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동안 건축-도시에 관한 책들을 읽지 않고 있었던 것 같다. 특별히 관심이 시들어서 그렇게 된 게 아니라 단순히 그쪽 분야에 관한 책이 손에 들어오는 않았기 때문이었는데, 오랜만에 읽어서 그렇기도 하지만 내용에서도 분명한 만족감을 주는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게 되니 그동안 줄어들었던 건축-도시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지게 되었다.

 

저자는 최근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 2’라는 방송을 통해서 대중들에게도 서서히 이름이 알려지고 있는 것 같은데, 그러기 전에도 책을 통해서 그리고 건축을 통해서 꽤 알려져 있었던 것 같고 그 방송을 통해서 언급되는 주장이나 생각들이 이 책 내용에서도 많이 다뤄지고 있어서 좀 더 흥미를 느끼며 책을 읽게 됐다.

 

건축에 관해서 그리고 도시에 관해서 그것을 그냥 그대로 이해하는 시선도 하지만 저자와 같이 인문학적 시선으로, 많은 사람들이 엉키고 뒤죽박죽거리며 살아가는 공간-장소로 이해하려는 시선이 있고 저자는 그 방식으로 도시를 그리고 건축을 바라보려고 하고 있고 살펴보려고 하고 있다.

 

그런 저자의 방식을 건축을 단순히 예술이 아니라 과학이며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이 종합된 학문으로 접근하려고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고 여러 영역의 넘나듦을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동서양의 유명 건축들이나 도시들이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공간-장소가 어떤 식으로 성공적으로 꾸며졌는지 반대로 실패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다루고 있기도 하지만 저자는 도시 특히 서울이라는 거대한 도시 공간을 그리고 거리와 건축들을 논의의 중심에 놓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식으로 생각하고 접근함으로써 더 좋은 방향을 찾을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는데, 이론적인 부분에 관해서 그리고 실제 현실에 적용해보는 과정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흥미롭게 읽혀질 수 있도록 해주고 있으며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가 삭막한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고 해결책을 찾아보려고 하고 있다.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도시라는 공간-장소와 거리에 대해서 저자는 새롭게 생각해보도록 그동안 생각해보지 못했던 시선으로 바라보도록 해주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익숙했던 그곳들이 조금은 달리 보게 되고 생각해보게 되는데, 이런 흥미로운 논의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고 있다.

 

어떤 완결을 하려는 논의가 아닌 도시와 건축에 대해서 여러 생각들을 잘 다듬어내고 여러 갈래로 나눠놓기도 하고 묶어놓고 있는 도시...’는 도시와 건축에 관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편하게 읽길 바라며, 무엇보다 지루하지 않았으면 한다는 저자의 의도가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을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