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김산해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참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86537&cid=43005&categoryId=43005
참고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1851&cid=40942&categoryId=32966
길가메쉬 서사시
아마도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최초의 문명으로 수메르 문명에 대해서 배웠을 것이고(아마도 지금도 세계사 수업에서는 간단하게라도 다뤄지지 않을까?), 길가메쉬 서사시에 대한 짧은 언급을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억나지 않더라도 세계사에 대한 수업을 조금이라도 접해봤다면 혹은 인류의 기원과 문명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라도 접했다면 수메르 문명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세계사에 대해서 그리고 신화에 대해서 그럭저럭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억하고는 있지만 기억만하고 있을 뿐이고 알고만 있을 뿐이지 딱히 직접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까지는 없었는데, 미루고 미루다가 결국 이제야 읽게 되었다.
어쩐지 읽어도 재미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읽기를 생각조차 하지 않았는데, 역시나 읽으면서 흥미나 큰 재미를 느끼진 못했다.
읽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럽다는 말을 꺼내고 싶고, 길가메쉬 서사시에 대한 그동안 모르고 있었던 정보-이야기들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이 오히려 길가메쉬 서사시 자체보다 더 큰 흥미로움을 느끼게 되었다.
저자는 오랜 기간 연구를 하면서 얻게 된 지식-정보를 알기 쉽게 그리고 재미나게 알려주면서 길가메쉬 서사시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고 인류 문화의 가장 오래된 이야기로서 어떤 식으로 전승되고 이어지게 되었는지를 (그리고 그 이어짐 속에서 어쩐 변형이 있었는지를) 알려주고 있고 이해시켜주고 있다.
신화 그 자체보다는 신화를 둘러싼 이야기들이 더욱 매력적이고 흥미롭게 읽혀지기는 하지만 신화 또한 기묘한 매력과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 사람들에 따라서는 지루하게만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읽다보면 무척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고, 저자는 여러 방식으로 길가메쉬 서사시가 이후의 신화-종교에 큰 영향을 미쳤는지 알려주면서 좀 더 특별함을 느끼며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어떤 기원이라는 것을 읽게 된다는 점에서 무척 경이로움을 간간히 느낄 수 있었는데, 길가메쉬 서사시는 그런 의미에서 이야기 자체만으로도 흥미를 느낄 수 있으면서 아울러 이 신화-서사시가 어떤 식으로 변형되고 이어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면 좀 더 흥미를 느끼게 된다.
아직은 덜 성숙한 길가메쉬가 어떤 잘못들을 저질렀으며 어떤 식으로 친구를 얻게 되었는지, 무슨 모험을 했고 어떻게 친구를 잃고 죽음의 공포를 겪었으며 결국 죽음을 받아들이게 되었는지, 읽을 때는 무슨 내용인지 종잡을 수 없기는 하지만 저자의 안내 속에서 이야기를 다시 생각해보면 기원과 원형을 접했다는 생각에 그 옛날 사람들은 어쩌다가 이런 이야기를 남기게 된 것인지 궁금증만 커지게 된다.
신화를 좀 더 알기 쉽게 풀어내고 있는 후반부의 논의에서 여러 해석들과 상세한 설명은 대충 읽게 되거나 쉽게 지나쳤을 부분들까지 다시금 되짚어 생각해보도록 함으로써 좀 더 신화를 깊이 있게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구성은 무척 마음에 든다.
처음에는 길가메쉬 서사시가 어떤 내용인지 어떤 식으로 발견되고 학자들에 의해서 파악되었는지를 알려주고 있고, 이어서 직접 저자가 해석한 길가메쉬 서사시를 읽도록 해주고 있으면서 마무리로 다시금 이야기를 해석하고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방식은 좀 더 이야기를 음미할 수 있고 생각해보도록 해주고 있다.
전체 이야기 중에서 빠진 부분들이 많아서 조금은 이야기 진행이 들쭉날쭉하게 느껴지지만 인류 최초의 신화-서사시라는 점 때문인지 어떤 이야기들과도 다른 느낌을 받게 되기도 한다.
신화에 대해서 그리고 서사시에 대해서 그 기원과 원형을 접해보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꽤 괜찮은 책읽기가 될 것 같다.
그리고 저자의 공들인 노력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