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자산투자가다. 전직 가수였다. 2007년에 <부동산 투지 200억 만들기>(중앙북스) 출판되어 화제를 모았다. 2010년에 <방미의 골든 터임>(행복책장)이 출판되었고, 2019년5월에 <나는 해외투자로 부동산 부자가 되었다>(중앙북스) 가 출판되었다. 국내외 투자 지침서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사람마다 자신의 투자 스타일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하다. 관련된 정보를 접하기 위해서는 경제 관련 신문 등의 기사에 지속적인 관심과 독서가 필요하다고 했다. 인상적인 것은 돈이 많이 있어 좋은 점은 '생각하는 것을 바로 결정할 수 있다' 고 했다.

 

 투자 행위와 삶의 방식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저자는 차가 없다. 한강 다리를 걸어서 다닌다. 그는 전체의 흐름을 본다.

 

            * 초보자들을 위한 재테크 실천 팁  *

 1, 불필요한 지출을 줄인다.

 2. 하루에 30분씩 경제 뉴스 헤드라인을 읽는다.

 3. 1년 동안의 지출계획을 미리 세운다.

 4, 세금을 절대 밀리지 않는다.

 5. 구체적이고 명확한 계획을 세운다.

 6. 나만의 멘토와 롤 모델을 정한다.

 7. 가능한 한 일찍 시작한다.

 8. 직업의 특성에 맞는 투자 벙법을 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기의 혁명' 은  '메리언 울프' 가 10년 전 <책 읽는 뇌>(살림)에서 제시한 관점이다. 그 이후 10년이 지난 올해에 '읽는 뇌' 의 퇴보에 대한 책을 냈다. 저자는 사람에게는 인쇄기반 읽기 능력과 디지털 기반 읽기 능력은 차이가 있음을 주장한다.

 

  즉 종이책(인쇄기반 읽기) 읽기는 '경로감각' 이 쌓이게 되어 공감력이 향상된다. 공감력이 떨어지면 무지와 공포 그리고 오해를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 360도 카메라가 있는 인공지능 자동차의 주행원리와 비슷하다.

 

  디지털 읽기를 계속하면 종이책을 읽을  때 구축된 뇌의 '깊이 읽기 회로' 가 사라져 비판적 사고와 반성 그리고 공감과 이해 등을 잃어버릴 수 있다고 한다. 스마트폰 등 디지털 읽기의 표준은 '훓어보기' 다. 종이책으로 꼼꼼히 읽는 것과는 세부적인 줄거리나 논리 구조 파악에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만약 '깊이 읽기' (심독)에 숙달되면 시각의 피질은 글자의 표상으로 꽉 차게 된다. 글자를 보지 않고 상상만 해도 실제로 본 것처럼 그 글자의 표상에 상응하는 시각 피질의 전담 뉴력 집단이 발화된다. 이런 숙달된 독서를 '심독' 이라한다. 이는 문장을 읽는 동안 단어들을 오랫동안 작업 기억에 붙잡아 둘 수 있어 문장의 내용을 유추하고 추론하며 사고를 심화시키면서도 흐름을 끊기지 않고 책을 읽게 된다. 더불어 읽는 방식의 변화는 쓰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저자는 특별한 감정이입을 통해 타인의 관점과 생각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경험은 오직 '깊이 읽기' 를 통해서만 가능하고다고 말한다. 독서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와 '양' 이 아니라, 유추와 추론을 통해 자산만의 '의미' 를 찾는 인간의 지적행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스승은 누구 인가를 생각하여 본다면 나에게 관심을 갖어 준 사람이 기억나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사랑을 베풀어 준 부모님이셨다. 그리고 결혼을 해서는 집사람이다. 모두가 좋은 문장과 말로서 감동을 주지 않았지만.

 

   나스메 소세키의 <도련님>(현암사) 의 주인공은 섬마을 중학교 선생님으로 부임한다. 그는 학생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고 동료 교사의 마땅치 않은 모습을 통해 부당함을 경험하지만 스스로 배우고 깨달으며 성장한다. 그 원천은 '기요 할멈' 덕분이다. 어린 시절 개구장이었던 그에게 '기요 할멈' 만이 도련님을 믿어 주었다. 고운 성품을 가진 기요 할멈은 도련님에게 인생의 스승이었다.

 

   스승은 높은 곳에만 있지 않다. 나 또한 국민학교 시절에 매일 우리집으로 건너 오는 마을 할머니가 있었다. 우리집 부엌살림을 돌봐주는 분이었다. '구럴댁' 이라고 불렀다. 허리가 굽고 키는 작고 앞니는 썩어 오물거리며 밥을 먹었던 분이었다. 구럴댁의 큰아들은 부산에서 살았는데 적당한 키에 머릿기름을 바르고 양복을 입은 모습은 고위 관리처럼 도시인이었다. 그러나 작은 아들은 애주가였으며 아버지와 동갑인 것 같았다.

 

  구럴댁은 어린 나를 보면 웃었다. 읍내 10리길 이상이된 먼 학교길을 다녀와 먹을 것을 찾는 나에게 찬장에서 뭐든 꺼내 주었다. 구럴댁은 나의 '기요 할멈'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언어의 한계는 나의 세계의 한계',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의 글이다. 언어력을 키우려면 독서력을 키워야 한다. 비트겐슈타인을 연구한 철학박사 '아이리스 머독' 은 철학책 다섯 권과 소설 스물 여섯 권을 낼 만큼 왕성한 창작력을 발휘했지만 78세 이후 치매에 시달였다. 인간은 언어 없이 사고하거나 상상할 수 없다. 최근에 노년의 치매를 극복하는 방법을 여러 모로 제시하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지속적인 운동이라고 강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