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비닛 - 제12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언수의 캐비닛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이런 소설이 있었는지도 솔직히 알고 있지는 않았었다.

 

지금은 연락이 끊긴 이에게서 캐비닛에 대해서 들었다는 어렴풋한 기억만이 있을 뿐이고, 그 기억으로 인해서 중고서점 책장에 꽂혀진 이 책을 지나치지 않고 손에 쥐게 되었던 것 같다.

 

떠난 이의 얼굴도 이제는 기억이 가물가물하게 될 정도로 많은 시간이 흘렀는데도 어째서인지 캐비닛은 쉽게 지워지지가 않는 것 같다.

 

철저한 외톨이들에 관한 이야기인 캐비닛은 작품의 뒷면에 심사평과 인터뷰를 통해서 이미 이 작품에 대한 적절한 분석과 평가가 담겨져 있기 때문에 그보다 더 만족스러운 의견을 제시할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무언가 좀 더 얘기를 꺼내본다면, 각각의 짧은 이야기들은 독립된 이야기면서도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이해될 수 있기도 하고, 주인공 공대리의 독백과 과거에 대한 회상 그리고 지금 현재와 그의 주변에 대한 그의 냉소적이면서도 무기력한 시선을 더하고 심토머라고 호칭되는 지금의 인간에 비해서 진화된 존재라고 평가되는 특이한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가득 채워지면서 이 독특하고 이상한 암울한 회색빛의 작품은 묘한 매력을 만들어내고 있다.

 

황당하고 이상한 사연들과 등장인물들 때문에 단순히 재미로서 이 작품을 이해할 수 있게 되기도 하지만 그런 재미 뒤에 밀려오는 그들의 슬픔으로 인해서 작품은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 같다.

 

아쉽게도 들쭉날쭉한 이상한 분위기 속에서 좋은 진행을 보이고 있다가 후반부에서의 음모론적인 분위기와 음울한 결말이 이 기묘한 이야기와 좋은 조화를 보이지 못하다는 점이 단점이기는 하지만 (이런 비판은 심사평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많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이 여러 분위기들이 뒤섞인 작품에서 이런 단점도 나름대로 흥미로운 기분이 들기도 해서 다음 작품에서는 어떤 재미난 이야기들이 다뤄질 수 있을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환상특급이나 엑스 파일과 같은 TV 시리즈들이 떠올려지는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캐비닛은 그보다는 현실 속에서 풍자를 의도하는 것 같기도 하고, 현실에서의 슬픔과 암울함을 덜 비극적으로 느껴지도록 눈물 젖은 웃음을 만들어내려고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아직은 좀 더 다듬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여러 장점들이 많다는 생각이 우선 들기 때문에 다음 작품에서는 어떤 재미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참고 : 이상하고 기괴한 이야기로 가득한 TV 시리즈로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