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진 살아있는 미국역사 - 신대륙 발견부터 부시 정권까지, 그 진실한 기록
하워드 진.레베카 스테포프 지음, 김영진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워드 진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알아보게 된다면 그가 얼마나 존중받을만한 사람인지, 존경받을 수 있는 학자이며 운동가인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작 오만한 제국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정도만을 읽었음에도 하워드 진이야 말고 진정한 시대의 양심으로 불릴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에 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을 받는다면 그저 한없이 존경하는 분이고 조금이라도 그 위대함을 따르고 싶다고 말하게 된다.

 

우연찮게 구하게 된 하워드 진 살아있는 미국역사도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도 알지 못했지만 하워드 진의 글이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값어치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읽게 되었고 책의 내용이 그의 대표작이자 여전히 미국에 대해 알려고 할 때 빼먹지 말고 읽어야할 미국민중사의 내용을 좀 더 간략하게 정리하고 최근의 상황(9.11 테러 이후와 이라크 전쟁)에 대한 덧붙임이 있다는 점 때문에 미국민중사를 읽지 못한 사람들이나 미국의 역사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흥미롭게 읽혀질 것 같다.

 

조금은 두터운 부피의 미국민중사에 대한 부담감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요약본과 같은 의미의 ‘... 살아있는 미국역사는 그동안 우리가 잘 알고 있지 못하던, 다뤄지지 않고 지워져 있었으며 잊어졌던 미국 민중들의 분노와 저항 그리고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을 담아내고 있다.

 

말 그대로 미국의 역사를 거꾸로 뒤집고 있고, 아래로부터 바라보려고 하고 있다.

 

이를테면 콜럼버스의 발견에 대해서 상세하게 다루는 것이 아닌 콜럼버스가 보여주었던 잔혹하고 욕심에 눈이 먼 행동들, 덮어버리고 싶은 모습들을 폭로하고 우리들에게 그 거짓된 모습에 대한 진실을 알려주려고 하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하워드 진은 미국의 노예제에 대한 비판과 다양한 분리정책(흑인, 노동자, 여성, 인디언, 소수자 등등), 노동계급과 하층계급에 대한 폭압, 지배계급-상류층의 자신들만을 위한(자신들만의 이해관계 속에서의) 제도와 정책에 대해서 말하려 하고 있다.

 

그리고 항상 생겨나는 그에 대한 저항과 분노를 알려주고 있다.

 

위에서의 지배와 그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저항과 분노로 인한 변화가 하워드 진의 기본적인 시각이고 그의 시각은 미국의 지배층-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짙게 깔려 있어서 그의 시선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지도 모르고, 그의 민중들에 대한 올곧은 믿음에 대해서도 부분적으로는 과대평가인 것 같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단지 그런 방식으로 그의 시선과 신념을 바라보고 싶진 않다.

 

지나치게 단순하게 사회의 움직임과 변화 그리고 모든 역학 관계를 설명하는 느낌도 들지만 그걸로 그의 변화에 대한 믿음과 이상을 폄하하고 싶지도 않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하워드 진은 어떤 결정과 선택의 순간에서 배제된 사람들에 대해서 얘기를 하려고 하고 있고, 무언가에 대해서 항상 경고하고 있고, 문제점을 지적하려고 하고 있다는 것이고 그가 말하고 있는 내용들은 논쟁의 여지가 있거나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말할 수는 있을지라도 틀렸다고 말할 수 있지 않다는 것이다.

 

지배세력들이 자신들만을 위해서 그리고 체제유지만을 위한 선택을 보여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고 그렇기 때문에 항상 최소한의 변화만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런 방식으로 하워드 진은 미국의 독립을 바라보려고 하고 있고, 인디언에 대한 정책과, 투표권, 여성들의 참정권을 이해하고 있고, 그 수동성에 대한 비판과 우리들에게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할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미국의 지배에 대한 욕망과 팽창에 대한 욕망의 역사를, 내부적으로는 서부개척과 외부적으로는 대외정책에 대해서 어떤 기본적인 입장 속에서 이뤄졌는지를 다루고 있고, 흑인들의 차별과 노동자에 대한 탄압과 그에 대한 저항 그리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으며 어떤 혼란이 있었으며 변화가 있었는지를 짧은 방식으로 살펴보고 있다.

 

베트남 전쟁을 전후로 일어난 극심한 갈등과 추악한 이면에 대해서 다루기도 하고, 거세진 여성, 인디언 등의 소수자들의 목소리에 대해서도 바라보기를 잊지 않고 있다.

 

자본주의와 국가주의라는 미국의 가장 핵심이 되는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지적하고 있고, 지배세력이 어떻게 그들에게 향해지고 있는 민중들의 불신의 시선을 다른 관심으로 돌리려고 하는지를 수없이 왜곡하려고 하는지를 폭로하려고 하고 있다.

 

무척 긴 역사의 흐름() 중 최대한 중요한 순간들을 다뤄내려고 하고 있지만 역시나 거대한 흐름을 담기에는 어려움이 컸다는 느낌이 들지만 이정도면 그 흐름을 알아가는 첫 시작으로 나쁘진 않을 것 같다.

 

하워드 진은 글을 마치며 결국 어떤 식으로든 민중들은 올바름을 찾을 것이고 그 믿음과 신념 속에서 잠시 잊고 있던 혹은 기억하지 못하고 바라보지 못했던 것들을 알아가기를 멈추지 않도록 우리들을 응원하고 있다.

 

짧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듬성듬성하게 다뤄지는 느낌도 들기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 핵심들만을 전달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어두운 그늘에 대해서, 감춰진 민중들의 저항()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흥미를 갖고 읽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