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참고 : https://namu.wiki/w/%EC%B4%9D%2C%20%EA%B7%A0%2C%20%EC%87%A0
인류의 역사
문명의 불평등한 발전의 이유
13,000년이라는
거대한 역사의 변화와 문명의 흐름을 하나의 일관된 입장에서 풀어내고 있는 ‘총 균 쇠’는 그 방대한 시대에 걸친 변화에 대해서
대략적인 방식이 아닌 정교한 풀이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읽는 사람을 압도하고 있고 촘촘한 논리와 단단한 설득력으로 적극적으로
혹은 일정정도 저자의 생각에 공감하고 동의하게 된다.
길고 긴 시간의 흐름을 다루고 있고 책의 부피
또한 읽어내기가 만만하지 않음을 느끼도록 해주고 있어서 그리고 다양한 사례들과 여러 영역을 넘나들며 논증을 하고 있기 때문에 꽤
오랜 기간에 걸쳐서 읽게 됐고 그래서인지 전체적인 논의의 흐름은 알아가면서 읽어냈지만 군데군데 놓치거나 이해가 좀처럼 쉽지 않은
부분은 얼렁뚱땅 읽어내기도 했다.
저자는 무척 단순하고 간단한 문제의식으로 시작해서 거대한 역사의
흐름을 읽어내고 있다. 문명의 발전이 어째서 다른 속도로 진행되었는지 지배와 피지배는 어떤 이유로 인해서인지 등 여러 질문들을 총
균 쇠로 함축하고 있고 흥미롭게 자신의 생각을 하나씩 설명해주고 있다.
“민족마다 역사가 다르게
진행된 것은 각 민족의 생물학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환경적 차이 때문이다” 라는 생각을 내세우며 저자는 인간 사회가 발전하는
과정에서의 여러 다른 진행이 이뤄지게 된 원인과 이유를 인류의 시작부터 현재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며 설득력 있게 자신의 생각을
내놓고 있다.
워낙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고 있고 방대한 역사적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때때로 아는
것이 부족한 분야에 대한 설명은 읽어내기 쉽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어렵게 읽어내기는 했지만 읽는 것을 그만두고 싶을 정도로
곤란한 수준은 아니었다.
식량생산이나 정치체제와 같은 물적 토대와 제도적인 부분에 대해서 무척
강조하고 있고 문자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지도 잘 설명해주고 있기 때문에 저자의 생각을 받아들인다면 어째서
그런 부분들을 주목하고 변화의 큰 동력이 되는지 잘 이해할 수 있다.
발전된 결과를 강조하기 보다는
과정 속에서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를 계속해서 중요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자의 접근 방식을 다른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을 것 같고 실제로도 여러 영역에서 저자의 분석과 접근방식을 많이 참고하고 있는 것 같다.
저자가
자신의 주장에 대한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인지 지루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고 여러 예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읽는 사람에 따라서는 읽기가 답답하기도 하겠지만 흥미로운 입장과 생각지도 못한 의견이 여러 가지를 다각도로 생각해볼 수 있어 무척
인상적인 책으로 기억될 것 같다.
읽는 과정이 어렵기는 했지만 읽어낸 보람이 있는 책이었다.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읽어보기를 추천하게 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