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반언어학 강의 ㅣ 현대사상의 모험 18
페르디낭 드 소쉬르 지음, 최승언 옮김 / 민음사 / 2006년 12월
평점 :
페르디낭 드 소쉬르
소쉬르
인문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소쉬르에 대해서 지나칠 수 없었을 것이고(과연 무슨 수로 소쉬르를 제외시킬 수 있을까?), 그가 쌓아올린 / 개척한 새로운 지평은 우리들의 인식에 있어서, 앎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들에서 그가 생각한 수많은 논의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소쉬르가 의도했던 것은 아니었겠지만), 그리고 소쉬르의 논의를 확장시키고 가다듬어 더욱 정교하게 만들어내면서 언어학에 관해서 그리고 언어학을 통해서 우리들의 이해는 좀 더 폭이 넓어지고 깊어질 수 있게 되었다.
소쉬르의 강의내용을 정리한 ‘일반언어학 강의’는 단순히 강의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이후의 다양한 영향력을 생각한다면 어째서 제대로 글로 정리하지 않았을까? 라는 아쉬움이 가득하게 만드는 내용이라고 들었는데, 그런 말들만 많이 들었을 뿐 실제로는 읽지를 못하고 있었고(워낙 명성이 드높은 책이기 때문에 쉽게 펼쳐지지 않았고), 막상 읽어보니 역시나 읽어내기가 쉽지 않은 내용이었다.
도대체 뭘 읽은 것인지... 기억도 잘 나질 않는다.
역시나 아는 것이 부족하면 읽어내는 것도 어렵고 읽은 다음에도 남겨지는 것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언어에 대한 강의이기 때문에
언어학에 관한 이론적 접근이기 때문에
딱히 읽으면서 뭔가 아는 것이 생기거나 늘어나는 느낌보다는 무슨 소리를 하는 것인지 아리송하게만 느껴지기만 했을 뿐이었다.
기표
기의
기호
이런 너무 자주 접해서 조금은 익숙해진 내용과 관련해서는 상세하게 다뤄내고 있는 논의 때문에 흥미를 느끼게 되는 경우가 간혹 있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내용들은 아는 것이 적어 그저 읽어내기만 했을 뿐이고 쉽게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컸었다.
그래도 뭔가 읽었다는 것에 만족감을 느끼게 되기도 하고, 그동안 많이 언급하는 내용들을 직접 접했다는 점 때문에 부족함을 느끼면서도 읽은 것만으로도 충분했다는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한다.
아는 것도 별로 없으면서 욕심이 지나치기만 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무언가를 알아가고 싶다는 생각은 여전한 것 같다. 그 생각에 미치지 못하는 이해력이 아쉽기만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