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멸의 칼날 1
고토게 코요하루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7년 9월
평점 :
‘귀멸의 칼날’을 알게 된 건 극장판 애니메이션 ‘무한열차 편’ 때문이었다. 워낙 화제를 모아서 모를 수 없었다. 왜 그렇게 난리일까? 라는 궁금증이 들어 극장판에 앞서서 방영된 TV 시리즈 1기를 찾아보게 됐다. 이게 그렇게 인기를 끌 정도인가? 라는 생각도 했지만 나쁘지 않았고 재미나게 즐길 수 있었다. 여러 조건이 잘 맞아떨어져서 이 애니가 그리고 만화가 인기를 얻었다는 생각이고.
애니를 접하니 당연히 원작도 관심이 갔는데, 다들 (‘진격의 거인’ 시리즈도 그랬지만) 되도록 나중에 접하기를 권했다. 애니에 비해서 그림이 후지다고 해야 할까? 연출에 있어서 아쉽다고 해야 할까? 원작을 본 사람들은 다들 수긍하겠지만 애니에 비해서는 부족한 게 사실이니 아주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그림 자체는 나쁘지 않았지만 액션의 연출에서는 분명 애니보다 덜하긴 하다. 나머지는 나쁘지 않았다. ‘진격의 거인’과 비교하니 그렇게 되더라.
워낙 알려진 만화니 (좋고 싫음과 긍정과 부정이 이미 많이 논의되어서) 별다른 말을 꺼낼 게 없다. ‘진격의 거인’도 그랬지만 애니가 완결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원작도 봤다는 걸로 충분히 만족한다. 어떤 식으로 극장판이 완결될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고. 이런 걸 생각하면 ‘에반게리온’ 시리즈는 얼마나 실망스럽게 끝냈는지 여전히 아쉽기만 하다.
“기본적으로는 약한 적→강한 적, 악랄하고 사악한 최종 보스, 수련을 통해 성장하며 기술을 갈고닦은 뒤 이를 발휘해 적을 이긴다는 일본 소년 만화의 왕도적인 전개를 따라간다. 또한 '주인공이 소중한 사람을 지키기 위해 강해진다'는 전형적인 줄기를 따르고” 있으며, “대립 구도나 작품의 주제, 선악에 대한 묘사는 상당히 권선징악적이며 이분법적이다. 등장인물들의 관념도 도덕을 우선시하는 경향”인 무척 선명한 구성과 구도라 복잡한 방식으로 볼 필요가 없어서 많은 이들이 쉽게 다가설 수 있는 것 같다. 다소 잔혹한 점은 동일하지만 ‘진격의 거인’ 시리즈가 갈수록 복잡해졌던 걸 생각하면 정반대에 위치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그런 점에서 둘을 비교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다.
“급전개와 요약된 연출이 자주 등장하며, 다른 만화와 비교해도 굉장히 속도가 빠르다. 질질 끌기가 없”지만, 때로는 이런 건 좀 더 다뤘다면 어땠을까? 라는 내용도 있고, 여러 뒷얘기 등 어쩐지 궁금증이 안 풀린 부분도 있어서 속도로 인해서 그리고 걷어낸 이야기가 약간은 아쉽게 느껴진다. 자주 꺼내지는 과거 회상이 너무 반복적이라는 생각도 들고.
만화에 관한 생각은 저런 정도다. 그것 말고는 살짝 돈 얘기를 꺼낸다면, 상업적 그리고 사회문화적으로 2000년대에 ‘귀멸의 칼날’을 넘어서는 게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이 만화와 애니를 말할 때 돈 얘기를 뺄 수 있을까? 그럴 순 없을 것이다.
사람에 따라 다른 걸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극장판이 보여준 막강한 상업적 성취를 생각하면, 단순히 돈만 생각하면 비교 대상은 없지 않을까? 완성도나 작품성과 같은 걸 떼어놓고 순전히 돈만 생각하면 그럴 것이다.
그렇다고 부실하고 허술한 부분을 혹은 단점과 비판해야 할 뭔가를 말하려는 건 아니다. 막대한 성공 때문에 원작과 애니에 대해서 뭔가 말하고 싶어질 때 엄청난 성공이 생각나 조금은 머뭇거려진다는 말을 하고 싶었을 뿐이다.
이제 원작은 끝냈으니 최종 극장판을 즐기기만 하면 될 것 같다.
#귀멸의칼날 #鬼滅の刃 #DemonSlayer #KimetsunoYai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