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이 다가온다 - 레닌에 대한 13가지 연구 프런티어21 3
슬라보예 지젝 지음, 이서원 옮김 / 길(도서출판)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부터 계속되고 있는 경제침체와 자본주의 위기에 대한 논의들로 인해서 다시금 맑스(마르크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었는데, 그 활발함에 레닌에 대한 재검토가 더해지면서 좀 더 자본주의에 대한 직접적인 변화를 요구하는-독촉하는 논의들이 커지고 있는 것 같다.

이처럼 다시는 꺼내지지 않을 것 같았던 레닌에 대한 논의들이 다시금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이 조금은 놀랍기도 하고, 어쩌면 당연하기도 한 것 같기도 한데, 이런 레닌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는 여러 학자들 중 슬라보예 지젝의 위치는 무척 특별하고 인상적일 것이다.

지젝으로부터 시작해서 레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고는 볼 수 없겠지만, 분명 지젝으로 인해서 레닌을 다시 접하게 되고, 새롭게 접하게 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고, 지젝 본인도 최근에 발표하고 있는 저서들을 통해서 자주 그리고 무척 다양한 방식으로 레닌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혁명이 다가온다’는 이런 지젝의 관심과 최근의 논의가 어떤 관점에서 이뤄지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데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지젝이 레닌을 끄집어내게 된 이유가 어떻든지 간에 지젝은 레닌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 보다는 레닌과 같은 시각으로 혹은 레닌에 영감을 받아 자신의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고 있는데,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지 모르겠다.

레닌을 논의하기 보다는 그를 구실로 자신의 논의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혹은 실천적으로 느껴지도록 의도하는 느낌을 갖게 되는데, 레닌을 하나의 구실로서 언급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게 된다.

아마도 모든 이들이 혁명의 가능성에 대해서 회의적이었을 때조차 혁명을 꿈꾸던 레닌처럼 모든 이들이 혁명에 대한 회의를 갖고 있는 현재의 시대에서 여전히 혁명을 꿈꿔야 한다는 지젝의 입장을 레닌을 통해서 얘기하려고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지젝은 그동안의 레닌에 대한 논의와는 조금은 다른 방식으로 레닌을 재검토 하고 있고, 여느 때처럼 헤겔과 맑스, 그리고 라캉과 온갖 대중문화를 연관시키며 레닌을 옹호하고 재검토하며 그의 진정한 의도라는 것을 우리에게 설명하고 있다.

항상 그렇듯 지젝은 정신없이 온갖 사례들을 뒤섞으며 자신의 논의-수다를 진행시키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그의 주장이나 논의보다 오히려 여러 예들이 더 인상적이고 관심을 갖도록 만드는 것 같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어떤 의미에서든 지젝의 레닌에 대한 논의는 일종의 해석일 것이고, 하나의 옹호이며, 약간은 지나침이 느껴지는 정당화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지젝은 여러 방식을 통해서,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헤겔과 라캉과 기타 여러 학자들의 논의들을 레닌에 적용해서 다시금 레닌을 재정립시키고, 예수를 형식화한 바울처럼 프로이트를 형식화한 라캉처럼 그리고 맑스를 형식화했다고 평가하는 레닌처럼 지젝은 레닌을 새롭게 형식화시키고 재검토하고 있고 자신처럼 레닌을 다시 보도록 하기를 우리들에게 요청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인지 지젝은 그동안의 레닌-스탈린 시대의 여러 문제점들을 새롭게 이해하도록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도록 논의를 진행하고 있고, 그런 방식으로 그 시대를 그리고 레닌과 스탈린에 대한 수많은 부정적인 모습들을 거두도록 시도하고 있다. 어쩌면 이런 지젝의 논의를 통해서 그동안의 레닌에 대한 그리고 스탈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들이 조금은 재평가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이런 지젝의 의도는 조금은 지나치다는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하다. 그 이유는 재검토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은 그들에 대한 좀 더 명확한 그리고 철저한 긍정과 부정적 평가가 우선했어야 한다는 생각이기 때문이다.

레닌의 시각과 시도 그리고 의도와 분석을 지금 현재에 맞추려고 하려는 지젝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필요 이상으로 과장할 필요도 없었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하고 되는데, 다른 사람들은 이런 생각에 얼마나 동의할지 모르겠다.

지젝의 결론은 간단히 말해서 레닌과 같이 지금의 이것과 저것과는 다른 어떤 것을 생각하자-선택하는 것이고, 당연히 그렇기 때문에 지젝의 논의에서는 일종의 선언처럼 그리고 하나의 제시나 제안처럼 들려지고 있을 뿐 뭔가 명확하게 느껴지는 무엇은 없다.

하나의 전망이기 보다는 어떠한 외침처럼 느껴진다.

지젝은 레닌과 같이 혁명이 다가오게 만들기 보다는 끌어와야 하고 당겨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고, 그런 방식으로 새로운 프롤레타리아라는 주체적 혁명 계급을 발견해야 하고, 그들이 자신의 주체성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같다.

아마도 앞으로 지젝의 논의는 그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존재를 탐구하려고 하지는 않을까?

결국 지젝은 새로운 레닌을 그리고 새로운 정치경제학이 필요로 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는데, 그 주장이 옳은가 그렇지 않은가와 상관없이 과언 무슨 방법으로 자신의 논의를 이어지도록 만들지 궁금하게 되는 것 같다.

최근 지젝이 무척 관심을 갖고 있는 레닌에 대한 논의는 조금은 파격적인 점이 있고 그의 전복에 대한 열망으로 써낸 무척 흥미로운 논의들로 가득하다. 물론, 그 흥미로움에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경우도 없지는 않은데, 과연 어디까지 그의 논의가 이어질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