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밥상]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오늘의 밥상 - 매일매일 건강한 1식 3찬
함지영 지음 / 경향미디어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1/2011/12/11/17/jdrlee_9158656112.JPG)
제 주변엔 "밥 한번 해주고 싶다"라는 말을 자주하는 언니가 한 분 있어요. 사람들과 어울리길 좋아하고, 된장국처럼 구수하게 이야기하며, 소탈한 그 언니는 집으로 초대하는 것을 참 좋아해요. 처음 언니에게서 "밥 한번 해줄께 언제 와" 라는 말을 들었을 땐 참 부담스럽게 느껴지더군요. 왜냐구요? 저처럼 요리를 잘 못하는 사람은 가족에게 먹일 끼니마저도 제대로 하지 못해서 늘상 고민인데, 손님상을 차릴려면 메뉴를 생각하고, 장을 봐야하고, 그 음식을 차려낼 생각과 집안 청소도 해야하고.... 아! 저는 언니가 저때문에 그런 과정을 거쳐야 된다는 것이 참 싫더군요. 그래서 "나중에요" 하고 미뤘는데 쌍둥이를 임신하면서 결국 그 초대에 응했지요.
임신하면 입맛이 없고, 힘들어서 남이 차려준 음식을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들잖아요. 그래선지 언니네 집으로 가는 도중 은근히 메뉴가 뭘까 기대가 되더군요. 언니네 집에 들어가 보니 생각보다 깨끗하진 않더군요. 청소를 했다지만 오래되어 낡은 아파트는 구조가 좀 불편하게 설계되서인지 아님 살림살이들이 많아선지 어지러워 보였고, 언니가 차려준 밥상도 다름아닌 수제비였는데 생각보다 맛이 없었어요. 저는 수제비에 호박이나, 조갯살, 버섯 등을 넣어서 만드는데 언니의 수제비는 고명이 하나도 없어선지 아님 수제비가 너무 두꺼워서 였는지 먹는 동안 좀 실망스러웠지요. 그런데요. 이상하게도 다음에 언니가 또 초대를 하니까 이번엔 별로 부담스럽지가 않은 거예요. 언니가 부담을 갖지 않고 그냥 한끼 '같이' 먹는데 의미를 둔다는 것을 알게 된 까닭이었어요.
요리에 자신이 없는 제겐 이처럼 매끼니에 대한 고민이 끊이질 않아요. 결국 차려낸 것은 냉장고에 있는 재료로 후다닥 만들 수 있는 것 뿐인데도요. 그래서일까요. 언젠가는 저도 멋지게 한 상 차려내고 싶은 꿈이 있답니다. 그래서 요리책도 자주 보고, 요리에 관련된 레시피도 찾아보고 그래요. 오늘은 <오늘의 밥상>이란 요리책을 만났어요. 이 책에 관해 그럼 이야기 나눠 볼까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208/pimg_718662104718061.jpg)
보통 요리책은 바로 요리를 보여주잖아요. 그런데 '매일매일 건강한 1식3찬'이란 부제에 어울리게 이 책은 밥짓기를 번저 보여줘요. 잡곡밥, 현미밥, 보리밥, 팥밥.... 세상에.. 누가 밥 못짓는 사람 있을까. 요즘엔 밥솥이 잘나와서 누르기만 하면 되는데 할지도 모르는데요. 저는 이 책에서 팥밥을 보고서야 제가 이제까지 팥밥을 잘 못 지은 까닭을 알게 되었어요. 어렸을 적, 집안에 특별한 날에만 이 팥밥을 지었었는데 그때 정말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있어요. 그런데 제가 지으니까 팥이 자꾸 덜 익은 느낌이 들더군요. 하루 전날 불려서 지어봐도 마찬가지구요. 그런데 책을 보니 팥을 먼저 삶은 다음에 쌀과 함께 밥을 지어야 된다고 나와 있네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208/pimg_718662104718063.jpg)
<오늘의 밥상>의 구성은 아침상, 점심상, 저녁상, 손님상, 간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바쁘지만 빠뜨릴 수 없는 아침상은 입맛 없을 때나, 술마신 후 숙취에도, 든든하면서도 가볍게 준비할 수 있는 메뉴로 구성되어 있네요. 시골에서 자란덕에 제 부모님은 밥을 챙겨먹는 것을 굉장히 중시하셨답니다. 넉넉하지 않은 살림이였지만 엄마는 항상 반찬을 신경쓰셨지요. 제가 입이 짧았거든요. 어렸을 적엔 그토록 밥먹는 게 싫었는데 지금은 밥을 참 좋아해요. 그래서 제 아이들도 투정하지 않고 잘 먹고 잘 자랐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구요. 하지만요. 세아이들 키우느라 정신이 없는 탓에 저는 주먹밥처럼 간단하면서도 두어개만 먹어도 든든한 상차림을 선호하게 되더군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208/pimg_718662104718064.jpg)
점심상의 메뉴는 제가 직장다닐 때 많이 먹었던 것들이네요. 꽃게탕, 부대찌개, 닭곰탕 등등.. 그 중에서도 전복밥이 눈길을 확 사로 잡네요. 제 부모님이 완도에서 전복양식을 하거든요. 전복도 양식을 하면서 많이 대중화가 되었지만 그래도 비싼편이잖아요. 자주 먹기도 힘들고요. 그래도 저는 자주 먹는 편인데 대부분 죽을 쑤어 먹거나 껍질을 까서 통째로 참기름에 구워먹었거든요. 채소와 함께 볶아서 먹는 전복밥이라~~ 정말 기대되는데요. 침이 꾸울꺽!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208/pimg_718662104718065.jpg)
저녁밥상은 좀 푸짐한 메뉴들이네요. 소박한듯하면서도 맛깔스러운 버섯들깨탕을 보니 추억이 떠오르네요. 어릴때 부터 제가 몸이 좀 허약했거든요. 학교에 들어가기전부터 위장병으로 밥을 제대로 못먹었어요. 오매불망. 부모님은 저때문에 속을 좀 끓이셨지요. 제 어릴때만 해도 버섯이 귀했거든요. 부모님이 손수 재배한 느타리버섯에 들깨를 듬뿍넣어 만든 버섯들깨탕~ 그덕에 제가 세 아이를 낳아서 기를만큼 건강해졌나봐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208/pimg_718662104718066.jpg)
떡볶이와 김밥은 누구나 좋아하는 간식으로 입맛없을 때 한끼로도 충분하지요. 저희 가족도 몹시 좋아해요. 근데 떡볶이는 고추장떡붂이만 해보았네요. 아이들을 위해 간식메뉴를 많이 만들어봐야겠어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208/pimg_718662104718067.jpg)
웰빙이다, 로하스다 해서 요즘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 간식거리도 첨가물이 적게 들어간 것을 선호하게 되는데요. 연근칩을 보니 그 맛이 어떨까? 바삭하기만 할까? 매우 궁금해지네요. 저는 요리책을 볼때 제일 막막할 때가 바로 오븐요리에요. 저희집엔 오븐이 없거든요. 언젠가 오븐을 장만하게 된다면 ... 요리가 더욱 풍성해지겠지요. 그날이 빨리 오기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208/pimg_718662104718068.jpg)
일주일에 한두번 큰아이와 간단한 음식을 만들어본답니다. 큰아이가 밥을 입에만 물고 있는 습관이 있는지라 직접 만들게 하니 굉장히 즐거운가봐요. 자기가 만든 것은 남김없이 다 먹네요. 책에 나온 것 중 김밥과 주먹밥을 만들어 보았어요. ^^
그리고 저도요. 이젠 이웃을 가볍게 초대할 줄 알게 되었답니다. 그냥 잔치국수 한 그릇이면 어때요? 그래야 서로 부담스럽지가 않지요. 다만 간식은 좀 신경써서 <오늘의 밥상>에 나와 있는 것 중 하나를 골라 만들어 본다면 더욱 좋겠죠!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1/2011/12/11/17/jdrlee_8450660132.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