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분 자존감을 높이는 기적의 대화 - 우리 아이 마음을 읽는 대화의 기술
일레인 마즐리시, 아델 페이버 지음, 김혜선 옮김 / 푸른육아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대화는 말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나누는 것.


잘못된 태도

  1. 아이의 감정을 부정
  2. 철학적인 반응
  3. 충고
  4. 질책
  5. 상대를 두둔
  6. 동정심
  7. 아마추어적인 심리 분석
  8. 공감대 형성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도록 하는 방법

  1. 아이의 말을 집중해서 진지하게 들어준다.
  2. 음... 그랬구나... 와 같은 말로 아이의 말에 공감한다.
  3. 아이의 감정이 지금 어떤 상태인지 이름을 붙여준다.
  4. 아이가 원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도록 부모가 이끌어준다. 


아이가 화가 났을 때

  1.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말을 똑같이 반복할 때 싫어한다.
  2. 아이가 화가 나서 아무 말도 하지 않을 때는 아이의 감정을 존중해 준다.
  3. 아이가 격한 감정을 드러낼 때는 진심으로 아이의 편이 되어 준다.
  4. 아이가 느끼는 감정보다 부모가 한술 더 뜨는 것은 좋지 않다.
  5. 아이가 자신을 비난할 때 같이 비난하면 안 된다.


아이가 잘못했을 때의 잘못된 반응

  1. 비난하기
  2. 무시하기
  3. 위협하기
  4. 명령하기
  5. 훈계하기
  6. 경고하기
  7. 고통을 주는 말하기
  8. 비교하기
  9. 빈정거리기
  10. 예언하기


잔소리 없이 아이의 행동을 바꾸는 대화의 기술

  1. 관찰한 것이나 문제점을 이야기한다.
  2. 정보를 제공해 준다.
  3. 한마디로 말한다.
  4. 부모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5. 쪽지를 남긴다. 


아이이 독립심을 길러주는 방법

  1. 아이에게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2. 아이의 노력을 존중해 주며 옆에서 지켜본다.
  3. 아이에게 너무 많은 질문을 하지 않는다.
  4. 아이의 질문에 서둘러 대답하지 않는다.
  5. 아이가 집 밖 세상에서 답을 얻을 수 있도록 격려한다.
  6. 아이의 희망을 꺽지 않는다. 


아이의 자존감이 올라가는 칭찬법

  1. 당신이 본 대로 표현한다. “바닥도 깨끗하고, 책장도 가지런 하구나!”
  2. 당신이 느낀 대로 표현한다. “방에 들어오니 마음까지 깨끗해지네!”
  3. 칭찬받을 행동을 한마디로 요약한다. “연필과 크레용을 구분해 놓았구나. 이런 걸 체계적으로 정리했다고 하는거야.”

에피소드들과 더불어 부모의 말하기 습관을 돌아보게 하고,

좋은 대안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좋은 책입니다!

누구나 한번쯤(육아에 어려움이 있든, 없든)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