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쳐야 미친다 -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정민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요즘은 워낙 순식간에 수많은 것들이 변해버리는 세상이라서 그런지 무언가에 미치고 싶어도 시간에 쫓기기만 한, 촉박하게만 느껴질 뿐이고 잘게 잘려진 종잇조각처럼 시간은 한없이 부족한 기분이 들고 초조함에 시달릴 뿐인 시대인 것 같다. 그러니 이런 세상에서 무언가에 집착하고 집요하고 파고드는... 누구도 넘보지 못할 수준의 미치광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빠져들기에는 본인이 원한다고 해도, 애써본다고 해도 쉽지는 않은 일이 된 것 같다.
아니, 혹시 그 반대이진 않을까? 돈과 관련된 것이라면, 혹은 돈으로 환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세상 사람들 누구나 미쳐있고 그 누구보다도 높은 경지에 올라서려고 애쓰는 것은 아닐까? 그렇게 따져본다면 지금 시대에서 무언가에 미쳐있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어떤 것에 몰두하고 있는 사람은 아마도 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삶을 살아가면서 그다지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것에 매달려 있는 사람을 말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제정신이 아니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무언가에 대해서 파고들지 않고서는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영역으로, 그곳에 겨우겨우 닿을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수준으로 올라선 이들의 통찰력과 정곡을 꿰뚫는 이들의 날카로운 시선을 접할 때면 그까짓 돈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넘어서 그렇게 열중하고 한없는 애정과 관심을 갖고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 삶을 살아가면서 나름대로 필요한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될 때가 있다.
그리고 그런 열중이 어떤 통찰력을 혹은 날카로운 시선을 갖도록 만드는 것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떤 것에 통달한 사람은 다른 것에도 쉽게 이해하기 마련이니까.
조금은 선정적인 제목인... 하지만 내용을 읽었다면 앞의 미쳐야와 뒤의 미친다의 단어가 비슷하면서도-닮았으면서도 닮지 않고 같은 뜻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 ‘미쳐야 미친다’는 조선 시대를 살아간, 옛 시대를 살아간 이들의 내면과 삶의 태도 그리고 그들이 살아갔던 시대의 풍경을 살펴보고 있다.
저자는 깊은 애정 속에서 조선 시대의 선비들의 삶을 바라보고 있고, 그들의 다양한 관심과 지적 탁월함 그리고 뛰어난 글재주와 함께 우정과 낭만, 가족에 대한 애정과 같은 따뜻한 정서들을 다루기도 하면서도 주류에서 벗어난(그들이 원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울분과 슬픔 혹은 좌절과 낭패 혹은 절망감 또한 다뤄내고 있다.
3개의 장으로 나눠져 있고, 각 장마다 여러 자그마한 이야기들로 채워진 ‘미쳐야 미친다’는 앞서 언급했듯이 조선시대를 살아간 지식인들의 삶을 엿보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조선시대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서 혹은 옛 고전들과 옛 시절의 삶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기 때문에 무척 흥미롭게 읽게 되었다.
옛 시절을 그리워하기 때문에 관심을 갖게 되기보다는 그 시절을 살아간 탁월한 글쟁이들의 혹은 지식인들의 빼어난 글들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고, 때로는 감탄하고 때로는 매혹되어 지금 시대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글-문장의 아름다움에 빠져들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어떻게 본다면 무척 해괴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이상한 것들에 집착하고 열중하는... 자신의 목숨조차 내놓을 정도로 무언가에 파고드는 선비들에 대한 이야기인 1장 벽에 들린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인상적이진 않은 그런 저런 내용들이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읽는 재미가 적기는 했지만 옛 시절의 글들이 만들어내는 매력에 흠뻑 빠져들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런 저런 아쉬움이 있음에도 그저 즐겁게 글들을 즐기게 되었던 것 같다.
우정과 특별한 만남과 같은 주제들에서는 아주 크게 관심을 갖게 만드는 내용이 없어서 조금은 느슨해지는 읽기가 되었지만 깨달음에 대해서 그리고 문장의 구조와 이어짐 그리고 어떠한 것에 대해서 읽어내는 것에 대해서는(단순히 책을 읽는 것이 아닌 사물과 관계 및 기타 다양한 해석과 분석 그리고 이해에 대해서) 곱씹어 생각할만한 내용들을 담아낸 3장은 나른한 기분으로 읽게 만들면서도 순간순간 정신이 번쩍 들게 만드는 번뜩이는 통찰력을 느끼기도 했다.
바로 그런 점들 때문에 옛 글들을 찾게 되고 꾸준히 읽어나가게 되는 것 같다.
지금 시대의 글쟁이들은 어떤 식으로도 만들어낼 수 없는 글과 문장의 아름다움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리고 그런 소중한 글들과 이야기들을 단정하면서도 한없이 그리움을 간직하며 써낸 저자의 복잡한 심경이 담긴 글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게 되기도 했다. 그리고 저자의 글에서 느껴지는 정서가 미쳐야 미쳤던 이들의 삶이 다른 시대이고 다른 관점과 태도들이었기 때문에 조금은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지금의 천박함으로만 똘똘 뭉쳐진 시대를 도무지 받아들이지 못하는 느낌이 들어(그래서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과연 나는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지금 세상을, 이 시대를 생각하고 있을지 생각해보게 되기도 했다.
참고 : 조선 지식인들의 내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조선 지식인이 아닌 저잣거리의 평민-민중들의 삶에 대해서는 조금은 무심하게 느껴져 아쉬웠었다. 그들의 삶은 어땠을까? 어쩌면 지식인들의 삶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을지는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