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인문학 - 음식으로 본 한국의 역사와 문화
주영하 지음 / 휴머니스트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는 음식의 시대이다. 지식의 시대에서 지혜의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다. 세계 어디를 가도 매스미디어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어떤 지역은 어떤 음식이 유명한지, 우리가 왜 특정한 음식을 먹는지에 대해서 대중의 관심을 끌려고 한다. 음식의 역사에 대해서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한다. 자신이 즐겨 먹는 음식이 언제부터 존재했는지에 대한 궁금증은 사람이면 누구나 가진다(중략).


  독일의 민속학자 군터 비겔만(Gunter Wiegelmann, 1923~2008)은 한 사회가 경제적으로 번영하는 시기 동안 음식과 관련된 기술적 혁신은 사회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도시에서 지방으로, 상류층에서 하류층으로 전파한다고 주장했다. 가령 독일사회에서 커피는 감자처럼 오랜 시간에 걸쳐  계층 이동을 하였는데, 부유층에서 먼저 향유하고 그 이후에 점차 저소득층으로 전파되었다. 비겔만은 1800년대에 커피가 일반적으로 널리 애용됨으로써 더 이상 사회적, 지역적 전파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보았다(중략).

  사람들은 가능한 한 함께  어울려 음식을 섭취하려 한다. 즉 '한솥밥을 먹는다는것(공식, Commensalism)'은 공동운명체의 이념 및 정서와 연결되어 있다. 공식의 주최자와 참여자의 관계, 주최자와 참여자의 사회적 지위와 명성, 식탁에서 앉는 자리, 식사중의 대화와 의견 교환방법, 음식 행위의 예법, 식사 후 음식물의 증여와 분배 등에 정치와 권력의 차이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을 둘러싼 인간의 행위는 특정 조직의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데 좋은 대상이 된다. 

  '마빈 해리스'는 특정 지역의 사람들이 특정한 음식을 선호하는 이유는 영양학적, 생태학적 혹은 경제적인 선택을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음식이 생각하기에 좋은지 나쁜지는 그것이 먹기 좋은지 나쁜지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음식은 집단정신을 채워주기 전에 집단의 뱃속을 채워줘야 하기 때문이다. 즉 먹기에 좋은 음식이 생각하기에 좋은 음식보다 우선적으로 사람들에 의해 선택된다고 보았다. 

  저자는 한국의 모든 음식이 '약식동원'의 원리에서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인식을 '영양 민족주의(nutritional nationalism)이라고 규정한다. 좋은 예로1920년대 이후 지방 도시에서 운영되기 시작한 우시장은 쇠고기의 소비를 증대시켰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소비되는 소 생고기는 특별한 음식문화사적인 조사와 고찰의 그 대상이 된다. 일부 지역(대구,울산,부산)에서는 지역의 방언으로 불리고 있지만 유교문화속에서 이여진 고유의 식문화이다. 2011년에  광주시에서는 '광주지역 소 생고기 유통실태 조사'의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12.1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