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의 시대 한길그레이트북스 12
에릭 홉스봄 지음, 정도영.차명수 옮김 / 한길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4%91%ED%98%81%EB%AA%85

 

 

 

 

이중혁명은 인간생활의 모든 측면을 변화시켜나갔다

 

 

 

1780년대의 세계

산업혁명

프랑스 혁명

전쟁

평화

혁명

민족주의

토지

산업세계를 향하여

재능에 따른 출세

노동빈민

이데올로기 : 종교

이데올로기 : 현세

예술

과학

결론 : 1848년을 향하여

 

 

 

에릭 홉스봄

 

마르크스(맑스)주의 역사학사 중 가장 위대한 역사학자를 꼽으라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사람을 꼽으라면) 아마도 에릭 홉스봄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될 것 같다.

 

균형 잡힌 시각과 (이런 상투적인 말을 굳이 꺼내야 하는 것도 우습기만 하다. 보수적인 입장의 역사학자들 중에서 과연 균형 잡힌 시각이라는 것이 있기나 할까? 꼭 좌파 혹은 진보로 분류되는 학자들에게만 균형이라는 것을 강요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일부분이 아닌 보다 큰 틀 안에서 논의를 해주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각-생각을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에릭 홉스봄의 혁명-자본-제국-극단의 시대 시리즈는 쉽게 정리할 수 없는 시대를 알기 쉽게 정리를 해주고 있으면서도 단순히 알기 쉽게 정리하는 것만이 아닌 (글자 그대로) 격변의 시대를 좀 더 구체적이면서도 넓은 시각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이보다 더 잘 설명해주고 있는 연구가 있을까? 라는 생각 속에서 감탄하면서 읽게 만든다.

 

물론, 홉스봄의 연구에 대해서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는 부분도 있을 것이고, 홉스봄의 연구가 그 이전의 연구들에 비해서 획기적이거나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들만을 다뤄내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

 

기존의 각각의 방식으로 진행된 연구들을 이중혁명이라는 틀 속에서 하나로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인상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런 관점과 시도가 그동안의 방식과는 분명 다르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고 좀 더 그 당시의 시대를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시대의 거대한 흐름을 좀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뛰어난 방식으로 종합해내고 있다고 해야 할까?

 

이미 예전에 한번 읽어보기는 했지만 그때는 너무 아는 것이 부족했는지 읽으면서도 몇몇 부분들은 어렵게만 느껴졌고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아리송하게만 느껴졌는데, 이번에는 조금 더 읽어내기가 편했고 좀 더 명료함과 저자의 폭넓음 시각을 느낄 수 있었다.

 

저자는 1789년부터 1848년까지로 시기를 한정해서 산업혁명과 정치혁명이라는 이중혁명이라는 큰 틀 안에서 역사적 사건과 흐름을 파악하려고 하고 있는데, 역사적-정치적-사회적인 구체적인 사건들을 통해서 일어난 변화-갈등들을 살펴보면서() 단순히 사건들이 이어짐이 아닌 이중혁명이라는 하나의 관점-틀 속에서 역사적 흐름을 다뤄내고 있기 때문에 유럽의 역사만이 아닌 그와 관련된 세계적인 변화와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엄청나고 너무 방대하게만 느껴지는 시대적 변화를 좀 더 이해하기가 쉽게 정리하고 있는데, ‘혁명의 시대의 목차를 보더라도 충분히 어떤 의도와 생각 속에서 논의가 되고 있으며 내용을 정리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 같고 이중혁명이라는 큰 그림 안에서 모든 것들이 다뤄지고 있고 정리하면서 정치적 사회적인 변화만이 다른 영역들(예술과 과학 등)에 대한 논의들도 있어서 좀 더 그 시대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홉스봄에 대해서 논의할 때면 항상 언급하듯이 사건만이 아닌 혹은 정치적 지도자에 대해서만이 아닌 민중들의 삶과 대다수 사람들이 어떤 생각과 입장에서 그 시대를 살아갔는지에 대해서도 무척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역사학자들과는 분명히 다른 이해를 보여주고 있고 그런 점들이 많은 사람들이 홉스봄을 특별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이유일 것 같다.

 

개인적으로도 사건들의 나열만이 아닌 어떤 흐름을 이중혁명이라는 틀 안에서 생각하고 있고 그 과정 속에서 사건들을 분류하고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척 인상적인 입장인 것 같고, 그런 방식으로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홉스봄의 논의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동안 계속 미루기만 했던 홉스봄의 책들을 하나씩 읽어나가야 할 것 같다.

 

아직 모르는 것들이 너무 많아 얼마나 이해하며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의욕을 갖게 만든다.

 

근대사회가 어떤 식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를 조금이라도 알아가고 싶다.

 

 

 

참고 : 읽으면서 자주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근대세계체제를 떠올리게 되었다. 같은 분석과 입장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로 비교하며 읽게 된다면 많은 흥미로운 생각들이 생겨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