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주의 ㅣ 비타 악티바 : 개념사 20
홍기빈 지음 / 책세상 / 2010년 8월
평점 :
개인적인 번잡스러움 때문에 되도록 짧은 분량의 책들을 혹은 최대한 금방 읽어낼 수 있는 책들만을 찾게 되는 요즘인데, 그런 기준을 갖고 찾게 된 책들 중 ‘자본주의’는 분량으로서는 짧기도 하고 쉽게 읽어나가게 되기도 하지만 다루고 있는, 다루려고 하는 논의들은 읽은 다음에도 쉽게 머리에서 떠나지 않게 되는 논의들이고 관심들인 것 같다.
저자의 말대로 누구나 쉽게 말하게 되기는 하지만 누구도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자본주의에 대해서 어떻게 /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고 생각해봐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는 ‘자본주의’는 점점 더 확장하기만 하고 있고 복잡하게만 되어가고 있는, 그렇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어떻게 논의를 시작해야 하는지 난감해져만 가고 있는 자본주의에 대해서 불투명하게만 느껴지고, 어떻게 /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지부터 난감함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 어떤 식으로 생각해야 하고 접근을 해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있다.
저자는 우선 생각 이상으로 쉽게 정리가 되지 않는 자본주의라는 용어, 체제 혹은 단어에 대해서 정의를 내린다는 것이 단순하게 느껴지면서도 어렵기만 한 것인지를 논의하고 있고, (좌파적인) 계급의 시각으로 자본주의를 바라보려고 하기도 하고 (우파적인) 시장경제의 시각으로 이해하려고도 하고 있으며, 어떻게 자본과 자본가, 자본주의라는 단어가 다뤄지게 되었는지를 검토하는 등 역사적인 관점으로도 이해를 해보려고 하고 있다.
저자는 섣부르게 자본에 대해서 그리고 자본주의에 대해서 어떤 결론을 혹은 하나의 이해를 하려고 하기 보다는 다양한 질문들과 그 질문들로 인한 쉽게 단정할 수 없음에 대해서 좀 더 무게를 두고 논의와 이해를 하려고 하고 있다.
그럼에도 자본과 자본주의에 대해서 조금은 종합적인 혹은 총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자본주의의 핵심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를 멈추지 않고 있는데, 저자는 자본주의의 핵심이 결국 화폐, 생산, 권력이라는 열쇳말 / 핵심어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제안을 제시하고 있다.
중세시대에서부터 어떻게 자본주의시대로 이행하게 되었는지를 화폐, 생산, 권력의 관점에서 그 과정을 간략하게 다루고 있고, 자본주의시대로의 변화되는 과정 중 가장 인상적인 순간들을 언급하면서 어떤 방식으로 자본주의를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자본주의에 대한 주요 논의와 이론들을 재검토하며 어떤 시각으로 그런 논의들이 있었는지를 각각의 논의의 문제점과 보완점을 함께 다루고 있고, 거기에 앞으로 자본주의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그리고 경향을 보이게 될지를 짧게 논의하고 질문하며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짧은 분량이면서도 자본주의에 대해서 여러 생각들을 하도록 하고 있고, 얼마나 자본주의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 같다.
저자가 뒷부분에서 언급하는 여러 결론을 대신한 질문들은 쉽게 알고 있고 이해하고 있다는 것들에 대해서 얼마나 오해를 하고 있었는지를 깨닫게 만들어주고 있다.
너무 많은 것들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다고 착각하면서 지내고 있는 것 같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것은 알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