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 천연균과 마르크스에서 찾은 진정한 삶의 가치와 노동의 의미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4년 6월
평점 :
발효
부패
넓은 의미에서는 비슷하게 다뤄질 수 있는 부분도 있겠지만 엄격하게 나눈다면 “인간에게 유용한 경우에는 발효라고 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부패라고 한다.”
시골빵집에서 천연효묘와 씨름을 하면서 단지 더 좋은 빵을, 자연과 더불어 할 수 있는 생산을 생각하는 것만이 아닌 자본주의와도 싸워내려고 하는 빵집 아저씨 와타나베 이타루는 자신의 삶을 뒤돌아보고 자신의 철학과 입장 그리고 생각을 정리하면서 어떤 식으로 지금 시대의 시대정신을 이겨내려고 하는 것인지 어째서 그런 생각과 행동-실천을 하게 된 것인지를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극히 지역적이고 생태적인 입장이지만 분명하게 원론적이고 근본적이기도 한 생각이고 의견일 것 같다.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생각보다 더 주목받은 책이었던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전혀 알지는 못했지만 우연한 기회로 읽게 되었고 가볍게 읽혀지면서도 꽤 여러 생각들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읽어볼 수 있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특히, 좀 더 젊고 다른 세상과 시대가 가능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이끌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저자는 반골기질로 가득한 자신의 성향과 세상의 불합리와 잘못에 대해서 받아들이지 못하고 불편하게 받아들이고 괴로워하던 (때로는 나태하고 안이했던) 입장으로 인해서 어떤 식으로 세상이 요구하고 강요하는 방식의 삶에서 벗어나게 되었는지를, 그러면서도 세상의 방식을 다시금 알아가고 진정으로 다른 방식을 찾으려고 하게 되었는지를 솔직하고 상세하게 알려주면서 다른 삶의 태도가 가능할 수 있음을 우리들에게 알려주려고 하고 있다.
어째서 빵을 선택하게 되었는지를
어째서 마르크스를 공부하게 되었는지를
그 어울리지 않는 과정을 알려주고 있고, 그 2가지가 어떤 식으로 (전문용어를 쓴다면) 변증법적인 해답을 찾았으며, 그 해답을 통해서 과연 지금과는 다른 삶과 생산방식과 삶의 태도가 가능할 수 있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누구나 저자와 같은 삶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지는 못하겠지만 한명이라도 더 조금이라도 누군가에게 용기를 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저자는 자신의 지금까지의 삶과 선택을 솔직하게 말하고 있고 자신의 시행착오들을 말해주며 누구나 실수할 수 있음을, 용기를 잃지 말라고 응원한다는 점에서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좌절하거나 포기하는 것이 아닌 그래도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확신과 신념을 잃지 않도록 의도하고 있다는 생각에 그 올곧음과 진심에 감명을 받게 되기도 했다.
자신의 삶을 통해서 감출 것 없이 자신의 하루하루를 통해서 증명하려고 하는 솔직한 모습에 그저 고개가 숙여진다.
따지고 들고
이것저것 반박하려고 한다면
저자의 방식과 생각 그리고 입장과 태도에 대해서 하고 싶은 말이 많을 수 있을 것이지만 반대로 저자와 같은 삶을 살아보지도 않고 무턱대고 뭔가를 말하려고 한다면 그것 또한 무책임하고 어떤 생각에 기울어진 입장일 것이라고 판단하게 된다.
저자가 얘기하려고 하는 논의가 굳이 마르크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필요도 없을지도 모르지만 반대로 마르크스를 들먹이면서 얘기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어떤 극단적인 모순과 잘못들 그리고 자본주의로 인한 왜곡이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들을 해보게 된다.
참고 : 숨어있는 좋은 책이라는 평가는 정말... 그런 평가를 하고 싶은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