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의 쥐
이은 지음 / 예담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뭔가 확실히 해결될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좀 더 깊이 파헤쳐 들어갔으면 해서죠...

 

 

개인적으로는 추리 소설 / 범죄 소설에 대해서 큰 관심을 갖고 있지만 아쉽게도 한국 작가의 작품은 한편도 읽은 적이 없었던 것 같다.

특별한 이유가 있거나,

한국 작가들의 작품 수준이 낮다고 생각했기 때문은 아니고,

단지 어떤 작가가 유명한지 혹은 어떤 작품이 유명한지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했기 때문에 피했던 것 같다.

 

이유 같지도 않은 이유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개인적인 이유는 그런 이유였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관의 쥐가 한국의 추리 소설 / 범죄 소설 영역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어떤 영역 속에 머물러 있고 그 영역이 한국 추리 소설 / 범죄 소설 영역에서 주변인지 중심인지 등과 같은 작품 외부적인 점들에 관해서는 전혀 알고 있는 것이 없고, 그렇기 때문에 작품에 대해서만 논의를 하고 무언가를 말해야 할 것 같다.

 

언제는 그렇지 않은 적이 있었냐만은...

어쩐지 책을 읽었음에도 전혀 내용 파악을 하지 못하는 것 같은 느낌과 무슨 얘기부터 꺼내야 할지를 고민하게 된다.

미술관의 쥐는 일반적으로 말해서 정통 추리 소설이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고,

범죄 소설이라고 말하기에도 조금은 애매한 위치에 있는 작품인데,

특별히 특정 작품을 놓고 비교를 해가면서 미술관의 쥐'의 특징들을 말할 것까지는 없을 것 같다.

 

조금은 느슨하게 추리 소설 / 범죄 소설의 영역을 생각하며 읽어내면 될 것 같다.

 

미술 작품들과

미술 세계

그 생소하고 미지의 영역을 통해서 미술관의 쥐는 조금은 익숙하지 않은 세계를 바라보도록 만들고 있고, 그 익숙하지 않은 세계를 조금씩 들춰보고 파헤치면서 작가는 고상하고 순수하기만 할 것 같은 세계가 얼마나 지저분함을 감추고 있는지를 폭로하고 있다.

 

미술관의 쥐는 범인이 누군지

어떤 음모가 있는지 등에 대해서

무언가를 추리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려고 하기 보다는(문제해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해결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다) 작가는 그보다 미술계와 예술에 대해서 좀 더 현실적인 논의를 혹은 논쟁을 의도하려고 하고 있고 자신의 들려주고자 하는 주제의 중심을 잡으려고 하고 있다.

치밀한 범죄와 그 범죄를 밝혀내기 위한 추리와 논리 그리고 반전과 뒤엎음에 관심을 갖기 보다는 미술계와 예술의 지금 현재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두고 있고 논의를 집중하려고 하고 있다.

너저분하다는 표현을 반복하고 있는

아는 사람들만이 알고 있는

미술계의 어두운 / 추악한 구석과 그 지저분함으로 뒤엉킴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하고 있고, 후반부에서는 예술이란 과연 무엇인지를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예술이란 어떤 것인지를 묻고 있고, 대답을 찾고 고민하면서 지저분함과 그 뒤엉킴에 대해서 많은 논의를 이끌어내려고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조르조네의 템페스타와 기타 미술품들에 대한 감상과 해석 그리고 분석은 하나의 재미로서만 이해될 뿐이고 작품의 중심을 차지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작가가 의도하고 있는 것은 결국 미술이 아닌 미술을 둘러싸고 인간들의 어떤 추악함인 것 같다.

 

미술관의 쥐는 어떤 의미에서 하나의 공백을 채우려고 하는 시도인 것 같다.

주인공(이라고 볼 수 있는) 김준기가 실수로 잃어버린 미술관의 쥐라는 원고가 어떤 내용이었는지를 계속해서 추측하고 예상하도록 의도하고 있고, 그 잃어버린 원고라는 공백 / 퍼즐을 맞추고 채우기 위한 각자의 영역에서의 시도들과 검토들로서 이야기를 이해하게 되기도 하다.

 

자살이 살인사건처럼 되어버리고,

자살과 관련된 수많은 의문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김준기와 (그의 친구인) 양누리는 여러 숨겨진 의미들과 감춰진 진실들을 알아가게 되고 결론으로 향하게 되는데, 아쉽게도 그 결론으로 향하는 과정이 이야기의 진행과정에 비해서는 너무 갑작스럽고 갈등과 충돌 그리고 폭발로 격렬하게 만들어내는 것에 실패하고 있기 때문에 궁금함을 만들어내고 흥미를 느끼게 하면서도 정교한 / 치밀한 끝처리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아쉽다는 생각이 들게 되고, 사건의 진행 속에서 자살을 한 박관장이 과연 그런 수준까지의 치밀함이 가능했었는지를 혹은 그럴 필요까지 있었을지를 의문하게 되기도 했기 때문에 이야기 자체가 조금은 납득의 어려움이 있기도 했다.

이야기 진행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치밀함 / 정교함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우선은 들게 되는데, 아쉽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충분히 읽고 싶은 기분이 들 정도의 흥미로운 진행을 보이고 있어서 만족스러움도 느끼지만 미술관의 쥐가 기본적으로 살인과 납치 그리고 자살을 하나로 묶어서 어떤 거대한 범죄와 연관시키려 하고 있고, 그것이 미술계와 예술에 대한 논의까지 이끌어가려고 하는 의도가 조금은 지나친 포부였던 것 같기도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야기 구성에 대한 만족과 흡인력에 대한 관심보다는 미술관의 쥐라는 원고의 사라짐으로 생겨난 원고-공백을 통해서 모든 이야기와 각각의 인물들의 관계가 만들어지고 구성되어지는 이야기 구조 자체에 좀 더 관심을 갖게 되는 것 같다.

좀 더 직접적으로는 말한다면 라깡과 잃어버린 편지를 떠올리게 되기도 하지만 이런 떠올림이 적절한 것인지, 맞는 방식의 생각의 이어짐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스럽기 때문에 조금은 조심스럽게 얘기를 꺼내게 된다.

그래도... 그런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도 나쁠 것 없다는 생각이 우선은 들게 되는 것 같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읽어냈을지 모르겠지만 아주 뛰어난 작품은 아닐지라도 여러 재미들을 안겨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게 나쁘게만 볼 작품은 아닌 것 같다.

한국 추리 소설 / 범죄 소설 작가의 작품들에 대해서 흥미가 있었던 사람이라면 아주 불만스럽게 읽지는 않을 것 같다.

참고 : 개인적으로는 본문보다 작가가 독자들을 위해서 덧붙여 설명한 에필로그가 더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