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신의 기원 - 언어, 국가, 대의제, 그리고 통화 이매진 컨텍스트
가라타니 고진 지음, 송태욱 옮김 / 이매진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트랜스크리틱 : http://blog.naver.com/ghost0221/60118774250

 

 

 

가라타니 고진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그에 대해서 얘기를 나누던 시기에도 큰 관심이 없었는데, 우연히 접하게 된 트랜스크리틱을 통해서 그의 관심과 논의들에 대해서 큰 놀라움을 느끼게 되었고, 그로인해서 그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트랜스크리틱은 개인적으로도 가라타니 고진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해외 혹은 인문학계에서도 지금과 같은 가라타니 고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수 있게 만든 가장 중요한 저서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로 큰 의미를 갖고 있는 것 같다.

 

일본정신의 기원은 이처럼 학자로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하는 트랜스크리틱다음에 발표한 저서이고, 그렇기 때문인지 트랜스크리틱에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좀 더 다듬고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있는 내용들로 구성되어있다.

 

내용면에서는 트랜스크리틱의 연장선상에 있기는 하지만 구성방식에 있어서는 무척 독특하다는 말로는 부족한 특별한 방식으로 자신의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다.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정신의 기원에서 언어를 통해서 근대국가의 형성과 언어에 대한 각각의 입장들 그리고 그가 꾸준히 관심을 높이고 있는 세계공화국을 위해서 언어를 어떤 방식으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는지를 그런 논의 속에서 일본에 대해서와 민족주의-상상의 공동체와 트랜스크리틱에서 논의되었던 맑스(마르크스)와 칸트를 통해서 어떻게 지금의 자본제=네이션=스테이트의 기반을 붕괴시킬 수 있는지를 트랜스크리틱의 논의들을 다시금 반복하면서 논의하며 내용을 시작하고 있다.

 

여기까지는 이미 트랜스크리틱에서 접했던 가라타니 고진의 논의였었고, 특별히 달라지지 않은 논점이고 주장이기 때문에 특별할 것이 없었지만 2장부터의 논의는 앞서 말했듯이 특별한 방식으로 자신의 논의를 들려주고 있다.

 

가라타니 고진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을 통해서 그동안 여러 일본 학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었던 일본정신에 대해서 언어학적인 접근과 그동안의 여러 학자들의 접근들에 대한 재검토를 하고 있으며, 거기에 자신만의 생각들을 추가하고 있고 일본의 천황제와 일본의 지정학적 특성에 대한 의미 있는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런 논의 뒤에 가라타니 고진은 트랜스크리틱에서도 무척 인상적인 논의였던 대의민주주의의 투표제도와 제비뽑기에 대한 논의를 다시금 반복하고 있는데, 이 논의도 앞선 일본정신에 대한 논의와 마찬가지로 단편 소설(기쿠치 간의 작품)의 내용을 설명하면서 투표가 갖고 있는 익명성에 대해서와 그 익명성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지지하는 자들과 대표되는 자와의 거리감-간극, 그 대표적인 사례인 나폴레옹 3세에 대한 맑스의 접근과 소설가 기쿠지 간의 희망과 좌절을 뒤섞으며 민주주의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흥미로운 논의들이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 논의에서도 트랜스크리틱에서 이미 논의가 일정정도 이뤄졌던 시민통화에 대한 논의를 재검토하고 있는데, 이 논의도 앞선 두 논의와 마찬가지로 소설(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단편소설과 무라카미 류의 장편소설인 엑소더스)을 매개로 자본주의 사회의 화폐문제와 그 대안으로 제시되는 시민통화-지역통화에 대해서 상세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일본정신의 기원에서는 논의 자체로서는 깊이 있는 검토가 이뤄지지 않고 있고, 이미 트랜스그리틱에서 이뤄졌던 논의들을 재검토하거나 반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아쉬움이 크고, 좀 더 정교한 논의를 이어지도록 하지는 않고 있다는 점에서는 단점이기는 하지만 트랜스크리틱에 비해서는 좀 더 이해가 되도록 설명을 해주고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 접근을 하고 있기 때문에 트랜스크리틱에서의 논의가 어렵게 느껴졌던 사람이라도 상대적으로 쉽게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이 각각의 논의들은 단편 소설들의 내용을 기초로 접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은 독특함을 보이고 있는데, 이런 접근이 가라타니 고진이 자신의 논의들을 정교하게 다듬는 도중에 좀 더 쉽게 이해를 시키기 위해서 생각난 것인지 반대로 여러 소설들을 읽는 도중에 떠올려진 생각들을 발전시키게 된 것인지는 명확하게 설명해주진 않고 있어서 확실하게 어떤 과정 속에서 이뤄진 것인지는 알 수 없을 것 같다.

 

다만, 다행히 가라타니 고진이 언급하는 소설들이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어서 어떤 접근이 이뤄졌었던 것인지 약간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각각의 단편들이 평소의 생각들을 발전시키게 만들기 보다는 자신의 논의들 다듬는 도중에 떠올려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마지막 논의인 시민통화-지역통화와 관련된 단편소설인 작은 왕국의 경우는 실제 소설의 내용은 어쩐지 가라타니 고진이 논의하려고 하는 시민통화-지역통화의 성격과는 다른 내용을 담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게 될 정도로 그가 얘기하려는 것과는 조금씩 거리감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아마도 가라타니 고진 본인이 이런 저런 생각들을 옮기던 중에 유사한 내용을 생각하던 중 떠올려진 작품들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일본정신의 기원트랜스크리틱의 내용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던 논의들을 다시금 검토하고 있고, 그런 검토와 언어에 대한 논의와 일본정신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더해지면서 가라타니 고진의 관심이 어떻게 더해지고 어떤 방향으로 논의가 발전되는지를 생각해보게 된다.

 

아직은 가라타니 고진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모르고 있기 때문에 그의 논의들을 좀 더 찾아봐야 할 것 같지만 분명 지금-현재의 자본주의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흥미로운 논의들을 제공해주고 있는 것 같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을 얘기하지만 이왕이면 단편들을 각각의 논의에 앞서 읽을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했다면 좀 더 흥미롭게 읽혀질 수 있었을 것 같았다.

 

 

 

 

 

참고 : 95페이지 밑에서 7번째 줄 다음 불교나 유교에 대힝하고...”에서 대힝대항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 같다. 출판사에 문의를 하고 싶었지만 아쉽게도 출판사가 별도의 홈페이지나 이메일을 운영하고 있지 않아서 확인할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