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 구더기 - 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 현대의 지성 111
카를로 진즈부르그 지음, 김정하.유제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자신의 살던 시대의 문화와 계급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미시사

 

역사에 관한 책들을 읽다가 언뜻 미시사에 대한 논의를 잠시 접했던 기억은 나지만 그다지 큰 관심이 가지는 않았었다. 기존의 역사에 대한 접근과는 다른 접근이라는 것에 흥미를 느끼기는 했지만 어떤 식으로 접근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호기심이 생기지는 않았다.

 

그때나 지금이나 제멋대로 읽기만 하고 있었고, 관심이 이리 저리 달라지고만 있었기 때문에 그런 것이 있구나 하는 수준으로만 알고 있었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좀 더 아날 학파에 대해서 알고 싶었고.

 

단순히 미시사를 얘기할 때만 논의되는 것이 아니라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고 있는 치즈와 구더기는 카를로 긴즈부르그의 대표작이며 집요한 탐구와 다양하고 해박한 지식을 통해서 메노키오라는 한 방앗간 주인의 삶을 통해서 16세기의 이탈리아와 그 시대를, 단순히 한 개인이 아닌 그 시대의 전체적인 모습과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모습과 그 내면까지를 흥미롭고 설득력 있게 파악해내고 있다.

 

저자는 대담과 서문을 통해서 어떤 문제의식과 접근을 하려고 하는지를, 무엇을 알려고 하고 있고 어떤 식으로 알려고 하고 있는지를 자세하게 말해주며 지금까지의 역사를 다뤄내는 방식과 견해들과는 조금은 다른 생각을 말하려고 하고 있고, 어째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를 그리고 어떻게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게 되었는지를 메노키오의 사례를 통해서 자세하게 밝혀내려고 하고 있다.

 

전형적인 농부라고 말할 수 없는 메노키오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의 돌출된 모습을 통해서 그 시대와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을 더 확연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한 저자는 그 시대의 풍경과 시대의 내면을 파악하려고 하고 있고, 신선하지만 무척 의미 있으며 그리고 무척 해내기 어려운 연구를 훌륭하게 해내고 있다.

 

한 개인을 역사적으로 결정된 환경과 사회에 연결시키는 다양한 통로들을 성공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메노키오의 삶을 통해서 시대를 이해하고 파악하며 그 시대가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그리고 지배계급-집단의 삶만이 아닌 (종속된 존재-계급인) 민중들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찾아내려고 하고 있으며 생각지도 못한 것들을 통해서 (그 실마리들을 통해서) 전체적인 윤곽을 알아내려고 하고 있다.

 

실마리

상상력

 

저자는 역사의 작은 실마리를 통해 그 관계의 망을 넓혀 보다 다층적이고 포괄적인 역사적 진실에 도달하려고 하고 있다.

 

한 개인을 통해서 이런 식으로 온갖 것들을 알아내고 검토하며 무언가를 결론짓는 것에 감탄하게 되기도 하고 신기함을 느끼게 되기도 했는데, 저자가 특별한 수준의 뛰어난 연구자이기도 하겠지만 그런 자신의 생각을 입증해낼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 있는 이탈리아 역사가들의 많은 연구 성과들 또한 놀라게 되기도 했다.

 

벽화를 보게 되는 것 같은 거대한 이론이나 논의들과는 많이 다른 접근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부분적이고 조각나진 실마리들로 추측해내고 유추해내는 저자의 빼어난 솜씨에 흥미롭게 읽혀지게 되고 독특한 성격이고 존재였던 메노키오라는 인물로 인해서 좀 더 매력과 관심을 갖게 되기도 했다.

 

역사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치즈...’는 역사와 시대 그리고 문화, 집단과 개인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해가며 읽어낼 수 있으면서도 재미와 다양한 지식들을 접할 수 있기에 생각날 때마다 자주 뒤적거리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