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시지옹 - 건축과 도시계획의 현재 상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
르 코르뷔지에 지음, 정진국.이관석 옮김 / 동녘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건축에 대해서 논의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건축가 중 하나인 르 코르뷔지에는 일반적인 뛰어난 혹은 탁월한 건축물을 만든 건축가라는 위치에 머물지 않고 그것을 넘어서 근대 사회에 걸맞는 도시를 혹은 공간을 창조하는 것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고 그런 자신의 관심과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보였던 인물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 대해서 논의를 할 때는 단순히 어떠한 건물을 혹은 주택을 만들어내었고, 그의 작품들이 어떤 방향을 제시했는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을 넘어서서 그가 어떤 공간을 창조하려고 했는지 그리고 그런 방향을 제시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충분히 논의를 해야 할 것 같고, 그런 의미에서 자신의 생각과 입장을 솔직하게 담아내고 있는 ‘프레시지옹’은 그에 대해서 논의를 할 때 빼놓고 얘기할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일 것 같다.

 

르 코르뷔지에는 단순히 자신이 설계하고 창조한 건축물들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도 전달하려고 했는데, 그가 남아메리카에서 강연한 내용을 묶은 ‘프레시지옹’에서는 ‘기계시대’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근대 사회에서 어째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해야 하는지와 어떤 입장에서 그 공간을 만들어야 하는지를 주장하고 있고, 자신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아카데미’로 정의되는)이 얼마나 자신의 생각을 오해하고 있는지를 주장하고 있다.

 

그의 기본적인 입장은 근대 이전과는 전혀 다른 공간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전제 속에서 변화를 모색해야 하고, 과거와는 단절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고, 고리타분한 기존의 건축과 도시계획을 폐기해야만 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지도 못하고 자신의 입장에 동조하지도 못하는 아카데미즘으로 대표되는 보수적인 입장에 대한 경멸로 가득하다.

 

많은 시간이 지났음에도 르 코르뷔지에의 주장에 여전히 동의할 부분이 많이 있는데, 근대화 그리고 도시화로 인해서 새로운 도시계획과 정비가 필요하다는 것과 주택/주거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여전히 르 코르뷔지에 대해서 강렬한 관심을 갖게 만든다.

 

하지만 그가 자신의 주장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지나치게 압박하려고 하는 것 같고, 실제 생활하는 일반인들의 자율성 혹은 개성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다는 점에서는 반대로 그를 비판하게도 만드는 것 같다.

 

장점도 단점도 엿볼 수 있는 르 코르뷔지에의 제안은 그의 의견에만 몰두하지 않는다면 분명 많은 영감을 자극받을 수 있을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여전히 그가 만들어낸 건물들을 통해서 그리고 발표한 글들을 통해서 대가의 폭넓은 시각을 본받으려고 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