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에서 제대로 책 읽기
 - 학습동아리를 운영해 본 결과를 중심으로

느티나무

1. 독서교육 열풍, 문제 없나?

  누구나 말한다, 책을 많이 읽어야 생각이 깊어지고 생각이 깊어야 공부도 제대로 할 수 있고 올바른 인간으로 자라날 수 있다고. 학교 밖에서 생각하기에 책읽기는 이제 획일적인 입시교육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세주가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아무도 살피지 않는다, 왜 지금까지 학교에서는 책읽기를 하지 않았는지, 정말 학교에서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는지,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말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과 함께 책을 읽을 시간을 내기조차 빠듯할뿐더러, 지금까지는 책을 읽으려는 시도를 공부에 방해된다고 막아왔던 것이 현실이지 않았나? 그런데, 갑자기 아이들에게 책만 많이 읽히면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처럼 몰아가는 분위기는 분명 문제가 있다. 

  갑자기 불어온 논술 열풍도 같은 맥락이다. 사물이나 세계에 대한 자신의 논리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창의력과 합리성을 글로 표현하는 방법인‘논술’을 기껏 한 두 달 만에‘교육’시킬 수 있다는 황당한 인식이 지배하는 우리나라에서 정작‘논술’이라는 시험이 목표로 하는 논리적 사고력을 가진 학생이 제대로 선발될 가능성은, 단언컨대, 없다.

  그런 맥락에서 이번 교육청 심화학습동아리 공모에 응했던 나의 선택은 양날의 칼이다. 현실의 여건을 핑계로 손 놓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잘만 활용하면 제대로 된 책읽기, 진정한 글쓰기를 학교에서도 시작해 볼 수 있으리라는 자신감이 생겼다. 적어도 두 달자리 속성 과외는 아니니까 말이다. 단, 이 학습동아리의 활동이 소수의 재능 있는 아이들의 당면한 입시만을 목적으로 한 것이라면, 모든 학생의 부모님이 낸 세금으로 일부의 아이들에게 비싼 과외를 해 준 셈이니 교사로서는 일부의 아이들에게 특혜를 베푸는 것이니 조심해야 할 것이다.

2. ‘좋은 책’을 바탕으로 삶 읽기

 가. 어떤 책이 좋은 책일까?
  책읽기를 통해서도 교육이 가능하다면 가장 기본적인 전제가 좋은 책을 골라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재론의 여지가 없는 이 명제를 학교 현장에서 실천하는 것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가장 중요한 좋은 책을 정하는 게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많이 팔린 책이 꼭 좋은 책은 아니라는 것은 이제 상식에 속한다. 그럼 고전이라고 불리는 책은 괜찮지 않을까? 고전도 전부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고등학교 아이들의 눈높이나 정서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고 보면, 무엇을 골라야 할지 막막해 진다.

  그런데, 나는 이번 동아리 활동에 아이들과 ‘좋은 책’을 읽었다. 내가 생각하는 좋은 책은 이렇다. 이번에 아이들과 함께 읽은 책은 서른 권정도. 이 책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책의 영역이나 주제, 내용, 형태…거의 모든 것이 다 달라 보이지만 서른 권을‘내가 전에 읽었다’는 것은 공통적이다. 하나 더 추가하자면, 내가 읽고 좋다고 느꼈다,는 것이다. 또 별로 중요하지는 않지만 하나 더 꼽자면, 그 책을 읽으며 좋다고 느낄 때, 고등학생들이 읽고 이해할 만한 수준이구나라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좋은 책이란, 먼저 읽은 사람(책읽기에 관심이 있는 교사면 더 좋다.)이 좋다고 느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막연하고 억지스럽겠지만 이것에서 한 걸음도 더 앞으로 나갈 수 없다. 그리고 누군가가 아무리 좋은 책이라고 말해도 결국 읽어 본 사람이 좋은 책이라고 느껴야 하는 것이니 다른 여러 가지 정의도 결국 무의미한 것이 아닐까 싶다.

나. 책을 읽고 무엇을 할까?
  당연히 책만 읽는다고 생각이 저절로 자라는 건 아닐 터. 그러니 책을 읽고 난 아이들과의 활동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책읽기 교육의 핵심이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독후 활동이라고 말하는 이 활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들의 창의력과 상상력이 많이 부족한 것이 아니었나 싶다. 그러니까 단순히 독후감 쓰기에 그치는 독후 활동이 독서 교육의 획일화를 부르고, 독서 교육의 중요한 목표인 다양하고 독창적인 사고력을 가로막는 중요한 걸림돌인 셈이다.

  물론 과문(寡聞)한 탓이겠지만, 기존의 독후 활동을 참고로 할 만한 게 거의 없었다. 관련 내용이 부족한 것도 문제겠지만, 내가 선택한 ‘좋은 책’에 꼭 들어맞는 독후 활동이 거의 없어 책을 선택하는 그 순간부터 아이들과 함께 할 의미 있는 활동에 나름대로 고민을 해야 했다.

  지난 1년간 아이들과 함께 한 독후 활동으로 일반적인 감상문 쓰기는 가능한 지양(止揚)했다. 독후감이 아니면 마땅히 할 게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책에 따라서 주제 중심 토론하기(소설), 낭송하기와 시를 이야기로 바꾸어 표현하기(시집), 역할극 꾸미기, 그림 그리기, 사진 찍기, 노래 부르기, 영화 보기(비평문 쓰기), 편지 쓰기, 답사하기, 일기 쓰기, 내용 요약하기, 심층 자료 조사하기, 초청 강연 듣기 등을 함께 했다.

  물론 이런 활동들은 아이들이 함께 읽은 책의 특성에 따라 또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 다양한 독후 활동은 아이들에게 책읽기의 흥미와 재미를 높이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특정한 표현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표현 방식의 다양성이 중요하다. 여러 갈래의 표현 방식은 학생들의 다양한 관심에 따라 적극적인 활동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다양한 독후 활동의 교육적 의의는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표현 방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담기는 내용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니까 앞으로는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담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표현 방식을 스스로 고를 수 있는 능력이 되고, 이는 반대로 표현 방식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기도 할 것이다.

다. 책과 삶은 어떻게 만나나?
  그렇지만 이런 독후 활동의 다양성이 궁극적으로 의미 있는 책읽기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표현 활동에 담아내는 내용이다. 그러면 나는 책을 읽은 아이들에게 어떤 내용을 담아오기를 했는가? 늘 의식하고 있었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되돌아보면 어떤 내용이든, 앵무새 같이 남의 이야기를 되뇌지 말고, 책을 읽은 후 자기 안에서 가만히 차 오른 그 무엇을 끄집어내기를 기대했던 것 같다. 그러니까 내가 내 준 독후 활동의 과제 내용은 ‘자기가 생각하는…’, ‘자기가 좋아하는…’, ‘자기가 겪은…’, ‘자기가 알고 있는…’ 이라는 수식어가 항상 붙어 있기 마련이었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결국 무엇인가? 책을 통해 배운 것이 자신의 생각을 변화시키고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대체 책은 왜 읽어야 할까? 많은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읽은 책을 자신의 삶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책의 내용을 자기 삶의 맥락에서 이해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로 교육적 의미가 있다. 이것은 책의 내용을 자기의 입장에서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소화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우리 교육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활동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배우거나 읽은 내용을 입장이나 필요에 따라 스스로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은 우리 교육의 길러야 할 핵심이기도 하다. 

3. 독서 토론 동아리 운영, 이렇게 해 보자.

 가. 동아리 워크숍에 다녀온 단상
  동아리 담당교사 워크숍이 3월에 있었다. 나는 지난 1월부터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었지만, 모든 것이 서툴기 마련인 처음 하는 일이라, 일말의 불안감이 있었기에 다른 선생님들은 이 학습동아리를 어떻게 운영하셨는지가 몹시 궁금했다.

  이 워크숍에서는 영재 교육의 필요성, 수월성 교육의 일환으로써 학습동아리가 필요한 이유와 2005학년도에 학습동아리를 운영해서 알찬 결과를 얻었다고 알려진 학교의 사례 발표가 있었다.

  우리 아이들은 영재 교육을 받을 수준의 아이들은 아닌데 싶어서, 내가 동아리 신청을 잘못한 것인가 싶다가도, 재능이 있고, 관심이 많은 학생들을 위한 선택의 폭을 넓히는 수월성 교육의 일부라는 주장에 우리 아이들이 해당되는 지 떠올려 보기도 했다. 능력은 몰라도 자발적으로 모인 학생들이니 관심이 많은 건 확실한 지라 우리 아이들도 해당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동아리 활동 사례 발표에는 좀 생각이 달랐다. 이 동아리(수학) 활동으로 세칭 말하는 명문대에 갈 수 있었다는 것인데, 너무 결과에만 치우친 발표가 아닌가 싶었다. 가시적인 동아리 활동의 결과를 강조하다 보니 생긴 현상인 듯한데, 1년 동안의 동아리 활동에서 ‘무엇을, 어떻게 했는가?’를 말하지 않는 운영 사례 발표는 좀 문제가 있다고 느꼈다.

  그 학교의 경우는 나의 기우(杞憂)겠지만, 나는 학습동아리의 지도 교사가 소수의 우수 학생들에게 방과 후 과외 형태를 통해서 좋은 입시 결과를 거두는 형태를 지향한다면 기꺼이 사양하고 싶다.(물론 그 선생님의 열정에 감탄하는 바이지만!)

  역설적으로 나는 이 워크숍에서 말 그대로 제대로 된‘학습동아리’를 운영해 보겠다는 결심을 했다. 결과를 미리 정해 놓고 동아리 활동을 끼워 맞추는 것이 아니라, 동아리 활동의 과정에 충실하고 싶었다. 

  지나고 보니 이 날의 결심이 1년 동안 얼마나 뚝심 있게 지켜졌는지 잘 모르겠다. 마음과는 반대로 동아리 활동에서 나도 모르게 아이들을 다그치지는 않았는지도 모를 일이다. 목표가 있다는 것을 핑계로 누군가에게 보이고 싶은 번드르르한 결과를 기대했는지도 알 수 없다. 내가 무슨 말을 해도 내 생각일 뿐이다. 진실은 함께 한 모든 이들이 오직 느끼고 있을 뿐!

나. 내 맘대로 정한 동아리 운영의 세 가지 원칙
  사실, 우리는 교육청에서 학습동아리를 공모하기 전인 1월부터 자발적으로 모여서 공부를 하고 있었다. 굳이 교육청 공모에 응모할 필요도 없었지만, 지원금이 있다면 책을 사는데 조금 도움이 되겠다 싶은 현실적인 욕심과 아이들에게 조금 더 자극이 되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서 응모하게 된 것이다. 

  동아리를 시작하면서 아이들에게 약속 받은 것 한 가지는, 방학 때도 계속 모인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약속은 꼭 지켰다. 우리 동아리의 모임 일자를 살펴보면 알겠지만 방학 때는 더 자주 모였다. 더구나 방학 때는 조금 더 여유 있는 활동이 가능해서 오히려 좋았다. 답사나 캠프, 체험 활동은 방학이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고, 아이들은 이런 방학 활동이 오래 기억이 남았다고 한다.

  그리고 학기 중에는 이 주에 한 번씩 꼭 모였다. 이 주에 한 번이면 아주 헐렁할 것 같지만, 실제로 운영해 보면, 모임을 하고 한숨 돌리면 또 모임이다. 모임 활동을 정리해서 인터넷 카페에 올리고, 그 사이에 책 주문해서 책 나눠주고, 숙제 공지하고 나면 다음 모임까지 정말 빠듯한 시간이었다. 그래서 약속한 대로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모여서 동아리 활동을 했다는 것이 뿌듯하다. 

  동아리 모임에 와서 하는 이야기는 어떤 내용이라도 괜찮은 분위기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내용에 상관없이 말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일이라는 느낌이 들도록 했다. 동아리에서 자연스럽고 스스럼없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기까지 가장 중요한 역할은‘생활나누기’가 맡았다. 

 생활나누기는 본격적으로 독후 활동을 하기 전에 한 명씩 모임에 오기 전날까지의 자기 생활을 되짚어 보면서 말하는 시간이다. 물론, 처음부터 속 깊은 이야기가 나올 수는 없지만, 어색하고 형식적인 말하기 태도는 그리 오래 가지 않았다. 시시콜콜하지만 정작 자신에게는 중요한 온갖 이야기가 어느 순간부터 자연스럽게 흘러 나와 우리를 한 덩어리로 묶었다. 

  다음으로는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별로 강요하지 않고, 자신의 선택에 맡겨 두었다. 당연히 숙제를 해 오고 안 해 오는 것도 99%는 학생의 자유다(100%라고 말하고 싶지만 혹시 반대할 사람이 있을까 싶어서…). 야자 시간에 공부하고 싶은 학생은 동아리 모임이 있는 날에도 안 오면 그만이다. 

  그래서 우리 동아리는 책임감이 없다, 참여가 적다는 불평도 간간히 나왔고, 담당교사로서 욕심이 없는 것이 아니었지만, 말 그대로 ‘동아리’이니 만큼 스스로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믿음을 끝까지 밀고 나간 셈이다. 숙제 문제도 마찬가지다. 내가 제시한 과제는 기본적으로 해 와야 하지만 안 해 와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 자기가 준비해 온 만큼 얻어간다는 사실을 학생들도 이미 알고 있는 터라 더 어떻게 해 줄 수가 없었다. 다르게 볼 수 있는 여지도 있지만, 어떤 상황에 대해 간섭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을 것을 알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번듯한 결과에 대한 경계심이 지나친 것이었을까? 아마도 그 경계의 어디쯤 일 것이다.

4. 그리고, 나의 남은 이야기

  동아리 활동이 끝났다. 나에게 2006년은 분명 학습동아리‘글밭 나래, 우주인’활동으로 의미가 있었던 한 해였는데, 1년 동안 정들었던 아이들을 지난 겨울방학에 한 번도 보지 않았어도 아쉬움이 덜하니 이상한 일이다. 한참을 생각해도 제대로 된 이유가 떠오르지 않는다. 아직도 이 보고서를 내가 손에 쥐고 있기 때문일까? 아닐 것이다. 글은 아무래도 사람을 대신할 수는 없는 법이다. 다시 한 번 동아리 카페에 들어가서 아이들이 써 온 글을 찬찬히 읽어 보다가 문득 눈에 들어온 한 구절,

  열심히 마음 주다가 상처 받는 거 그거 창피한 거 아니야.
  정말로 진심을 다하는 사람은 상처도 많이 받지만 극복도 잘하는 법이야.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 나오는 글이다. 아, 그렇구나! 나에게는 이제야 책 읽기를 통한 삶 읽기가 시작되는지도 모르겠다. 이 깨달음을 마지막으로 셀 수 없이 많이 남겨진 이야기를 안고 이만 접어야겠다. 모두, 안녕!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느티나무 2007-02-26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 읽는 사람에게 복이 있기를... 아, 난 왜 이렇게 항상 시간에 쫓겨서 글을 써야 하는 것일까? 나에게 딱 3일간의 시간이 더 있다면 저거보다는 10배나 잘 쓸 수 있을 것 같은데... 항상 이렇다.^^;;

느티나무 2007-02-26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음엔 독서교육의 문제점과 방향만 지적하려던 글이었으나 우리 동아리 활동 내용이 추가되고, 맨 마지막에 아이들에게 전하는 속내까지 비친 아주 요상한 글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나름대로 개요를 먼저 만들고 쓴 글인데, 왜 저럴까? 어제 급하게 밤을 새면서 쓴 글이라 그럴테지...

해콩 2007-02-27 0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한테 복이 있기를... ㅋ 저거보다 100배나 잘 쓸 수 있다는 말은 지나친 자신감 내지는 욕심 같은데요, 충분히 좋은 데요 뭘~.. 사람 기죽게시리..쯧!! 저 글도 문집에 싣기 위해 쓴 글인가요? 으~~ 우리반 문집은... 정말 비교될까 두려워요. 아주 말랑말랑한 내용인데... 암튼 원고 다 넘기고 나니 너무 속이 시원해서 잠이 안와요. 내일은 아이들 사진으로 시디를 구워볼까 하는데... 성공할 수 있을까 몰라~~ ㅋㅋ

느티나무 2007-02-27 0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0배 아닌데요^^ 10배라고 했는데요~! 오늘 3학년의 김 모샘이 왜 저 보고 점심 먹으러 안 왔냐고 하시더군요. 달리 할 말이 없어서 해콩님 좀 따라해 보려다가 가랭이가 찢어질 지경이라고 했더니, 해콩님을 따라갈 수가 있나~! 샘, 페이스 대로 해야지...이러시더라구요 ^^ 아무튼 당신은 백만스물 세 번 쓰러져도 다시 일어서는 에너자이저!

느티나무 2007-02-27 0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샘이야 문집의 베테랑이고 전 완전 생초보^^ 사실, 이 동아리 문집도 샘 덕분에 만드는 것이라지요. 샘이 아니었다면 손 놓고 있었을지도 몰라요. 왠지 샘 옆에 있으면 나도 덩달아 해야할 것 같은 묘한 분위기가 생겨요. 하기야 이번엔 오기도 좀 발동했지만-정서에 별로 안 좋아요- 남은 책을 누구에게 선물로 줄까, 고민하고 있어요^^

글샘 2007-02-27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요! ㅍㅎㅎㅎ
저는 낙고 근무 안하는 걸 천만 다행으로 생각합니다. ㅋㅋ
두 분 따라가다가 가랭이 찢어질라... 남는 책 저좀 주셈. ^^ 해콩샘이 고생하신 교지도 잘 읽었습니다.(엇, 이건 해콩샘 페이지로 가야하는데...) 고생 많이들 하셨습니다.

느티나무 2007-02-27 0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잇, 글샘님도~ 참! 전 사실 교실에선 아무 것도 안 해요. 겨우 시간이 나면, 그냥 혼자 끄적거리는 정도지. 언젠가는 같이 근무할 날도 오겠지요? ㅎ 벌써부터 조마조마하다는 거 아실까요?ㅋ 저번에 말씀하셨으니 부끄럽지만 글샘님께는 한 권 챙겨드리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책 나오면 교육청 행정망을 통해서 보내겠습니다. 근데, 정말 언제가 될 지... 깊은 밤, 안녕히 주무십시오.^^

2007-03-01 21: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느티나무 2007-03-01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카로운 지적, 감사합니다. 고칠게요... 그리고 복받으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