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단상 ㅣ 동문선 현대신서 178
롤랑 바르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동문선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여려 프랑스 철학자 혹은 인문학자들 중에서 롤랑 바르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그의 이름은 접하게 되었지만 실제로 그의 저서를 접하기는 ‘사랑의 단상’이 처음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롤랑 바르트의 글쓰기가 그리고 그의 관심이 어떤 것인지는 정확히 말할 수 없을 것 같고, 읽은 느낌에 따르면(그리고 여러 방식을 통해서 접했던 롤랑 바르트의 이론적 접근을 떠올려 본다면) 아마도 ‘사랑의 단상’은 그의 주된 관심을 드러내기 보다는 여러 갈래들로 뻗어나가는 그의 관심들 중 하나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사랑의 단상’은 서문처럼 쓰인 ‘이 책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통해서 롤랑 바르트는 자신이 어떤 관점과 관심 속에서 글을 써내려갔으며 그 글의 특징과 흐름에 대해서 무척 난해하게 말해주고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그리고 대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학자들의 글과 소설, 희곡, 대화, 글귀들을 통해서 접근하고 있는데, 그런 접근들이 어떤 의미들을 만들어내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과연 사랑을 말하는 것인지 (그게 아니면) 사랑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그 주변부를 혹은 사랑이라고 말하고 있는 여러 감정들과 대상들을 탐색하고 있는 것인지는 쉽게 이해되진 않고 있다.
롤랑 바르트의 접근은 때로는 감상적이고 때로는 철학적인데, 무척 난해하다는 생각이 우선 들게 되지만 그 난해함이 이상할 정도로 달콤하고 낭만적인 느낌도 들기 때문에 어려움을 느끼며 읽어나가기는 했어도, 그의 논의를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어도 글을 읽어내는 과정은 매우 (이상한 말일지는 모르겠지만) 흥분됨(성적 / 감정적)을 느끼도록 하고 있다.
사랑에 대한 온갖 감정들을 분석적으로 접근하고 있고, 그 분석적인 접근 속에서 롤랑 바르트 개인의 감정-생각도 언뜻 내비치고 있기도 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들게 되는 ‘사랑의 단상’은 어렵게만 느껴지고 난해함으로 가득한 독서이기는 했지만 그 어려움과 난해함을 이겨내고 계속해서 읽어나간다면 소중한 글귀들과 감정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고, 몇몇 통찰력과 이해할 수 없음 속에서의 말로 표현할 수 없고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지만 무슨 뜻인지는 조금이나마 알 것 같다는 동의를 혹은 교감을 하게 되기도 할 것 같다.
과연 이런 독서가 제대로 된 독서인지에 대해서는 선뜻 맞다는 말도 괜찮다는 말도 꺼내기는 어렵지만 읽어가며 느껴지게 되는 감정적인 동의와 흥분이 쉽게 지워지진 않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사랑의 단상’은 이성적인 글이기 이전에 감정을 우선 자극하게 되는 글인 것 같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그런 감정을 순간적으로 건드린다.
참고 : 어쩐지 ‘사랑의 단상’을 읽으니 니클라스 루만의 ‘열정으로서의 사랑 - 친밀성의 코드화’ 또한 읽어보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