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오퍼스 9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수전 손택의 은유로서의 질병을 간단하게 말한다면 지금까지 글쓴이가 발표한 책들 중에서 가장 쉽게 읽혀지고 이해되는 글이었다.

 

어떤 것에 대해서 말하려고 하고 어떤 동의와 설득을 하려고 하는지 무척 명확하게 접근하려고 하는 글이었다. 그만큼 자신의 생각을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고 공감해주길 바랬던 것은 아닐까?

 

그동안 글쓴이의 글을 읽을 때마다 이리 꼬고 저리 꼬는 기분이 들어 도대체 무슨 말을 하려는 것인지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은유...’(저자의 생각을 모두 다 이해했다고 자신만만하게 말할 수 없지만)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주는 질병(결핵과 암, 매독과 에이즈)에 대해서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 오해를 하고 왜곡된 인식을 하고 있으며, 사회적 정치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인 측면과 일반적인 정서에서 질병을 어떤 식으로 은유하고 잘못된 편견과 그릇된 이해를 하고 그런 틀린 생각이 어떤 문제점을 만들게 되는지 정교하게 분석하고 있다.

 

글쓴이의 글을 읽어가며 나 또한 질병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 제멋대로 이해하고 해석하고 있었는지, 은유와 왜곡에 쉽게 설득-공감하면서 그 잘못된 언어를 아무런 의심 없이 오해 속에서 사용했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결핵, 암 그리고 매독과 에이즈에 대해서 우리들은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피상적으로 혹은 오해 속에서) 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로인해서 생명에 크나큰 위협을 끼치지만 치료에 전념한다면 충분히 완치도 가능한 질병을 애초부터 잘못된 인식 속에서 좌절감과 패배감 혹은 공포와 혐오의 시선 속에서 접근하는지를 상세하게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그 혐오의 시선을 누군가에게 뒤집어씌우고 있는지도 생각해보게 된다.

 

결핵과 암이 갖고 있는 일반적인 (잘못된) 인식과 오해 그리고 문학적 학문적 은유-착각에 대해서 다양한 문헌과 소설, 학문적 논의들을 예로 들며 정확한 이해 없이 은유와 해석()을 앞세웠을 때의 문제점을 알아보며 우리가 은유 없이 살아갈 수 없다는 사실을 자신도 잘 알고 있지만, 우리가 사용하거나 끌어 들어오는 은유에는 반드시 신중을 기해야만 한다는 저자의 주장을 항상 잊지 않도록 충분한 설명해주고 있고 본질을 알지 못하고 허상만을 알지 않도록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도록 해주고 있다.

 

글쓴이의 생각에 전적으로 공감하고 동의한다. 맞는 생각이고 틀렸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 또한 그런 은유에 빠져들어 여러 질병들을 오해하고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는 사실에 대해서 반성하게 되기도 한다.

 

질병을 질병으로서 이해하려고 하기 보다는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인종적으로 온갖 방식으로 뒤틀어서 들여다보고 있기 때문에 질병의 실체를 훼손시킨사례들을 살펴보며 우리들에게 그런 오해에서 빠져나와 질병을 제대로 이해하고 본질을 정확하게 알아야 함을 알려주고 있다.

 

그걸 어떤 식으로 해결해나가야 할 것인지 좀 더 올바른 판단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해준다.

 

잘못된 것들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제대로 바로잡아야 함을 깨닫도록 해주고 있다.

 

은유로서의 질병이라는 글과 에이즈와 그 은유라는 2개의 글을 묶은 은유...’은유로서의 질병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던 이후에도(발표한지 10년이 지난 후) 에이즈에 대한 공포와 불안감이 확산되던 시절 과거의 잘못된 점들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고 에이즈에 대한 오해와 편견 그리고 그릇된 은유가 퍼져나가는 것을 막고자 그 잘못된 인식()을 조목조목 비판하는 글인 에이즈와 그 은유를 발표했고 에이즈가 갖고 있는 그 당시의 혼란스러운(1988) 상황 속에서 흔들림 없이 우리들에게 진정하라고 말해주고 있고 제대로 된 실체를 파악하도록 해주고 있다.

 

2개의 글 모두 결론은 마찬가지인 것 같다. 시끌벅적한 상황에 휩쓸리지 말고 차분하게 무언가를 알아보고 알맞은 방식으로 대응하라고 우리들에게 말해주는 것 같다.

 

은유...’를 읽고 과거를 돌이켜 보게 되니 질병이라는 것에 대해서 너무 예민하고 경악으로 받아들였던 것 같다는 쑥스러움이 느껴지고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쉽게 단정하고 평가했던 것 같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그리고 질병 말고도 얼마나 많은 것들에 대해서 오해하고 왜곡된 이해를 했으며 그로인해서 누군가를 소외하게 만들고 무언가를 잘못되게 했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고독하게 만들고 사회로부터 추방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읽으면서 사회적 시선이 앞으로도 달라지지 않고 지나치게 선동을 일삼고, 상황을 지나치게 왜곡하며, 환자들을 고립시키거나 환자들에게 낙인을 찍는 데 단단히 한몫하는 군사적 이미지가 덧붙여지는 문제점들이 계속된다면 우리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실체와 본질을 알지 못하기만 하게 될 것을 깨닫게 해준다.

 

수전 손택의 들춰냄과 폭로는 이번만큼은 눈에 쏙쏙 들어오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