았다. 나는 또 물이 들어가기가 싫었다. 여벌 옷도 일부러 준비하지 않아서 애들이 물을 뿌리려고 하면, '디카'가 주머니에 있다고 사정해서 빠져나왔다.(사실, 디카는 이미 맡겨두었다.)

   오후에 다시 숙소로 돌아와서 서둘러 점심을 먹었다. 다시 아이들은 물놀이를 하고 다른 사람들도 마지막 물놀이라고 생각하는지라 모두 해수욕장으로 나갔다. 나는 물에 들어가는 것이 귀찮고 찝찝해서 눈에 안 들어오는 책을 집어들었으나, 이내 곧 잠 속으로 빠져 들어갔다. 잠을 깨니 슬슬 저녁 준비를 해야할 시간이었다. 이날 저녁은 맛있는 삼겹살! 나와 다른 선생님 세 분이 함께 엄청난 양의 고기를 구웠고(공부방에서 자주 하다 보니 숯불에 고기 굽는 실력이 날로 늘고 있다.) 모두들 맛있게 먹었다.

   뒷정리를 하는 동안 아이들은 동네 산책을 다녀왔고, 이어서 영화 상영. 어제보다는 환경이 훨씬 나았다. 마당에 편한 자세로 1번가의 기적을 봤다. 음... 다시 보니, 제목이 잘 못 됐단 생각이 들었다. 1번가의 기적은 없다,가 제대로 된 제목이 아닐까 싶었다. 아, 이 영화는 우리 공부방과 자주 함께 활동하는 연산동의 물만골 공부방 부근에 세트장을 짓고 촬영을 해서 영화를 보는 내내 낯익은 풍경이 많이 나왔다.

   밤이 훌쩍 깊었다. 아이들은 하나 둘 자러 들어갔고, 바닷가로 낚시하거 가셨던 마태오 아저씨께서 붕장어 네 마리를 낚아서 오셨다. 나도 텐트 속에 누웠다가 나와 소주 한 잔과 붕장어회를 한 젓가락 먹었다. 요즘은 어딜 가도 이런 회식 자리가 싫어서 남들이 하는 이야기를 말없이 듣고만 있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내일 일정도 빠듯하여 금새 자리가 정리되었다.

   텐트에 누우니까 빗방울이 후두둑 떨어졌다. 울퉁불퉁한 바닥에 몸을 대고 빗소리를 들으며 가만히 있었다. 이렇게 있는 거 참 오랜만이었다. 어쩌면 내 생애 처음일지도 모르지. 불편하지만 불편한대로 매력이 있는 텐트 생활이다. 새벽엔 비가 그쳤지만 날이 꽤 추웠다. 가지고 간 이불도 없었기 때문에 새벽부터는 잠이 깼다 들었다를 반복했다.

   아이들이 아침을 준비하는 걸 잠깐 보고 수녀님들과 가톨릭 신자인 다른 선생님들과 함께 삼척 시내에 있는 성내동성당의 미사에 참여했다. 나로서는 진짜 오랜만에 가보는 미사였다. 집중은 당연히 안 되고, 그냥 미사 중에 나오는 말들이 계속 귀를 맴돌아 머릿속에서 윙윙거렸다. 하지만 마음이 불편하지는 않았다. 미사를 마치고 나오는데 비가 쏟아졌다. 마음이 급해서 서둘러 돌아왔다.

   돌아오니 우리 숙소는 햇볕이 쨍쨍! 아이들은 이미 아침을 먹고 짐정리를 하고 있었다. 남은 밥이 없어서 컵라면으로 아침을 대충 먹었다. 내 짐도 챙기고 숙소 뒷정리도 후다닥 해치우고 나서 버스에 올랐다. 우리는 추암해수욕장 근처에 있는 촛대바위에 들렀다. 해가 돋는 아침이었으면 장관이었을 거 같은데, 한낮이라 별다른 감흥은 없었다. 변화무쌍한 하늘만 좋았을 뿐!

   숙소 근처의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우리는 부산으로 출발했다. 동해에서 포항으로 내려가는 7번 국도는 아름다운 동해의 여러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게다가 울진 근처에서는 적당히 길도 막혀서 풍경을 보기에 더욱 좋았다. 다시 책을 펼쳤으나 몇 장 읽지 못하고 또 덮었다.(여행 가서 한 40 쪽이나 읽었을까?ㅋ) 이후 쏟아지는 잠!

   부산에 도착하니 6시 40분이었다. 아직도 날이 훤했다. 공부방에 짐을 옮기느라고 한 시간 정도 들었다. 이후에 선생님들과 간단한 저녁 식사를 했고, 난 밥만 먹고 바로 일어섰다. 돌아오는 길이 참 가볍다는 생각을 했다. 이것으로 나의 열 번째 여름 캠프는 끝났다. 앞으로는 당분간 공부방도 방학이다. 이번 방학에 꼭 해야 할 일 두 개가 끝난 셈이다.

   이제 보충수업만 끝나면 나만의 방학을 즐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