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지금의 일본을 생각하며
    from 고립된 낙원 2019-08-03 05:44 
    시민으로서 국민으로서 최근 일본의 경제 카드(white list) 조치를 보면서 우리의 기초과학이나 산업의 원료를 자체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다. 일본 하면 역사적으로 큰 전쟁을 생각한다. '7년전쟁'(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36년)이다. 극서을 대비하고 하루하루를 노심초사 준비하고 끝내는 12척의 배로 막아내고 생을 마쳤던 장군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폭염속에 매미의 짜증스러운 울음을 들어가며 한쪽 한쪽 장군의 일기를 읽어본다. 그 어떤 인
유시민 2

 <역사의 역사>(돌베개) 읽기, '역사란 무엇인가' 에서 한 발자국도 전진 못했던 내게 세계사의 줄기를 훝어보고 대 역사가들에 대한 특정인의 총평을 들어 볼 기회는 없었다. 그 이유는 독서의 게으름 때문이었다. 역사 저술에 대한 역사가들의 관점을 접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차별이던 그것이 자신에게 차별로 인식되면 갈등의 원인이 된다. 빈번하게 힘들었던 것은 보이지 않는 미미한 차별이었다. 그것은 계층화에서 더 뚜렸하게 나타난다. 무시받지 않고 존중되어야만 살아 있는 느낌을 갖게된다. 권력을 가지려는 이유이다.

 

  한국 사회의 차별과 혐오 전반의 문제점을 다룬 책 <선량한 차별주의>(창비)와 흑인 여성 작가가 겪은 미국 내 인종차별에 대한 책 <인종토크>(책과함께)는 많은 지점에서 맟닿아 있다. 그리고 <낙인찍힌 몸>(돌베개)는 인종에 대해 폭넓게 고찰한 책으로 피부색뿐만 아니라 종교, 사회, 문화적인 지표와 결합하면서 외연을 확장하는 '신인종주의' 현상에 대해 주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어떤 역사가들이 있었나
    from 고립된 낙원 2019-07-21 20:33 
    '역사란 무엇인가' 에서 한 발자욱도 전진 못했던 내게 세계사의 줄기를 훝어보고 대 역사가들에 대한 일반적인 총평을(?) 들어 볼 기회는 없었다. 그 이유는 게으름 때문이다. 교양으로서의 역사 저술에 대한 역사가들의 관점을 접할 수 있다. <역사의 역사>(돌베개)을 읽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