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것이 아름답다 - 인간 중심의 경제를 위하여
E.F. 슈마허 지음, 이상호 옮김 / 문예출판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역을 3개월 앞둔 쯤에 동생이 보낸 책이었다. 초판의 발행은 1980년 8월 중순으로 '5.18의 발포 책임' 공방이 연일 계속되고 있을 때였다. 8월 하순이 되어도 학교의 휴교령은 해제될 기미가 없었다. 초판 발행이후 약 4년의 세월을 떠돌다 인문대학생이던 동생을 통해 내게로 왔다. 고교때는 정치경제와 대학때는 경제학개론 정도였던 나에게 '슈마허'의 '메타경제학(meta-economics)'은 생소했다.


  세상에는 많은 문제가 있지만 원인은 유한과 무한의 갈등이다. 서구 경제학은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데 주어진 자원은 유한하다'는 전제로 시작한다. 이여 1970년대는 경제학의 전통에 반기를 둔 새로운 이론이 등장한다. 바로 '메타-경제학'을 주장한 'Schumacher'이다. 그는 지속가능한 경제구조를 위해 욕망보다는 한정된 자원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는 슈마허의 사상이 '불교의 경제학' 이론을 기반을 두고 있다는 의미이다. 법정의 '무소유'도 부처의 '팔정도'의 하나로 불교 경제학의 기조다.


  현대경제에서의 이윤과 성장의 추구가 거대한 조직과 전문화를 가속화시켜, 결과적으로 거대 경제체제의 비능률과 환경오염, 노동 조건의 비인간화를 낳았다고 비판한다. 생산이 아니라 인간에다 역점을 두고 있는 저자는 인간이 자본의 노예로 전락하고 있는 현대경제의 현실을 거부하고, 자본은 어디까지나 인간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인간 중시의 경제를 추구하고 있다. 


  기존 경제학은 '자연자원'을 '소득'이라고 보지만 메타경제학은 '자본'으로 여긴다. 자본적 사고는 무분별한 소비의 대상이 아니라 절약하고 아끼는 대상으로 본다. '재화'라고 여기는 제조품과 서비스는 '2차 재화'로, 원유 등 자연이 만들어 내는 재화를 '1차 재화'로 보았다. 우리가 휴일이면 즐기는 신선한 공기•물•토지 등 자연 전부를 경제의 영역으로 포함할 때, 좀 더 통찰력 있는 경제학적 시각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한다.


  '착한 소비' 무감각한 소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물건을 그것이 친환경적인 공정으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만들어졌는지, 오랫동안 사용할 있는지, 자신이 사는 지역에 도움이 되는지 등을 고려한 '휴일 쇼핑' 'Small is beautiful' 주장하는 '슈마허' 생각과 동일한 경제 행위이다.  1306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