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에 관하여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한때 사진에 관심이 있었지만 그것 때문에 ‘사진에 관하여’를 읽게 된 것은 아니다. 사진에 대한 관심은 금방 시들해졌고 전문적인 관심 보다는 그저 눈길을 사로잡는 예쁜 사진에만 관심이 생길 뿐이었다.
예쁨에 대한 기준은 각자 다를 것이고 그것에 대해서 말이 길게 이어질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그렇다.
저자인 수전 손택은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자신의 예민한 감각과 뛰어난 글쓰기 솜씨를 통해서 여러 논쟁을 만들었고 다른 사람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생각을 해보려고 했다. ‘사진...’은 사진과 관련해서 수전 손택만의 누구와도 다른 자신만의 시각과 독특한 글쓰기를 보여주고 있지만 펼쳐놓는 생각이 그리 쉽게 이해되지는 않는지 영 어렵게만 읽혀졌다. 그래서인지 뭘 읽었는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겠다는 생각만 하게 된다.
사진
영상 시대이고 이미지 시대이기 때문에 사진에 관한 글을 읽는다는 것은 얼핏 느끼기에는 시대착오적이고 뒤쳐진 과거의 글을 읽는 것처럼 생각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의 글을 읽다보면 흘러간 과거를 알기 위해서 읽는 것이 아닌 바로 지금 현재를 좀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그림으로부터 시작해서 사진이라는 새로운 영역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면서 과연 우리들이 보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를 일상적으로 접하고 경험하는 것들에 대해서 새로운 고민해보도록 안내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사진은 과거가 아닌 지금 시대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원형처럼 생각해도 괜찮을 것 같다. 그런 식으로 읽는다면 ‘사진...’이 좀 더 새롭게 생각될 수 있을 것 같고 과거를 다루면서 현재를 이해해보려는 접근으로 생각되게 한다.
뉴욕타임스 서평에 발표한 여섯 글들을 다시 다듬어내고 사진에 관한 명언을 모은 글을 더해서 발표한 ‘사진...’은 사진에 관한 저자의 생각을 어떻게 본다면 장황하고 감상적으로 풀어내고 있고 달리 본다면 에세이와 학문적인 글쓰기가 뒤섞여진 글로 생각되기도 하는 등 형식은 편하게 써낸 에세이의 형식이기는 하지만 생각처럼 쉽게 읽혀지지는 않게 글로 채워져 있다. 저자 특유의 글쓰기라고는 말할 수 있지만 솔직히 글을 제대로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았고 난해하기도 했다.
다만 이런 글쓰기는 읽는 사람이 어렵게 읽혀지면서도 그 글들에서 여러 생각들이 이어지거나 글을 통해서 다른 생각들을 해보게 만들기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산만하고 장황하다는 말로 단정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예민한 감각으로 자신의 생각을 끊어지지 않고 이어나가고 있다고 해야 할까? 어렵기는 하지만 읽고 싶어지는 의욕을 꺾게 만들 정도는 아니었다.
사진만이 갖고 있는 독자성이나 특징에 대한 설명을 해주다가 부정적인 부분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는 등 단순히 옹호하거나 매도하는 것이 아닌 좋고 나쁜 모든 부분들을 끄집어내서 종합적으로 생각해보려고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되는 ‘사진...’은 그저 찍혀져서 현상된 사진이 아닌 찍는 과정 찍는 상황 현상된 사진을 보여주는 사람과 보는 이들의 감상과 반응까지 사진과 관련해서 사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들을 살펴보려고 하는 것처럼 자신의 생각을 이어지게 만들고 있고 사진에 대한 생각만이 아닌 사진을 실마리로 삼아 인간의 인식이나 이해의 영역까지 생각해보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읽기가 생각처럼 쉽지는 않았다.
사진을 찍고
사진을 보고
보여주고 본 것을 생각하고
그런 과정을 때로는 이념과 정치의 영역까지 넘나들면서 파고들려고 하고 있고, 미학적인 이해 속에서 생각해보다가도 사진을 너머에 있는 현실 그 자체를 쳐다보도록 제안하기도 하는 등 종잡을 수 없는 생각의 흐름 때문에 열정적이다가도 퉁명스럽기도 한 글 때문에 읽기는 쉽지 않았다. 하지만 뭔가 어지러우면서도 흥미롭기도 했다.
‘사진...’을 읽었어도 사진에 대해서 뭘 알게 되었다고 말할 것은 하나도 없지만 ‘사진...’은 사진에 관한 수전 손택의 생각을 뒤쫓으며 저자의 다양한 생각과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사유를 경험해보게 됐다.
참고 : 페이스 북과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사진...’은 좀 더 다양하게 읽혀질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