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불킥’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불’과 ‘차다’라는 뜻을 가진 ‘Kick’과 합쳐진 인터넷 신조어다. 이불을 덮고 누웠을 때 부끄럽거나 화가 나는 일이 머릿속에 떠올라 이불을 차는 자탄의 행위를 의미한다. 지난주에 저지른 부끄러운 실수를 잊지 못해 주말 내내 잠을 자기 전에 이불을 걷어찼다. 《나의 서양사 편력》의 서평에 참고문헌이 없다는 내용을 쓴 것이 이불킥을 차게 만든 화근이었다. 이 책은 1,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을 완독하자마자 바로 2권을 읽기 시작했다. 지난주 목요일에 《나의 서양사 편력》 서평을 썼고, 그 다음 날에 ‘칼레의 시민’을 주제로 한 잡문을 썼다. 나는 1권에 참고문헌이 없는 것을 보고, 이 책 자체에 참고문헌이 없다고 단정했다. 2권 끝에 참고문헌이 있는데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채로 말이다. 책의 구성 상태를 꼼꼼하게 확인하지 않은 어이없는 실수 때문에 본의 아니게 좋은 책의 가치를 깎아내렸고, 책의 평판이 나빠질 뻔했다. 다행히 서재 이웃 두 분이 참고문헌이 있다는 사실을 댓글로 알려줬다. 잘못 적은 글을 수정했고, 책의 정보를 잘못 알린 점에 대해서 댓글을 남긴 분들에게 정중히 사과했다. 내가 참고문헌이 없다고 언급한 댓글과 내 실수를 지적한 서재 이웃 두 분의 댓글은 삭제하지 않았다.
문제 되는 내용이 있는 댓글을 교묘하게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것은 자신의 실수를 덮는 행위다. 내가 잘못 쓴 글이나 댓글이 비공개로 설정되지 않으면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된다. 누군가로부터 지적을 받게 되면 마치 자신의 약점이 타인에게 발각되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허점 하나로 인해 내 이미지가 손상될 수 있다. 궁지에 헤어나려면 자신의 약점을 은폐하면 된다. 블로그나 SNS의 글은 얼마든지 수정할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약점을 끝끝내 인정하지 못하는 고집 센 사람들은 이를 악용한다. 타인에게 지적당한 내용을 수정하거나 깡그리 삭제한다. 그러고는 시치미를 뗀다. 자신은 그런 표현 자체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자신의 그릇된 행동을 반성하기는커녕 변명하는 데 급급하다. 심지어 자신의 허점이 드러난 모든 댓글을 다 삭제하고 난 뒤에 일말의 사과도 없이 침묵하는 경우도 있다.
안하무인 행태는 페이스북에서 늘 자주 보는 일이다. 특히 토론 거리가 될 만한 글을 둘러싸고 여러 사람과 댓글 논쟁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이 수법을 방패로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 자신에게 향하는 포탄과 같은 타인의 공격적인 문제 제기와 지적에서 살아남으려고 ‘수정/삭제’ 기능을 은근슬쩍 사용해가면서 자신의 주장을 밀고 나간다. 그런데 이런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사람이 댓글 논쟁에서 이겨본 모습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오히려 그런 수법을 사용하면 자신을 더욱 궁지에 몰린다. 페이스북은 타임라인에 있는 글이나 댓글을 수정하면, ‘수정됨’이라는 글자와 함께 글쓴이가 수정했던 날짜와 시간이 나온다. 이는 허점이라는 혹을 떼려다가 그만 불필요한 혹 하나 더 붙이는 꼴이다. 댓글 논쟁이 이어지는 상황 속에 자신의 의견이 있는 댓글을 수정한다는 것은 자신의 허점을 본인도 알고 있다는 것을 내비치는 것이나 다름없다. 허점을 들키지 않으려고 애쓴다. 만약에 댓글 논쟁에서 상대방이 자꾸 댓글을 수정해가면서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면 심리적 중압감에 흔들리는 상태라고 보면 된다. 논리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면 상대방이 궁색한 주장만 중언부언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이 잘못한 점을 순순히 시인하는 것은 자존심 상하는 일인 데다가 공개적으로 망신살 뻗치는 일이다. 그래서 자신이 남긴 댓글을 삭제하고 난 뒤에 페이스북 그룹을 스스로 탈퇴하거나 대립의 날을 향했던 상대방과 마주하기 싫어서 페이스북 친구 관계를 해제한다. 자신의 실수로 보일법한 모든 증거를 제거하고 난 뒤에 도망치면서 사라지는 범죄자처럼 말이다.
알라딘 블로그나 북플의 수정 기능은 수정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잘못 쓴 글이나 맞춤법이 틀린 댓글을 수정해도 언제 몇 시에 수정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수정을 여러 번 해도 글과 댓글이 처음으로 작성된 시간만 나와 있다. 만약에 내가 지난주 토요일에 잘못된 글이 지적한 두 사람의 댓글을 삭제하고, 수정했더라면 내 실수를 덮을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실수가 민망해서 상대방의 댓글을 일방적으로 삭제하는 것은 상대방을 대놓고 무시하는 처사이다. 심지어 실수한 당사자를 배려해서 단 비밀 댓글을 삭제하거나 답글을 하지 않는 것도 예의에 어긋나는 일이다. 부끄럽더라도 실수를 인정하고 나서 상대방에게 댓글을 직접 삭제해달라고 양해를 구한다면 서로 간의 오해가 생기지 않은 상태에서 합의를 볼 수 있다.
실수에 대한 부끄러움은 시간이 지나면 잊히게 마련이다. 악의적으로 비방하거나 기분 불쾌하게 만드는 비속어가 들어있는 내용이 아니라면 내 글의 문제점을 제대로 지적한 댓글을 삭제할 생각은 없다. 다음에도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반성하는 차원에서 그대로 놔둔다. 밤에 자기 전에 이불킥을 몇 차례 하면서 반성했다. 책을 읽고, 상대방에게 그 내용을 소개하는 데 있어서 조금만 더 세밀하게 살피고, 신중한 마음으로 책을 따뜻하게 바라보고, 겸손한 자세로 책을 소개해야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