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ㅣ 동서 미스터리 북스 3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김용성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추리소설 역사상 가장 탁월한 작품 중 하나로 항상 꼽히는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는 어째서 그런 평가가 따르고 있는지 작품을 읽어나갈 때는 그다지 느낄 수 없었는데, 작품이 마무리 되는 과정을 통해서 그런 평가를 받는 이유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물론, 그렇다고 그런 평가에 전적으로 동의를 하고 싶지는 않다.
개인적인 취향 때문인지 어쩐지 무덤덤한 기분으로 마지막까지 읽어나갔으니까.
다만, 군더더기 없고 부족함 없는 결말이라는 점에서는 다른 의견을 내놓을 생각도 없다.
각기 다른 이유에서 외딴섬에 모인 10명의 사람들이 하나씩 죽어가면서 생겨나는 두려움과 공포에 관한 작품인 ‘그리고...’ 는 각각의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개성과 여러 사연들 그리고 서서히 조여들어오는 긴장감과 두려움을 인상적으로 담아내고 있으며, 작품이 결론으로 향해가면서 만들어내는 암울함과 극한의 두려움으로 인해 모든 것을 의심하고 서로를 범인으로 오해하는 과정은 감탄하게 만드는 솜씨였다.
게다가 의문으로만 가득한 끝맺음에 이어지는 숨겨진 진실을 알려주는 내용에서 만들어내는 섬세한 완결은 탁월하다는 표현만으로는 부족할 것 같다. 지금이라면 범인의 계획과 실행이 사이코패스의 모습이라는 말을 쉽게 꺼낼 것 같기는 하지만(이제 그런 등장인물들은 어쩐지 지겹겨 느껴질 정도다) 생각해보면 최초에는 그런 존재가 아니었지만 점차 죽음과 살인에 대한 충동을 이기지 못하고 살인마가 되어가는 과정을 좀 더 극적으로 담아내거나 상세하게 논의를 했어도 꽤 괜찮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게 된다.
하지만 반대로 간결하고 간략하게 그런 내용을 설명함으로써, 좀 더 공포와 두려움을 만들어내고 전체적인 구성에 알맞지 않았나? 는 생각도 하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범인을 맞추기 위해서 골몰하며 읽지는 않기 때문에 생각지도 못한 인물이 범인이었고, 나름 정갈하게 모든 것을 설명해주고 있어서 이처럼 만족스러운 끝맺음도 몇 없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신선하다 못해서 충격적이라는 느낌이 들게 되는 결론이고 범인이었을 것 같다.
군더더기 없는 진행과 점차 조여드는 긴장감 그리고 강렬한 마무리와 깔끔한 마무리까지 아름답게 구성되어 있다.
하나, 둘 내 구두 버클을 채우고
셜록 홈즈
브라운 신부
그리고 에르큘 포아로
추리소설을 대표하는 3대 명탐정으로 꼽히는 포아로는 애거서 크리스티에 의해서 만들어진 대표적인 등장인물-주인공이고, 그가 등장하는 많은 작품들 중에서 ‘하나, 둘...’은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추리소설을 읽는 것인지 영국의 도시와 농촌의 풍경을 산책하려고 하는 의도에서 완성된 것인지 쉽게 판단되지 않는 느낌의 내용이었다.
애거서 크리스티는 (딱히 읽은 것도 없지만) 약간은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분위기 속에서 사건을 만들어 조금은 나른한 분위기 속에서 이야기가 진행되도록 만들고 있는데, 그렇기 때문인지 사건의 진행은 어쩐지 더디게만 느껴지고 진실이 밝혀지는 과정에서도 딱히 만족스러움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 같다.
이런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그리고 애거서 크리스티의 이야기에 열광하는 사람들이라면 이런 평가에 너무 야박하고 적절하지 못한 평가라고 말하겠지만 별 수 없이 개인적인 취향이 그렇기 때문인지라 영 마땅치 않게 느껴지는 것 같다.
흥미를 느끼기 못했기 때문에 건성으로 읽기도 했고, 조금은 지루한 기분이라 전체적인 이야기의 모양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지 않았는데, 느슨한 진행의 이어짐 이후 갑작스러운 사건과 조금씩 확인되고 의심되던 부분들이 한꺼번에 정리되는 구성은 전형적인 추리소설의 구성이면서도 에르큘 포아로의 성격과 특징들을 잘 보여주고 있기도 해서 포아로의 팬이고 애거서 크리스티의 팬들이라면 나쁘지 않은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간간히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등장인물들을 통해서(그리고 그들의 대사-대화를 통해서) 점차 발전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이면의 갈등들과 그런 갈등에 대한 극단적-급진적 해결을 모색하는 인물들과 그것을 용인하지 않는 인물을 통해서 당시의 시대의 모습과 풍경을 찾아보게 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는 나쁘지 않은 작품이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느릿하고 느슨한 느낌이라 크게 관심을 갖고 읽게 되지는 못한 것 같다.
애거서 크리스티가 추리소설에 낭만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얼마나 염두에 두면서 써냈는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그런 의도에서 완성된 작품이라면 그 결과물은 충분히 의도한 결과물인 것 같다.
단지 내가 좋아하지 않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