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퇴마록 말세편 1 - 부름 ㅣ 퇴마록
이우혁 지음 / 들녘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우혁의 퇴마록 말세편이 나오길 기다린지 벌써 2년. 작년에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이러저러한 이유로 읽지 못하다가 이제서야 말세편을 손에 잡게 되었다.
나는 기독교인이면서도 문화인류학에 관심이 많은 탓에 종교에 관련된 많은 책들을 보고 싶어했다. 우리나라 고대의 신앙으로부터 신비의 땅 인도의 여러 오래된 종교들. 십자군 전쟁과 더불어 현지 종교와 토착화된 기독신앙들.
종교가 문화의 현상들중에 차지하는 위치는 사뭇 중대하다. 문명화(?)되지 않은 사회일수록 종교와 일상생활, 관습은 일치되는 것이며, 가장 원시적이고 오래된 종교는 사람의 본성을 가장 적나라하게 표현한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종교발달론자일수도 있을 것이다.
<퇴마록>의 말세편을 읽으며 여러 지역에 편만한 말세에 관한 신앙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물론 그 이야기들 가운데 각색되고 꾸며진, 전혀 허구의 이야기들도 섞여 있지만, 오히려 그러한 픽션들이 우리의 상상력을 더욱 자극한다. 이단과 정통의 역사로 종교가 판가름날 수 없듯이 <퇴마록>의 이야기들은 허구와 사실로 구분할 수 없는 노릇이다.
<퇴마록 말세편>을 읽으며 다시 이우혁씨의 방대한 연구와 글쓰기에 대한 집념을 다시 느끼게 된다. 어쩌면 긴 시간동안 그의 소설을 기다릴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보내는 시간들은 새로운 이야기를 꽃피우기 위한 멈춤없는 채찍질의 시간이 되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우혁씨는 탁월한 휴머니스트라고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 그가 기독교에 힐난한다할지라도 그의 말에 대해 토를 달지 않는 것은 그가 보는 종교와 정의에 대한 판단이 전적으로 사람에 기초해 있기 때문이다.
사람을 속박하는 종교가 더이상 무슨 의미가 있을 것인가? 사람을 사랑할 줄 아는 퇴마사들이 펼치는 이야기들은 또다른 의미에서 우리가 한순간도 놓치지 말아야 할 휴먼스토리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