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코맥 매카시 지음, 임재서 옮김 / 사피엔스21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코맥 매카시의 작품은 로드를 통해서 처음 접했었고, 이번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가 두 번째인데, ‘로드와 마찬가지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도 건조함과 함께 무기력함과 피곤함이 느껴지는 글로 구성되어 있다.

 

이야기 자체의 매력과 힘과는 상관없이 어쩔 수 없음에 대해서 말하려고 하고 있는 것 같고,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기도 한 것 같다.

 

운명의 가혹함과 함께

운명을 벗어날 수 없음에 대해서 알려주려는 것 같고

한편으로는 지금 현재를 못마땅한 시선으로 바라보려고도 하는 것 같다.

 

못마땅함

그리고 이해할 수 없음의 원인으로 작품 속에서는 돈과 마약이 대표되고 있고,

그것들에 더해서 안톤 시거를 통해 지난 과거와는 확연하게 다른... 어떤 방식으로도 설명하기가 난감한 존재를 등장시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지금 현재의 공포를 더욱 강조하고 있는데, 안톤 시거에 대한 묘사가 초자연적인 / 종교적인 영역으로까지 나아가는 것 같기는 하지만 그런 이해할 수 없음과 악에 대한 경악으로 가득한 시선은 앞서 말한 무겁기만 하고 짙은 근심으로 가득한 시선과 합쳐져서 더욱 암담하고 벗어날 수 없는 악순환의 굴레를 강조하게 되는 것 같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정서 속에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작품에 대한 홍보 문구처럼 지옥의 레이스를 벌이고 있는데, 계속해서 도망치는 모스와 그를 뒤쫓는 안톤 시거 그리고 그런 둘 모두를 찾으려고 하면서 근심과 관조의 시선으로 이 시궁창 싸움에 빠져드는 보안관 벨을 통해서 코맥 매카시가 과연 어떤 세상을 담아내려고 의도했는지는 몰라도 최소한 지금 현재의 세상은 그가 바라는 세상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려고 하고 있다는 생각이 크게 틀리진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끝없이 추락하는 기분으로 글을 읽게 만들고 있고,

건조하고 무뚝뚝한 등장인물들의 대사들처럼(하지만 그 간략함 속에 담겨진 통찰력과 세상에 대한 현명함과 서글픔을 느낄 수 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황량함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는데, 어떤 희망과 가능성도 만들어내지 않으면서 모든 절망 속에서 작품을 마무리 짓고 있다는 점에서는 지독할 정도로 비관적인 작품이기는 하지만 바로 그 극단적인 비관을 통해서 우리가 과연 지금 현재를 어떤 식으로 바라보아야 할지를, 어떤 것부터 이겨내고 바꿔내야 할지를 생각해보도록 만들기도 하는 것 같다.

 

작품 속 보안관 벨처럼 그게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떠나고 피하기보다는 다시 한번 더 싸워나가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영화를 통해서 처음 접했고, 그렇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영화를 생각하며 읽을 수밖에 없었는데, 다행히도 코맥 매카시의 글이 만들어내는 재미가 영화와 크게 다를 것 없으면서도 또다른 풍경과 정서를 만들어내고 있기도 해서 읽는 재미가 컸고, 재미와 함께 더 강렬하게 읽는 사람을 압도하는 어둠 속의 어둠을 바라보게 만드는 시선은 공포에 다가섬과 함께 벗어남에 대한 간절함을 느끼도록 만들고 있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니 덧붙여서 말할 것이 별로 없다.

아직 읽지 않았다면 무더운 여름에 읽기 무척 좋은 소설이라는 말로 마무리하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