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의 역사 1 : 지식의 의지 - 제3판 ㅣ 나남신서 410
미셸 푸코 지음, 이규현 옮김 / 나남출판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좀 더 쉬운 책을 찾으려고 했다가 엉겁결에 눈에 들어와 읽게 된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는 이미 (고작) 한번 읽어 보기는 했지만 한번 읽었다고 이해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리고 최근 들어서 푸코의 책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기 때문에 손에 쥐게 되었지만 역시나 쉽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은 아니었다.
그나마 ‘성의 역사’는 분량도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이고 내용도 이전의 저작들에 비해서는 좀 더 명료하고 간결하게 논의를 진행하기 때문에 읽는 것이 괴로운 느낌까지 들게 될 정도는 아니었다.
워낙 널리 알려진 저작이고 그렇기 때문에 어떤 논의를 다뤘는지 그리고 얼마나 그 논의가 당황스럽게 만들고 생각지도 못한 방식으로 그동안의 일반적인 접근-선입견을 뒤집고 전혀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보게 만드는지에 관해서 알고 있으리라 생각하기에 (‘성의 역사’에서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는 쉽게 여러 방식으로 알아볼 수 있다) 푸코의 논의를 자세하게 정리하기 보다는 우리가 알고 있던 생각들을 어떻게 달리 생각하도록 만드는지를, 성을 통해서 어떤 식으로 근대 권력은 새로운 방식으로 (이전과는 다른 근대) 주체들을 생산하게 되는지를 흥미롭게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여러 방식으로 푸코의 논의들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고, 그의 논의들을 어떤 식으로 생각해볼 수 있을지도 고민하게 되기도 한다.
뒤로 갈수록 조금은 어려워지고 무슨 논의를 하는 것인지 간간히 길을 잃게 만들기도 하지만 워낙 논의 자체나 접근 방식 그리고 설명하는 방식이 인상적이라 길을 잃더라도 그 길을 잃음에 상관없이 논의를 따라가게 만들고 그가 말하려는 것들을 알려주려는 것들을 되도록 이해하도록 노력하게 만든다.
성을 통해서 근대 권력을 어떤 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무척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푸코가 생각하고 있는 권력이라는 것이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지 좀 더 알기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여러모로 푸코에 대해서 알려고 할 때에는 가장 먼저 읽어보라고 추천하게 되는 책이기도 했는데, 여전히 읽다가도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헷갈리면서도 그가 들려주는 내용에 빠져들게 되는 것 같다.
읽는 재미만이 아니라 푸코의 논의에 대해서도 좀 더 깊이 생각해보며 읽어야 하겠지만 그런 능력까지 되지는 않기 때문인지 그저 그의 논의들을 되도록 잘 이해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다시금 읽어보게 된 것 같다.
한동안은 푸코의 책들을 간간히 읽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