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훌륭한 사상을 갖기가 어렵다고 하는 까닭은 그 사상 자체가 무슨 난해한 내용이나 복잡한 체계를 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사상이란 그것의 내용이 우리의 생활 속에서 실천됨으로써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라는 사실 때문입니다.

 

 

이미 예전에 읽어봤기 때문에 다시 읽게 되리라는 생각은 하지는 않고 있었다.

 

누구나 삶을 마감하기는 마련이지만 대학생 시절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으면서 신영복 교수님 또한 그걸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며 읽지는 않았었고, 그저 교수님께서 어떤 감옥 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그 생활-삶을 통해서 생각의 폭과 깊이가 어떻게 커져나갔는지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었을 뿐이었다.

 

20년 동안의 감옥 생활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나라는 사람은 그것을 과연 흔들림 없이 견딜 수 있었을까? 라는 의문만이 가득했었다.

 

아마도 쉽게 견뎌낼 수 없는 세월이었을 것 같다.

 

신영복 교수가 길고 긴 세월동안 감옥 생활을 하면서 가족들과 나눴던 편지를 정리한 감옥...’은 단순하게는 가족들과의 안부와 건강 그리고 일상에 대한 여러 대화들이 묶여져 있는 내용에 불과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실제로 읽어본다면 그런 내용들이 대부분이면서도 어쩐지 그런 글들 속에서 어떤 식으로 우리들이 지나치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들을 소중하게 보듬고 있는지를 잘 느낄 수 있게 되기도 한다.

 

어떻게 본다면 훈장 선생님의 말씀과도 같은 느낌이 들게 되고, 너무 원론적이라는 생각도 들고 쫓겨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각박함으로 가득한 사람들에게 너무 느긋함을 요구하는 것은 아닐까? 지나친 여유가 느껴지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게 될 때가 있기는 하지만 반대로 도대체 그분에게서 나는 무엇을 바라는 것인가? 라는 힐난을 스스로에게 하게 되기도 한다.

 

언제 끝이 날지가 예정 없는 감옥 생활을 하면서 가족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조심스럽게 하나씩 꺼내놓고 있는 감옥...’은 어떤 상황인지 그리고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지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지는 않지만 대략적으로 이해하고 약간의 추측을 더해보면서 저자가 그곳에서 겪는 일상 속에서 어떤 식으로 자신이 그동안 갖고 있었던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깨우침을 얻는지를 무척 감동적으로 그러면서도 때때로 익살과 재미를 안겨주고 있다.

 

감옥에서 수많은 사람들을(결국에는 범죄자들만이 수두룩했겠지만) 만나면서 사람들의 삶과 자신이 그동안 갖고 있던 생각을 하나로 겹쳐놓으면서(일종의 변증법 적인 새로운 깨달음을 찾으면서) 이전의 관념적이기만 했던 자신만의 생각의 틀을 많이 바꿔나가게 되는 것에 대해서 무척 자주 언급하고 있으며,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반성하게 되고 스스로를 돌아보기도 하는 모습을 통해서 어떻게 저런 깊은 생각을 하게 될 수 있을까? 라는 물음과 함께 그 생각을 조금이라도 엿보면서 나 또한 조금이라도 본받을 수 있기를 생각해보게 된다.

 

오랜만에 읽게 되니 대학생 시절을 생각해보게 되기도 하고, 대학생 시절 교수님의 수업을 떠올려보게 되기도 했다.

 

그리고 이전에는 무관심하게 읽었던 내용들이 새롭게 읽혀지기도 하고 전혀 다른 감동을 느끼게 되기도 했다.

 

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서 찾으려는 생각을

삶과 사람들 그리고 관계에서 무언가를 찾으려는 생각을 조금이라도 본받고 싶다.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하며 무관심하게 지나치는 것들에 대해서도 좀 더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싶고, 거칠고 날이 서 있기 보다는 공손하고 부드러움을 늘려나가고 싶다.

 

마음만 앞설 뿐이지만 그랬으면 좋겠다.

 

배우고 싶은 것들이 글에서 많이 찾아지게 된다.

하지만 글에서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활에서 그리고 사람들과 삶에서 찾으려는 생각을 잊지 말아야 할 것 같다.

 

나 또한 내 삶에서 무언가를 누군가를 그리고 어떤 것들을 알가고 느끼게 될 것이다. 그것들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 같다.

 

과연 그렇게 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노력이라도 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