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문 안에서 - 나쓰메 소세키 최후의 산문집
나쓰메 소세키 지음, 김정숙 옮김 / 문학의숲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문학의 셰익스피어’라는 수식어가 따르는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은 그런 명성에 비해서는 많이 접하지 못했었고, 국내에서도 체계적으로 그의 저작들을 출판하지도 / 논의하지도 않는 것 같다. 그렇다고 특별히 불만스러운 것은 아니다.

 

개인적으로도 일본 문학에 대해서 크게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아서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을 접하려고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고, 그나마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 ‘도련님’ 정도만 읽어보았을 뿐이고,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두 작품을 읽었어도 특별한 인상을 갖지 못했기 때문인지 소세키의 작품은 일본인들만이 좀 더 제대로 된 감상을 할 수 있는 정서를 전달하고 있는 작품이거나 내가 소세키에 대한 극히 부정적인 성향의 독자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을 뿐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소세키의 작품에 큰 관심이 없었었고, 그의 다른 작품을 접하고 싶은 생각도 들지 않았는데, 우연하게 건네받은 ‘유리문 안에서’를 통해서 다시금 소세키를 접하게 되었고, 소설이기 보다는 산문이고 수필인 ‘유리문 안에서’가 그의 대표작들 보다 좀 더 인상적이고 흥미를 갖도록 해주기 때문에 아마도 이번에도 엉뚱한 것에 더 호감을 갖는 유별남을 보이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소세키가 죽기 일 년 전에 아사히신문에 연재하던 글들을 모은 ‘유리문 안에서’는 신문에 기고하는 글이라는 점으로 인해서 간략하고 짧은 내용들로 이뤄져 있고, 개인적인 추억과 회고, 죽음 등 다양한 주제를 갖고 자신만의 시각으로 풀어내고 있다.

 

소세키 본인이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고 있었는지는 몰라도 솔직하면서도 겸손함을 잃지 않는, 단호함 보다는 곤혹스러움이 묻어나는 소세키의 글은 모든 것에 대해서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고, 그 어떤 것 하나도 소홀함을 보이지 않는 글을 써내려가고 있다.

 

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혼란스러운 시대에 대한 반작용으로 좀 더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성향의 내용들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는 시대적인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르나 반대로 그런 혼란 속에서 보다 일상을 그리고 자신의 기억과 추억을 더듬는 모습에서 시대의 광기에 휩쓸리지 않고 자기 자신으로 침잠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전반적으로는 소세키 본인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고, 삶의 끝자락이었기 때문에 글이 전반적으로 가라앉는 기분이 들고 있고, 글로써 삶을 정리하는 것 같다는 사후적인 평가를 하게 된다. 이런 평가는 이미 소세키의 죽음을 알고 있기 때문에 들게 되는 평가이기는 하지만 이런 평가를 막을 수도 없을 것 같다.

 

소세키의 문학 세계와는 조금은 다른 분위기의 글인 것 같지만 소박하고 명료한 문장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는 동일하기도 한 것 같다.

 

물론, 소세키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그들의 평가를 접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게 ‘유리문 안에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