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 4 : 생기론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 4
장용순 지음 / 미메시스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01 위상학 : http://blog.naver.com/ghost0221/60162373358

02 은유와 생성 : http://blog.naver.com/ghost0221/60162881499

03 용해와 내재성 : http://blog.naver.com/ghost0221/60162881558

 

 

 

현대 건축과 현대 철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들 또는 각각의 분야나 영역들이 어떤 (개별적인 독립성을 인정하면서도) 유사성을 갖고 있고 상대방을 좀 더 설득력 있게 설명해줄 수 있는지를(혹는 보완시켜주고 있는지를), 어떤 (내용과 논의의) 변화들을 보였고 그 변화들과 차이들의 진행이 어땠는지를 (개별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면서도) 종합적으로 탐구하()(하고)있는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은 지금까지의 기나긴 모험의 마지막을 알리는 4권에서는 질 들뢰즈의 생기론을 중심으로 생기론이 무슨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그 논의가 어떤 흐름 속에서 생겨난 논의인지를 상세하게 살펴보고 있다.

 

개인적으로 들뢰즈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것이 부족하(기만 하), 그의 논의의 핵심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는 생기론에 대해서도 특별히 아는 것이 없기 때문에 저자의 논의를 음미하며 읽어내기 보다는 겉핥기로 읽어냈을 뿐이라 충분히 이해하며 읽어냈다고 말하기는 부끄럽기만 하다.

 

그나마 다행스럽게 저자는 쉽게 이해하기가 까다로운 생기론에 대한 논의였는지 생기론의 철학적 계보를 별도로 설명해주고 있어서 아주 읽어내기가 어렵지는 않았었다.

 

이후 저자는 생물학과 진화론, 그리고 현대 건축에서 생기론 적 사유와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는 건축물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검토하고 있는데, 저자의 구분(과거의 건축과 현대의 건축, 전기 구조주의와 후기 구조주의)에 따라 각각의 영역들이 어떤 변화들을 보여주었고, 그 변화들을 통해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점과 유사성을 통해서 앞으로 우리들이 어떤 새로운 인식 지평에서 생각을 이어가야만 하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무척 간단하게 말한다면 기존의 단순한 세계관이 아닌 좀 더 복잡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세계관으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과 그런 변화의 과정과 그 변화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들로 채워진 내용이었는데, 마지막 결론에서 상호간의 영역이 어떻게 주고받을 수 있을지를, 새로운 가능성을 어째서 끊임없이 모색해야만 하는지를, 무언가에 대해서 끝없이 질문을 하는 것에 대해서 등 읽는 이에게 왜 그래야만 하는가? 에 대한 질문들과 함께 저자 나름대로의 결론을 제시하며 또다른 질문을 제시해야만 하고 지금이 아닌 다음을 생각해 보도록 요청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더 넓게 본다면 일종의 시대정신이라고 말할 수 있는 지금 현재의 우리들의 생각의 틀이 어떤 모양으로 이뤄져 있고, 그 틀이 각각의 영역에서 나름대로의 독자성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멀찍이서 본다면 유사함 또한 찾아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지금 시대의 생각의 영역이 어떤 모양을 갖고 있는지, 그 밀접함과 차이 속에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생각해보게 되기도 했다.

 

얼마나 많은 것들을 알아야만 하고,

얼마나 많은 것들을 이해해야만 하는지...

도저히 따라갈 수 없고 채워낼 수 없다는 좌절감만을 느끼게 되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궁금증을 풀어가며 앎을 넓혀가고 싶다.

 

딱히 어울리지 않는 결론인 것 같지만...

이것 나름대로 근사하게 어울릴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