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 희망도 매력도 클라이맥스도 없는 낙원, 미국 문명 기행 산책자 에쎄 시리즈 3
장 보드리야르 지음, 주은우 옮김, 유진 리처즈 그림 / 산책자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정말로 오랜만에 읽게 되는 장 보드리야르의 글이었는데, 이미 읽기 전부터 각오하고 있기는 했지만 역시나 무척 난해하고 알다가도 모를 글쓰기를 보여주는 것 같다. 누군가가 읽으리라 생각하며 글을 써내기 보다는 나중에 정리할 생각으로 즉각적으로 떠올려지는 생각들을 갈무리하지 않고 적어놓은 것들을 적당히 다듬어 낸 것 같은 글인데, 그나마 번역자의 상세한 설명이 있어서 읽은 다음 무엇을 읽었는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었다.

 

읽어내기가

여전히 어렵고,

여전히 힘겹다.

과연 언제가 돼서야 이해할 수 있을지 궁금해지지도 않을 정도로 알다가도 모를 글이다.

 

기껏해야 소비의 사회시뮬라시옹정도만을 읽었기 때문에 장 보드리야르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고, 후기작으로 분류할 수 있는 아메리카가 장 보드리야르의 지적 작업들 중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도 해설을 통해서나 알 수 있기 때문에 글을 통해서 느끼게 되는 생각들과 번역자의 해설을 통해서 이해되는 거리감 사이에서 아메리카에 대한 생각은 정리가 될 것 같다.

 

기본적으로는 기행문의 뼈대 속에서 글을 쓰고 있고, 뉴욕에서 시작해서 LA에서 끝을 맺는 공간적 이동-횡단 속에서 미국을 보고 느끼면서 떠올려지는 생각들을 전하고 있는 아메리카는 후반부에 있는 종합적인 평가를 제외한다면 이동-횡단 속에서 장 보드리야르가 접했던 것들을 통해서 미국을 얘기하고-분석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순히 미국만이 아니라 넓게 생각해서는 미국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사회를 바라보고 있기도 하고 거대해지고 비대해지는 현대 문명을 바라보고 있기도 한 것 같다.

 

하지만 장 보드리야르는 그런 시선-바라봄을 친절하게 설명해주기 보다는 / 철저하게 분석해내고 있기 보다는 마치 버스-비행기-자동차에서 이동 중에 떠올려지는 생각들을 메모지에 남기듯이 글을 써내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쉽게 이해되기 보다는 이해해야만 할 것 같은 느낌으로 글을 읽게 만들고 있다.

 

어떻게 본다면 영감으로 가득하고 통찰력이 느껴지는 글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다르게 본다면 장황하고 난잡하게만 느껴지는 글로써 느껴지기도 할 것 같다. 좀 더 정돈해줬으면 하는 기분이 앞서는데, 감각적인 글이기는 하지만 산만함이 느껴지고 그런 감정들 속에서 허무감과 피로감이 얼핏 느껴지기도 하기 때문에 막연히 장 보드리야르는 그가 바라보는 것들을 이해하고 꿰뚫어보기는 하지만 그것을 변화시키기는 어느 정도 포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지금 현재를 무한히 낙관하기 보다는 일정하게는 긍정하는 것 같으면서도 그것에 대한 회의와 함께 어떤 비극-종결을 예감하기도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다.

 

알 수 없는 의문만이 가득하기만 한 아메리카는 미국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보이면서도 그 한계와 이면도 바라보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그런 생각을 어떤 철저한 분석이나 고찰, 논리적 완결로 정리하기 보다는 세련된 것 같으면서도 이해하라는 것인지 이해하지 말라는 것인지 알다가도 모를 난해한 글을 통해서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검토와 숙고를 통한 결론이기 보다는 순간적인 떠올림 속에서의 결론처럼 느껴지게 되는 것 같다.

 

아마도 장 보드리야르에 호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좀 더 후한 평가를 해주려고 하겠지만 아직은 장 보드리야르에 대해서 아는 것이 많지 않기 때문인지 좀 더 이해해볼 수 있게 해주었다면 좋았을 것 같다는 불평이 먼저 나오게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