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빨간 도시 - 건축으로 목격한 대한민국
서현 지음 / 효형출판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건축가 서현은 우연히 접하게 된 강연을 통해서 알게 되었고, 자신만의 건축에 대한 관점과 (일종의) 신념을 느낄 수 있어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책을 통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 있고 글을 통해서 알리려고 하는 (자신의) 생각과 입장에 대해서 공감하고 동의하기 때문인지 꾸준히 그의 저서들을 찾게 되는 것 같다.
‘빨간 도시’의 경우 제목부터 꽤 자극적이고 공격적인 느낌이 들어 조금은 낯선 느낌이 들었는데, 저자의 다른 저서들의 경우에 비교했을 때 좀 더 도드라질 정도로 특색이 있는 제목이고 그 제목 때문에 더욱 인상적으로 느껴지게 되는 것 같다.
온화하고 부드러운 성향의 글이었던 저자가 어떤 이유에서 이런 제목으로 묶인 글들을 쓰게 된 것일까?
들어가는 말인 프롤로그와 끝맺는 말인 에필로그를 통해서 저자가 어떤 입장과 생각을 갖고 ‘빨간 도시’의 글들을 쓰게 되었는지를 무척 간략하고 명료하게 알려주고 있고, 그 내용을 읽고 나머지 글들을 읽어나간다면 어렵지 않게 저자가 무슨 생각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큰 한숨과 애석함 그리고 때때로 불만과 분노를 읽을 수 있다.
한국의 특징들이 건축을 통해서 어떻게 확인될 수 있는지를, 건축들을 보면서 한국을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바라볼 수 있는지를 시도하고 있는 ‘빨간 도시’는 아파트로 가득하고 빼곡하게 채워진 도시의 모습과 그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떤 식으로 도시로 향했고 살아왔으며 옛 기억을 혹은 삶의 관습과 습관을 몸에 새겨놓으며 살아왔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다루면서 시작하고 있고, 우리의 일상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공간과 건축들이 우리들의 삶을 얼마만큼 짓누르고 있으며 우리들의 생각과 의식을 알게 모르게 지배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하려고 하고 있다.
급격하게 변하고 뒤바뀐 시대와 사회상에서 그 급격한 변화가 어떤 식으로 뒤틀린 모습으로 지금 현재를 보여주고 있는지를 여러 사례들을 통해서 알려주고 있으며, 건축적으로는 어떤 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를 찾아보려고 있기도 하다.
정상이라고 말하기 보다는 비정상으로 가득하다고 말할 수 있는 한국 사회를 건축들은 어떤 식으로 기괴한 모습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는지를,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그 기묘함의 여러 가지들을 논의하고 있으면서 어디서부터 어떤 식으로 바꿔나갈 수 있을지를 생각하며 깊은 근심과 한숨을 내쉬고 있다.
저자는 그 급격한 속도로 인해서 세상은 생각 이상으로 멈추지 않고 앞서나가고 있으며 그런 변화가 사회적으로도 건축적으로도 어떤 가능성을 만들 수 있을지를 기대하기도 하는 것 같은데, 그 기대 속에서 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도시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우수한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그 변화가 가능할 수 있었던 밑바탕이 무엇이었는지를 찾기도 한다.
결말로 향하면서 저자는 다시금 건축이라는 것이 무엇이고 건축가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를 묻고 있고 그에 대한 대답을 내놓고 있는데, 그 대답의 과정 속에서 과연 한국의 교육은 얼마나 잘못된 방식인 것인가? 라는 생각까지 미치고 있고, 건축계 내부의 몇몇 문제점들에 대한 지적과 (여전히) 일확천금에 눈이 먼 욕망과 탐욕으로 가득한 한국 사회의 적나라한 본모습까지 지적하며 근본적인 질문과 이해 그리고 장기적인 안목이 없이 마구잡이로 즉흥적으로 계획하고 진행하는 한국 사회에 대해서 깊은 실망감을 말하며 자신이 만들어내려고 하는 건축에 대해서 문학적으로 언급하며 글을 마치고 있다.
다른 저서에 비해서는 비판의 날이 매섭고 준엄하게 꾸짖고 있으며 여러 가지로 잘못된 점들을 지적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은 의외의 내용들이 많았지만 생각해보면 참고 참다가 도저히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작심하고 글을 써낸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건축을 통해서 사회를 바라보고 무언가를 생각한다는 것은 꽤 흥미로운 방식이고 그렇기 때문에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무엇을 어떤 식으로 이해할 수 있을지 쉽게 생각이 정리되지 않기 때문에 그저 건축에 관한 여러 책들을 읽고 있지만 이런 글들을 통해서 무언가를 조금이나마 알게 된다는 것이 기분 좋기도 하고 씁쓸해지기도 하는 것 같다.
저자가 원하는 사회와 건축이 혹은 도시가 조금이라도 만들어진다면 아마도 한국 사회도 조금은 바뀌고 나아진다는 뜻이기 때문에 저자가 감탄하고 긍정하는 건축들이 조금씩이라도 만들어지고 볼 수 있게 되기를 바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