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름에 대한 찬양 - 개정판
버트란드 러셀 지음, 송은경 옮김 / 사회평론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 가지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서 책을 읽을 시간이 많이 부족하고,

읽을 시간이 생겼다고 해도 집중을 하지 못하기가 쉽지 않아서 되도록 짧은 분량의 책을 찾게 되고, 간단하게 읽어낼 수 있는 책들을 찾게 되는 것 같다.

물론, 간단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찾았다고 해도 그렇게 찾은 책이 쉽게 읽고 치울 수 있는 책들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복잡한 기분 속에서 제목이 눈길을 끌어서 집게 된 ‘게으름에 대한 찬양’은 철학가로서 그리고 그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이름을 알린 버트런드 러셀의 저작이며, 몇몇 주제에 대해서는 조금은 동의가 어렵기는 하지만 다양한 주제 속에서 자신의 생각과 입장을 느긋하면서도 진지하게 자신의 고민과 결론들을 전달하려고 하고 있다.

에세이라는 점 때문에 논리적인 정교함 보다는 부담스럽지 않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려는데 집중하고 있는 경향을 느끼게 되는데, 조금은 쉽게 전달하려고만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그 고민이 쉽게 결론을 낼 수 없는 것들이라 러셀의 결론에 대해서 공감하게 되기도 하고 반박을 하고 싶게 되기도 하다.

게으름을 갖으라고 말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노동시간을 줄이고 여가를 보낼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말해야 좀 더 적절한 의미전달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게으름에 대한 찬양에 대한 에세이를 시작으로 지식에 대해서, 건축을 통한 생활환경과 사회적 변화를 모색하기도 하고, 물신주의와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이 갖고 있는 오해들을 지적하기도 하고 있으며, 냉소주의라는 시대정신에 대해서 준엄한 비판을 하고 있기도 하다.

버트런드 러셀을 개인적인 경험과 일상들에 대해서 감상에 빠져 말하기 보다는 사회적이고 철학적인 주제를 이론적인 정교함을 보이지 않으며 논의하면서 함께 고민해볼 수 있도록 대화를 나누듯이 혹은 조금은 쉽게 접할 수 있는 교양 과목 수업을 하듯이 시대에 대한 비판과 문제의식을 제시하려고 하고 있고, 버트런드 러셀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시대적 / 사회적 문제점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논의를 정리하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자본주의 / 근대 사회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획일성이 강해지고 있기만 한 사회구조와 인간과 자연의 문제, 교육과 권위, 이성과 타인에 대한 존중, 서구문명 등 조금은 추상적인 주제를 갖고 논의하기도 하고, 히틀러와 나치-파시즘,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와 같은 당대의 가장 논쟁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고 있기도 하다.

혜성과 영혼에 대해서 논의하는 등의 조금은 개인적인 논의들도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앞서 말했듯이 시대에 대한 그리고 사회에 대한 다양한 주제들을 갖고 자신의 생각들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는데, 그의 논의들 대부분이 여전히 논쟁적인 부분도 있고 조금은 공감하기 어렵거나 지나치게 단순화 시키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게 된다.

이런 아쉬움이 있기는 하지만 어떻게 본다면 많은 이들이 좀 더 함께 고민할 수 있도록 자신의 생각들을 전달하려고 했던 것 같다는 생각에 날선 비판을 하도록 만들지는 않게 되는 것 같다.

물론, 그런 방식의 논의가 적절한 방식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생각이 앞서게 된다.

하지만 그렇게 부정적으로 단호하게 결론짓기에는 버트런드 러셀이 함께 고민을 하고자 하는 다양한 주제들이 무척 의미 있는 주제들이라는 점 때문에 조금은 판단을 미루려고만 하게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