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노사회 - 현대사회의 감정에 관한 철학에세이
정지우 지음 / 이경 / 2014년 4월
평점 :
우연한 기회로 출판사를 통해서 얻게 된 ‘분노사회’는 짧은 분량을 통해서 현대 사회를 분노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고, 단순히 분노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자신을 정립해야만 하는지를 함께 고민하고 있기도 한, 이를테면 현대인들이 막연하게 느끼는 분노와 증오 혹은 질투와 시기와 같은 감정들에 대한 분석과 함께 그런 감정에 휩싸이게 만드는 현대 사회구조와 모순, 문제점들에 대해서 그리고 그런 현실적 조건 속에서 어떤 존재가 되어야만 할 것인지 혹은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만들어낼 것이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삶을 꾸려나가야 할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다.
짧은 내용이기 때문에 분석의 틀은 집요하게 파고들기 보다는 대략적이거나 간략하게 논의를 하고 있는 편이지만 세련되고 상세한 방식의 논의는 아닐지라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읽어나갈 수 있을 것 같고, 되도록 한국사회의 문제점을 토대로 저자의 논의가 이끌어지고 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시대적 상황에 무척 알맞은 책읽기가 될 것 같다.
최근 수많은 사람들이, 분노하지 않고 고분고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세상에 대해서 혹은 권력에 대해서 분노하고 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노사회’는 어째서 이런 상황까지 벌어지게 되었는지를,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이 무엇이고 그런 문제점들로 인해서 어떻게 말없이 따르던 사람들까지 분노하고 적개심을 표출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실마리를 찾고 있기 때문에 흥미로운 내용이 되는 것 같고, 이런 세상에 어떤 식으로 접근하고 대응해야 할지에 관해서는 개인의 변화와 구조의 변화를 이끌어낼 동력을 종합적으로 찾아내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 그런 접근방식에 대해서 의문을 느끼게 되기도 하지만 충분히 의미 있는 논의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저자는 우선 분노라는 감정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나타나게 되는지를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하고 있고, 이를 통해서 개인과 수많은 개인들이 모여진 사회와의 긴장관계를 살펴보려고 하고 있다.
분노라고 말하는 얼핏 생각하면 단순한 감정을 조금은 분석적으로 접근을 하면서 분노의 여러 모습들을 살펴보고 있고, 현실에서 마주치는 여러 분노의 원인들을 거론하며 비슷한 감정이면서도 좀 더 파괴적이고 파멸적인 증오와 시기 등을 함께 다루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어떤 해답을 고민하고 있다.
저자는 분노하게 만드는 현실이라는 원인을 좀 더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하고 있는데, 근대사회 혹은 자본주의 사회라는 조금은 보편적인 세계관을 분석하기 보다는 현대 한국사회라는 특정한 시기의 특정한 지역을 통해서 어째서 지금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한국인들이) 현실을 못마땅하게 받아들이고 분노하고 좌절하며 괴로움에 빠지는지를 알아보고 있다.
한국사회의 문제점과 병폐에 관해서 여러 원인들을 내놓고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새로운 해석이나 원인을 제시하고 있기 보다는 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점이 지적되었음에도 제대로 된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제거하기 보다는 더욱 악화되고 고착화 되도록 만드는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를 그리고 완고함과 견고함을 강조하고 있다.
무책임
집단주의
결탁
야합
단합
부패
위계
기득권
복종 등등
이런 익숙하면서도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들을 거론하면서도 그런 문제점들을 쉽사리 해결해내지 못하는 원인 중 뚜렷한 지향점 없이 분출되는 분노도 포함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진단도 내놓고 있고, 모든 모순점이 결국 나라는 존재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깨달음이 필요하다는 조금은 철학적인 결론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또한 개인들이 집단에 의해서 내몰려지고 집단의 힘에 의해 질식되기 때문에 다시금 집단의 힘에 기대게 되면서(혹은 포섭되거나 구조에 끼워 맞춰지면서) 또다른 문제점들을 만들어내고 있기도 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고, 그와 관련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례들을 최근의 나타나고 있는 여러 문제들과 관련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이런 총체적인 혼란 속에서 어떤 중심도 없을 뿐이고, 사회를 이해하고 느낄 수 없는 그리고 안정을 찾을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어떤 식으로 문제를 해결해내야 할지를 저자는 모색하고 있다. 저자는 결국 나라는 존재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서 그 해답을 찾으려고 하고 있다.
소외되고 왜곡된, 오히려 이상한 방식으로 뒤틀려 분노를 표출하고 증오를 남발하고 있을 뿐이었던 개인들은 대부분 스스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그런 행동을 보였던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 그리고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을 통해서 그리고 삶에 대한 지향을 통해서 자신과 외부의 조화를 모색할 수 있다는 생각을 말하고 있는데(그리고 그 외부와의 조화는 자연스럽게 사회의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타당한 의견이기도 하겠지만 개인과 사회의 갈등을(혹은 그 긴밀한 긴장관계를) 조금은 더 상세하고 설득력 있게 알려줘야만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래야만 개인과 구조의 긴밀함을 구조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악의적으로 왜곡하거나 바꿔치지 않을 것 같기에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짧은 분량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으나 생각보다는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았고, 앞서 언급했듯 지금 현재의 한국사회와 긴밀한 관련을 보여주는 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최근의 상황으로 인해서 곱지 않은 시선으로 한국사회를 바라보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읽어봐도 괜찮은 내용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