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 가면 마음이 열린다 - 남도 2천리 테마여행
남성숙 지음 / 꿈의날개(성하)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책을 펴내며>중에는 나를 찡하게 했던 저자의 말이 있다. “나는 전라도 산골에서 태어나 광주에서 죽을 사람이다. 내 텃밭에 놀러오는 단 한 사람이라도 남도의 부드러움, 남도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간다면 대만족이다.” <책> 5쪽, 네 번째 단락, 첫 ~ 셋째 줄까지. 남도 <책>의 지도(뒷편)에서 보듯 광주와 전라남도를 지칭. 땅에서 죽겠다는 저자의 단호한 의지는 단 한 명의 이방인(異邦人)에게도 환대하겠다는 부드러움과 넉넉함이 함축되어 있다. 죽어야 할 곳을 아는 독자라면 그는 행복한 사람이다. 어느 시대나 그 지역을 사수하려는 빛나는 노력들이 있었다. 저자의 글은 <맞이한 죽음>으로 도청을 사수했던 마지막 시민군 5.18 민중항쟁 때 마지막 도청 사수 시민들을 생각나게 했다.

 <죽음>은 곧 다음을 이여주는 밑거름이 된다. 산악소설 <촐라체> 박범신 지음/ 2006년작/ “책사랑” 5월추천도서에서 처럼 <유한진>의 죽음은 공교롭게도 <상민>과 <영교>를 살리는 희망의 등불이 되어 주었다. 저자는 남도에 대한 사랑을 짧고 확고하게 표현했다.  <책>은 조선 중기부터 근대초까지의 이 지역에서의 삶의 근간을 풀어내고 있다. 당쟁속에서 양심수들이 남도에서 어떻게 살아 갔으며, 현지인과 어떻게 융합하여 베풀었나를 폭넓고 다양하게 조명하고 있다. 남도와 광주 정신의 총론과 각론을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편집되어 있다.

 조선 왕조 5백 년 동안 유배자는 700명 중 129명인 25%가 전남지역에서 귀양살이를 했다. 이들 대부분은 한숨 쉬며 세월 한탄했지만 일부는 <유배>라는 극악한 현실을 오히려 새출발의 계기로 삼았다. <책>25쪽, 세번째 단락 첫째줄 시간이 지나면서 유배지역민들은 양심수에 속하는 이들에게 존경심과 친근감을 표시하게 되었고, 유배자들은 지역 내 인재들에게 자신의 학문과 철학을 아낌없이 전수했다. 전라도 사람들은 서울에 유학 가야만 얻을 수 있는 고급 문화와 학문을 습득하게 되었다. 현재의 교육정책에도 응용할 수 있는 대목이다. 당배의 모든 사람들이 유배자들을 낙오자로 경멸했지만 그들은 5백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곁에 살아 숨쉬고 있지 않는가. 


  <책> 26쪽, 두번째 단락 마지막줄 이런 미술 전통은 근대의 서양화에도 이어져 신안에서 근대 추상화의 대가 김환기가 탄생하고, 화순 동복에서 그 위대한 오지호 선생이 탄생한다. 오늘날 미술인이 가장 많고 남도 어느 곳에서나 미술품을 흔하게 볼 수 있는 풍토를 이들 천재 화가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책> 133쪽, 두번째 단락 <남도테마6>에서는 김윤식, 박용철, 박화성, 김현승, 조운, 김우진에 대한 이야기이다. ‘무등산권 인물 벨트’에서 확인했듯이 조선시대 중기를 산 남도 사림층은 남도의 문학, 미술뿐 아니라 한국 문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책> 154쪽, 두번째 단락


 가사문학이 탄생하는 배경에는 남도 선비들의 격조 높은 성리학적 기풍, 도학적인 수준, 폭넓은 교유, 사림 정신으로 축약되는 남도정신의 성숙이 큰 몫을 했다. <책> 154쪽, 다섯번째 단락  조선 중기 사림 문학에서 현재의 민중 문학까지 5백여 년 동안 남도는 한국 문학의 큰 줄거리를 담당했고, 매번 문학의 새 방법과 장르를 개척하는데 앞장섰다. <책> 154쪽, 다섯번째 단락  현대에 들어와서는 광주민주화운동을 기점으로 이 나라에 민중 문학이라는 또 하나의 틀을 탄생시켰다. <책> 156쪽, 두번째 단락 다섯째줄 <남도테마7>에서는 박유전, 이날치, 김채만, 최옥삼, 임방울, 정응민, 김연수, 김병환의 활약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한국의 소리 ‘판소리’가 남도에서 탄생할 수밖에 없는 배경은 무엇인가. 왜 판소리는 전라도 사투리로 불러야 제맛이 나는가.  


 유네스코에 의해 화순 고인돌군이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올해부턴가 고인돌축제가 없어진다는 소식을 들었다. 전라남도 차원에서 고인돌축제를 재활성화한다면 남도를 덩어리로 묶는 세계적인 관광자원으로 가능하다. 최근에 무안국제공항 개항과 통일후 기차여행를 염두한 관광자원화 전략이 필요할 때다. 남도 문화의 특질은 고급 문화가 아니라 서민 문화요, 유행 문화가 아니라 민족 문화이다. 깊은 정신사를 가지고 있는 남도의 의향, 학향의 맥속에 예향적인 자산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 21, 네번째 단락

 
어떤테마로든 주제는 한길로 통한다. 사람을 지극히 사랑하고 자연과 더불어 오바름을 실천하고자 했던 남도인들의 꿋꿋함과 인정머리가 만져질 것이다. <> 291, 두번째 단락 남도는 아직도 어머니 자궁처럼 우리가 한국인으로 살아갈 자양분과 한국인일 수밖에 없는 생명력을 부여해 준다. 남도는 한국인의 <여백>이다. <> 22, 마지막 단락 따라서 내가 죽어야 곳이기도 하다. 0806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