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혹하는 글쓰기 (특별판)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참고 : https://namu.wiki/w/%EC%8A%A4%ED%8B%B0%EB%B8%90%20%ED%82%B9
참고 : https://namu.wiki/w/%EC%9C%A0%ED%98%B9%ED%95%98%EB%8A%94%20%EA%B8%80%EC%93%B0%EA%B8%B0
수정본 = 초고 – 10% 행운을 빕니다
스티븐 킹
가장 위대한 대중소설가 중 한명이고(본인은 그런 표현에 겸손한 반응을 보이겠지만) 공포소설의 대가인, 수많은 소설들을 발표했고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지만 개인적으로는 고작 ‘그린 마일’ 정도만 읽어봤을 뿐이고 대부분의 작품들을 소설로 읽기 보다는 영화를 통해서 접한 적이 많았던 것 같다.
그의 소설을 폄하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별히 관심이 가지 않았기 때문에, 영화를 통해서 즐겨도 충분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굳이 찾지는 않았었다.
이런 생각 또한 스티븐 킹을 얕잡아보는 것이기도 하겠지만.
어쩌다보니 글쓰기에 관한 책이 읽고 싶어졌고 스티븐 킹도 글쓰기에 대한 책을 발표했다는 것이 갑작스럽게 기억나 곧장 찾아 읽게 되었고 기대보다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스티븐 킹에 대해서 오해를 하거나 편견을(혹은 무시하던) 갖고 있던 사람들이라면, 글쓰기에 대해서 두루뭉술한 안내보다는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유혹하는 글쓰기’는 무척 유익한 책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스티븐 킹을 무척 잘못보고 있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가 글쓰기에 대해서 갖고 있는 애정과 행복 그리고 삶에 대한 태도에 많은 감흥을 받게 되었다.
우선은 머리말을 통해서 스티븐 킹은 자신이 어째서 글쓰기에 관한 책을 쓰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가볍게 설명해준 다음 이력서라는 제목으로 그동안의 생애를 되도록 객관적으로 그리고 유쾌한 분위기 속에서 설명해주고 있다.
장난기 가득했던 어린 시절과 책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보였던 청년 시절, 궁핍한 환경이었지만 작가를 꿈꾸며 대학생활과 졸업 후 소설가로 자리 잡기까지 겪었던 어려웠던 경험들을 빠른 속도로 설명해주고 있다.
그가 뒤에서 말해주듯 불필요한 설명들을 제외시키고 술술 읽혀지도록 재빠르게 자신의 삶을 정리해주고 있다.
작가로서의 삶을 살아가면서 겪었던,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 자신의 소설이 완성되었는지를 설명해주는 내용은 무척 흥미진진하고 여러 뒷얘기들은 그동안 전혀 몰랐던 사실들이었기 때문에 스티븐 킹을 알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괜히 이것저것 얘기해주고 싶은 기분이 들 정도로 재미난 내용으로 가득하다.
마약과 술에 찌들어 지냈던 시절과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까지 설명해준 다음 다시 글쓰기로 돌아와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 알아두어야 할 몇몇 기본 조건들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여러 작가들의 글들을 예로 들면서 좋은 글들이라면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를 쉽게 이해시켜주고 있는 ‘유혹...’은 어렵고 난해하거나 괜히 무게를 잡고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법들을 많이 알려주고 있어 알려주는 내용 모두 잘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지만 되도록 그 방법들을 지켜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충분히 이해되고 납득되는 부분들이 많다.
그런 다음 창작의 영역으로 넘어가 반드시 그렇지는 않겠지만 자신의 경우에 한해서 창작에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있다. 스티븐 킹이 생각하는 창작의 특징은 어떤 영감이나 갑작스러운 떠올림을 강조하기 보다는 직업으로서의 글쓰기를 더욱 강조하고 있고 “점성술이나 심령 세계 따위가 아니고, 장거리 트럭을 몰거나 배관 공사를 하는 것처럼 하나의 직업일 뿐”인 입장에서 글쓰기와 창작을 말하고 있다.
진실 되게 즐겁게 글을 써야 할 것이며 그것을 아무런 이유 없이 사랑하고 행복해하는 것을 거듭 강조하고 있으며 스티븐 킹 그 자신 또한 항상 그래왔다는 것을 반복해서 말하고 있고, 그걸 생각한다면 스티븐 킹이라는 작가가 여전히 흥미로운 이야기를 (그의 표현대로) 꾸준하게 찾아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가 지침 없이 꾸준히 소설을 발표할 수 있는 원동력은 그것 자체를 너무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다.
서술 묘사 대화 분량 진행속도 주제 수정 자료조사 까지 글쓰기에 필요한 그리고 작가가 되기 위해서 알아두어야 할 기본적인 것들을 무척 소상하게 그리고 배려심 깊게 설명해주고 있고 그것들을 알려준 다음 (그 당시) 최근에 겪었던 목숨을 잃을 뻔했던 자동차 사고에 대해서 설명해주며 삶을 끝마칠 뻔했던 사고를 통해서 무엇을 깨달았고 알게 되었는지를 들려주는 내용으로 마무리 하고 있다.
“글쓰기란 작품을 읽는 이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아울러 작가 자신의 삶도 풍요롭게 해준”다는 생각으로 “살아남고 이겨내고 일어서”기 위해서 “행복해지”기 위해서 글을 여전히 쓰고 있고 다른 사람들도 자신처럼 이 기쁨을 누릴 수 있기를, 함께 더 즐겁고 행복해지길 바라며 자신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을 끝마치고 있다.
하지만 그래도 뭔가 하나 더 알려주고 싶었는지 실제로 초고와 수정 그리고 퇴고의 과정을 아예 한 사례를 만들어내면서 ‘유혹...’을 읽는 사람들에게 마지막까지 글쓰는 즐거움을 그리고 읽고 쓰고 고치는 과정의 아름다움을 알려주고 있다.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고 있다는 점에서 좋은 책이기도 하지만 스티븐 킹 본인이 갖고 있는 책과 글에 대한 애정 때문에 더욱 즐겁게 읽혀지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