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등
박범신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가슴속을 누가 쓸쓸하게 걸어가고 있다.
창문 밖 거리엔 산성의 비가 내리고
비에 젖은 바람이 어디론가 불어가고 있다.
형광등 불빛은 하얗게
하얗게 너무 창백하게 저 혼자 빛나고
오늘도 우리는 오늘만큼 낡아버렸구나.


가슴속을 누가 자꾸 걸어가고 있다.
보이지 않을 듯 보이지 않을 듯 보이며 소리없이.
가슴속 벌판을 또는
멀리 뻗은 길을
쓸쓸하게
하염없이
걸어가는
너 누구니?
너 누구니?
누구니, 너?
우리 뭐니?
뭐니, 우리?
도대체.  

 -'너 누구니', 홍영철
 
사랑한다는 말은 가시덤불 속에 핀
하얀 찔레꽃의 한숨 같은 것.
내가 당신을 사랑한다는 말은
한 자락 바람에도 문득 흔들리는 나뭇가지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는 말은
무수한 별들을 한꺼번에 쏟아내는 거대한 밤 하늘이다.
어둠 속에서도 훤히 얼굴이 빛나고
절망 속에서도 키가 크는 한마디의 말
얼마나 놀랍고도 황홀한 고백인가
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는 말은.

  '황홀한 고백', 이해인 님의 
소설에서 남자 주인공의 이름은 '영우'다. '프라하의 봄'이라는 드라마에서도 '영우'라는 남자가 등장한다. 두 작품이 삼각관계다. 남자 둘에 여자 한 사람으로 전통적인 구성이다. 소설은 TV문학관에서 방영된 뒤로 사람들에게 많이 읽혔다.   

  소설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현대사를 살아온 인물들의 30년에 걸친 사랑, 죽음에 이르는 슬픈 사랑의 이야기로 사랑의 원형을 찾고자 한 작가의 의도가 절절하다.  

  실존적 외로움은 애인이 있더라도 없어지지 않는다. "소설은 나에게 사랑이자, 촐라체 북벽이자, 밥벌이이기도 하다", 다음 세상에서 소설을 쓰지 않겠다. 죽을 때까지 소설을 쓰겠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