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신에 목숨을 건 조선의 아웃사이더
노대환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정조의 문체반정에 반기를 들었던 이옥
죽은 아내에게 수십 편의 글을 남긴 심노숭
자신을 최고의 문인으로 믿었던 요절 시인 이언진
손자의 육아 일기를 남긴 이문건
친구의 죽음에 과거를 포기한 박지원
스승의 죽음에 평생을 은둔한 양산보
극진한 효심으로 소설 「구운몽」을 지은 김만중
의리와 실천으로 무장한 행동파 유학자 정인홍
일평생 오로지 북벌을 꿈꾸었던 윤휴
경세에 목숨을 걸었던 김병욱
온몸으로 천주교에 맞섰던 김치진
개화와 척사 사이에서 제3의 길을 걸었던 이건창
최근 조선 시대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서 조선 시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들에 자주 손이 가고 있다. 체계적으로 알아보기 보다는 그냥 관심이 가게 되는 책들을 이것저것 읽어보고 있는 수준이라 그리 많이 알아가고 있다고 생각되진 않지만 그래도 꽤 재미를 느끼게 된다.
‘소신에 목숨을 건 조선의 아웃사이더’는 조선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 중 제목처럼 소신에 목숨을 건 사람들만이 아닌 독특하고 특이한 혹은 유별나다고 말할 수 있는 삶을 살아간 사람들과 제목 그대로 시대의 한계와 여러 어려움들 속에서도 자신만의 입장을 잃지 않으려고 했던 12명의 삶을 짧게 훑어보고 있다.
선정의 기준이 의문스러울 때도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이해할 수 있을만한 선정이었다. 몇몇은 잘 이해되지 않았지만 그걸 트집 잡고 싶진 않다.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지만 시대적 정치적 사회적인 강요에 휘둘리거나 타협하기 보다는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고 했던 이들의 삶은 그리 순탄치 않은 삶이 대부분이고 쉽고 편한 방식을 뻔히 알면서도 그걸 택하지 않음으로 괴로움과 힘겨움을 겼게 될 뿐이지만 그럼에도 지켜야만 했던, 혹은 세상과 싸워야 했던 이유를 알아가면서 무엇을 지켜야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할 것인지를 반성해보고 생각해보게 된다.
유난히 도드라진 삶을 살아간 12명의 삶을 살펴보면서 그 시대가 어떤 시대였는지 함께 알려주고 있기도 해 좀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으며 어려운 내용이 아니라 쉽게 읽을 수 있어 좋았다.
12명의 삶만이 아니라 조선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 또한 함께 다루고 있기 때문에 가벼운 기분으로 읽을 수 있었지만 그렇게 읽다가도 시대와 세상과 다퉈가면서 점점 지쳐가고 쓰러져가는 그들의 삶 때문에 안타까운 기분이 지워지지 않게 된다.
지금 시대에는 어떤 이들이 소신과 신념을 지켜가며 세상과 다투고 힘겨워하고 있을까? 그들이 지쳐가지 않고 더 질기게 싸워나가길 바란다. 그리고 그들에게 손가락질을 하는 것이 아닌 응원하고 힘을 주는 사람이 많은 사회이길 꿈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